• 제목/요약/키워드: serum fluoride concentration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5초

NaF 첨가량이 흰쥐의 NEFA 및 Uric Acid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aF Contents on the NEFA and Uric Acid Concentrations in Rats)

  • 김한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1282-1291
    • /
    • 2021
  • 본 연구는 NaF 경구 투여가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의 혈청 중 non-esterified fatty acid (NEFA), blood urea nitrogen (BUN), creatinine, uric acid 및 전해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기본식이를 급여한 대조군인 BG군과 기본식이에 NaF 경구 투여군(NF3~50군) 9그룹의 식이군으로 나누어 5주간 실험사육을 행하였다. 흰쥐의 NEFA와 BUN, creatinine, uric acid 농도는 NaF 농도에 비례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고농도의 NaF 투여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적인 차이로 높게 관찰되었다(𝛼=0.05). 한편, 전해질 농도 중 total calcium (T-Ca)과 인(Pi) 농도는 대조군보다 NaF 투여군에서 낮게 동정되었으며, NaF 20 mg 이상 경구 투여한 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𝛼=0.05). 흰쥐의 NaF 경구 투여 처리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NEFA 및 BUN, creatinine, uric acid의 농도가 상승하였으며, 전해질 농도는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나 신장 기능 장애 등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이 지역주민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djusted Water Fluoridation on Bone Mineral Density)

  • 한윤정;민진영;한동헌;김현덕;백도명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61-270
    • /
    • 2008
  • Adjusted water fluoridation has been disputed because of its various effects on human health. Previous studies have been concerned with the difference in bone mineral density (BMD) between water fluoridated (WF) and none water fluoridated (NWF) district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water fluoridation affects BMD. BMD was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 386 adults(174 males and 212 females) in Ansan (WF) district and 399 adults (176 males and 223 females) in Sihwa (NWF) district,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Ansan and Sihwa districts are similar in residential environment and living class.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fluoride concentration and BMD was also examined by analysis of the serum fluoride concentrations from 402 inhabitants of the Ansan district. In females, the BMD of subjects living in Ansan ($0.457{\pm}0.008$) was a little higher than that of Sihwa subjects ($0.446{\pm}0.008$), although it is not significant, after adjusting for BMI, physical activity level, educational achievement, smoking volume, menopause status, and number of births. However, the BMD of Ansan subjects ($0.532{\pm}0.020$) in their forties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Sihwa (0.498{\pm}0.019). No relationship was found in males. In residential period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nsan $0.467{\pm}0.013$, Sihwa $0.434{\pm}0.012$, p=0.0125) in the BMD between females of two districts, particularly in the group of over 6 year long-term inhabitants. On the contrary, there was no remarkable difference in males from the two districts. Serum fluoride concentrations in females were associated with BMD, especially in the age group of forties (p=0.0457). No relationship was observed in the male group. Analysis of adult BMD over the age of 20 in a water fluoridated and a none water fluoridated district, confirms more or less a higher BMD in the water fluoridated (WF) district, especially for females. It is assum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wo districts came somewhat from the effect of water fluoridation.

NaF 함량을 달리한 투여가 흰쥐의 지질 및 혈당농도와 A/G 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ous Sodium Fluoride (NaF) Administration on Blood Glucose, Lipid Composition and A/G Ratio in Rats)

