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quence images

검색결과 583건 처리시간 0.028초

A deep and High-resolution Study of Ultra-diffuse Galaxies in Distant Massive Galaxy Clusters

  • Lee, Jeong Hwan;Kang, Jisu;Jang, In Sung;Lee, Myung Gyoon
    • 천문학회보
    • /
    • 제44권1호
    • /
    • pp.38.4-38.4
    • /
    • 2019
  • Ultra-diffuse galaxies (UDGs) are intriguing in the sense that they are much larger than dwarf galaxies but have much lower surface brightness than normal galaxies. To date, UDGs have been found only in the local universe. Taking advantage of deep and high-resolution HST images, we search for UDGs in massive galaxy clusters in the distant universe. In this work, we present our search results of UDGs in three massive clusters of the Hubble Frontier Fields: Abell 2744 (z=0.308), Abell S1063 (z=0.348), and Abell 370 (z=0.375). These clusters are the most distant and massive among the host systems of known UDGs. The color-magnitude diagrams of these clusters show that UDGs are mainly located in the faint end of the red sequence. This means that most UDGs in these clusters consist of old stars. Interestingly, we found a few blue UDGs, which implies that they had recent star formation. The radial number densities of UDGs clearly decrease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clusters in contrast to those of bright galaxies which keep rising. This implies that a large fraction of UDGs in the central region were tidally disrupted. These features are consistent with those of UDGs in nearby galaxy clusters. We estimate the total number of UDGs (N(UDG)) in each cluster. The abundance of UDGs shows a tight relation with the virial masses (M_200) of thier host systems: M_200 \propto N(UDG)^(1.01+/-0.05). This slope is found to be very close to one, indicating that efficiency of UDGs does not significantly depend on the host environments. Furthermore, estimation of dynamical masses of UDGs indicates that most UDGs have dwarf-like masses (M_200 < 10^11 M_Sun), but a few UDGs have $L{\ast}$-like masses (M_200 > 10^11 M_Sun). In summary, UDGs in distant massive clusters are found to be similar to those in the local universe.

  • PDF

Effectiveness of low-level laser therapy in facilitating maxillary expansion using bone-borne hyrax expander: A randomized clinical trial

  • Abdelwassie, Sara Hassan;Kaddah, Mohammed Amgad;El-Dakroury, Amr Emad;El-Boghdady, Dalia;Abd El-Ghafour, Mohamed;Seifeldin, Nouran Fouad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399-411
    • /
    • 2022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randomized clinical trial was to study the skeletal and dental effects of low-level laser therapy (LLLT) along with a miniscrew-assisted expander (Hyrax) after six months of retention. Methods: After sequence generation, concealed allocation, and implementation, 24 female patients were randomly divided (1:1) into two-groups: bone-borne rapid palatal expansion (BBE) without LLLT (n = 12) and BBE with LLLT (n = 12). Eligibility criteria included female patients aged 10-13 years old with bilateral posterior crossbites. Intraoral and extraoral photographs,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images, and digital study models were obtained before expansion and six months after retention. The 7 mm Hyrax appliance was anchored to four palatal mini-screws, which were activated twice daily for 15 days, then locked and kept in place as a retainer. LLLT was performed in the laser group during expansion and retention, according to the guidelines provided. Results: The records of 24 patien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ost-retention measurements, both group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nasal and maxillary widths and total facial height. In the laser group, the Sella-Nasion-Point A and Point A-Nasion-Point B angles and the interpremolar apical distanc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nclusions: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arameters and protocol of LLLT do not clinically affect the efficiency of BBE in prepubertal and pubertal patients.

2D TOF 자기공명 혈관조영술에서 동맥혈류의 역류로 인한 영상훼손과 이의 제거 (Artifacts due to Retrograde Flow in the Artery and Their Elimination in 2D TOF MR Angiography)

  • 정관진;이종권;김선경;박성홍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5권1호
    • /
    • pp.38-42
    • /
    • 2001
  • 2D TOF혈관조영술에서 presaturation RF펄스를 사용하여 정맥피에서 나오는 MR신호를 제거하고 얻은 동맥 angiogram에는 band형태로 동맥이 끊어져 나타나는 현상이 자주 보인다. 일부 동맥에서 피의 흐름은 한 심장 주기 동안에 3번의 펄스를 갖는데, 이 중 가운데 펄스는 짧은 기간 동안 역류를 한다. 이 역류하는 동맥피는 정맥피와 같은 방향이기 때문에 presaturation RF펄스에 의해 정맥피 처럼 saturation이 되어서 imaging slice로 흘러 들어가게 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경우가 phase encoding step의 dc 부근에서 발생하게 되면 그 때의 단면 영상에서 동맥이 강조가 될 수 없게 되어, 결과적으로 angiogram에는 그 단면을 지나는 동맥의 신호가 없어서 band 형태로 핏줄이 끊어져 나타나게 된다. Imaging slice와 saturation band와의 간격을 변화 시켜 가면서 angiogram을 얻어 봄으로서 이러한 현상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나아가 saturation band를 rectangle형태에서 ramp 형태로 변경함으로써 이러한 artifacts를 제거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Observational Feature of Ejecta-Companion Interaction of A Type Ia SN 2021hpr Via The Very Early Light Curve