  • 김한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826-835
    • /
    • 2018
  • NaF를 용량별로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에 경구 투여했을 때, 체중 및 장기 중량, 혈청 지질성분, 혈당 및 단백질 함량과 기본식이를 급여한 대조군인 BD군을 비롯하여 기본식이에 농도별 NaF를 경구 투여한 군들로 나누어 5주간 실험 사육한 결과, 흰쥐의 체중 증가량은 NF25군, NF30군 및 NF50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높게 나타났다(p<0.05). 각 장기무게에서의 변화 중 간장과 심장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NaF 경구 투여 군에서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 관찰 되었으며(p<0.05), 폐, 뇌, 신장, 비장 및 고환에서의 각 군의 장기무게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유리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인지질, 혈당 농도는 대조군보다 NaF 경구 투여한 군에서 NaF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고, HDL 콜레스테롤 농도는 NaF 농도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혈청 중 총 단백질은 NF50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낮게 나타났으나 나머지 군에서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알부민 농도와 글로불린 농도 또한 NF50군에서 가장 낮은 결과치로 나타났다. 반면 알부민/글로불린 비는 NaF 농도와 관계가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일정 이상 농도의 NaF 경구 투여는 흰쥐의 체중 및 지질성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비만 및 이상지질혈증을 초래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크릴 분말 및 NaF 첨가 식이가 흰쥐의 혈청 지질성분 및 혈당 변동에 미치는 영향 (Changes in Serum Lipid Components and Blood Glucose by Krill (Euphausia superba) Meal and NaF in Rats)

  • 진동혁;오다영;이영근;강동수;김한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938-946
    • /
    • 2017
  • Krill (Euphausia superba)과 NaF가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의 체중 및 장기 중량, 혈청 지질성분 및 단백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기본식이를 급여한 대조군인 BD군을 비롯하여 기본식이에 NaF 10 mg을 경구 투여한 BF군, 10%(KF10군), 20%(KF20군), 30%(KF30군)의 krill meal을 첨가 식이에 NaF 10 mg 경구 투여한 군으로 군당 6마리씩 5가지 군으로 나누어 5주간 사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흰쥐의 체중은 식이의 krill meal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대조군인 BD군에 비해 NaF를 경구 투여한 BF군에서 낮게 관찰되었다. 각 장기무게에서의 변화는 간에서 BD군에 비해 NaF 경구 투여 군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p<0.05), 고환에서의 무게는 KF10군을 제외한 NaF 경구 투여 군에서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심장, 폐, 뇌, 신장, 췌장에서의 각 군의 장기무게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혈청 중 tota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free cholesterol, triglyceride, phospholipid, 혈당 농도는 대조군인 BD군보다 BF군에서 높았지만, krill meal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HDL cholesterol 농도는 BD군보다 BF군에서 낮았으며 krill meal 함량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혈청 중 total protein은 각 군에서 유의적 차이(p<0.05)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lbumin 농도와 albumin/globulin ratio는 BD군과 BF군은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으나 krill meal 섭취 군에서 감소되었다. Globulin 농도는 KF10군, KF20군, KF30군, BD군, BF군 순으로 높게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보아, krill meal 식이는 NaF 경구 투여한 흰쥐의 체중, 혈청 지질성분 및 혈당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Krill 분말 및 NaF 투여가 흰쥐의 BUN 및 Creatinine 농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the BUN and Creatinine Level by Krill (Euphausia superba) Meal and NaF Administration in Rats)

  • 김한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848-856
    • /
    • 2018
  • Krill (Euphausia superba) 분말이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 혈청 중 non-esterified fatty acid (NEFA), blood urea nitrogen (BUN), creatinine, uric acid 및 전해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기본식이를 급여한 대조군인 BG군과 기본식이에 NaF 10 mg 경구 투여한 BFG군을 비롯하여 10%, 20%, 30%의 krill 분말을 첨가한 식이에 NaF 10 mg 경구 투여한 KMF10군, KMF20군, KMF30군, 5가지의 급여군으로 나누어 5주간 사육한 결과, 흰쥐의 NEFA와 BUN, creatinine 농도는 krill 분말 급여군인 KMF10군, KMF20군, KMF30군에서 BFG군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한 결과가 관찰되었으며, uric acid 농도에서 KMF10군은 BFG군과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KMF20군과 KMF30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또한 전해질 농도에서 총 칼슘(T-Ca)은 군간의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지만 krill 분말 함량에 따라 증가하였으며(p<0.05), 인(Pi) 농도는 krill meal 함량에 따른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krill 분말은 NEFA 및 BUN, creatinine, uric acid 농도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