  • 임구;임명신;백승학;윤성철;최창수;김소피아;서진국;강원석;김태우;성현일;김용기;윤요라
    • 천문학회보
    • /
    • 제46권2호
    • /
    • pp.50.3-51
    • /
    • 2021
  • The progenitor of Type Ia supernovae is largely expected as a close binary system of a carbon/oxygen white dwarf (WD) primary and its secondary non-degenerate (single degenerate; SD) or degenerate companion (double degenerate; DD). Here we present a high-cadence monitoring observation of SN 2021hpr in a spiral galaxy, NGC 3147. SN 2021hpr shows typical characteristics as a normal type Ia supernova from its photometric (Δm15(B)=1.01±0.03, dust free MB,max=-19.45±0.02) and spectroscopic data. To investigate its progenitor system, we fit the early part of BVRI-band light curve simultaneously with a combined version of ejecta-companion and simple power-law model. As a result, we found a significant feature of an early excess possibly from a 7.63±0.52R-sized companion at the optimal viewing angle while the fit is not successful at the common viewing angle. No possible red sources brighter than F555W=-7.01 AB mag is detected at the SN location in Hubble Space Telescope (HST) pre-explosion images, excluding massive stars with initial mass of >16M as companions. We suggest the progenitor system of SN 2021hpr can be a fairly large companion such as a main sequence, a low mass subgiant, and a helium giant star. In addition, a possibility of the ejecta-Disk Originated Matter (DOM) interaction for the DD scenario considering linearly-rising early flux still remains.

  • PDF

Dual-stream Co-enhanced Network for Unsupervised Video Object Segmentation

  • Hongliang Zhu;Hui Yin;Yanting Liu;Ning Che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8권4호
    • /
    • pp.938-958
    • /
    • 2024
  • Unsupervised Video Object Segmentation (UVOS) is a highly challenging problem in computer vision as the annotation of the target object in the testing video is unknown at all. The main difficulty is to effectively handle the complicated and changeable motion state of the target object and the confusion of similar background objects in video sequence.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deep Dual-stream Co-enhanced Network (DC-Net) for UVOS via bidirectional motion cues refinement and multi-level feature aggregation, which can fully take advantage of motion cues and effectively integrate different level features to produce high-quality segmentation mask. DC-Net is a dual-stream architecture where the two streams are co-enhanced by each other. One is a motion stream with a Motion-cues Refine Module (MRM), which learns from bidirectional optical flow images and produces fine-grained and complete distinctive motion saliency map, and the other is an appearance stream with a Multi-level Feature Aggregation Module (MFAM) and a Context Attention Module (CAM) which are designed to integrate the different level features effectively. Specifically, the motion saliency map obtained by the motion stream is fused with each stage of the decoder in the appearance stream to improve the segmentation, and in turn the segmentation loss in the appearance stream feeds back into the motion stream to enhance the motion refinement. Experimental results on three datasets (Davis2016, VideoSD, SegTrack-v2) demonstrate that DC-Net has achieved comparable results with some state-of-the-art methods.

반전 시간의 변화가 정상인의 뇌 체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A Study of Changes of Inversion Time Effect on Brain Volume of Normal Volunteers)

  • 김주호;김성후;신화선;김지은;나재범;박기수;최대섭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7권4호
    • /
    • pp.286-293
    • /
    • 2013
  • 목적 : 본 연구는 20대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반전 시간 (inversion time, TI)의 차이에 의한 뇌 영상을 획득하여 체적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대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MPRAGE (magnetization prepared rapid acquisition gradient echo) pulse sequence, 절편두께 1.5 mm, 4개의 반전 시간 (800 ms, 900 ms, 1000 ms, 1100 ms)을 이용해 뇌 영상을 획득하였다. 획득된 뇌 영상을 이용해 백질 (white matter, WM), 회백질(gray matter, GM), 그리고 전체 뇌 체적(intracranial volume, ICV)을 측정하고 각 TI 별로 뇌 체적 및 성별에 따른 통계적인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결과 : Freesurfer로 산출된 뇌 체적은 평균 ICV=$1278.94{\pm}154.92cm^3$를 이용하여 정규화 하였고, 평균 WM=$486.52{\pm}48.64cm^3$, 평균 GM=$646.83{\pm}57.12cm^3$ 이었다. 남자의 뇌 체적 (WM, GM, ICV)은 여자보다 컸다. 측정간 신뢰도 테스트에서 급내 상관 계수는 모두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WM 0.992, GM 0.988, ICV 0.997). 반복측정 분산분석에서는 GM과 ICV는 각 TI에서 유의수준 내에서의 차이가 없었지만 (GM p=0.143, ICV p=0.052) WM는 유의수준 내에서의 차이가 있었다 (p=0.001). 선형 구조 관계 분석에서는 피어슨 상관 계수가 모두 높은 수치를 보였다. 결론 : WM, GM, ICV는 높은 신뢰도와 선형 구조 관계를 나타내었고 WM는 각 TI에서 유의수준 내에서의 차이를 보였다. 20대 건강한 성인의 뇌 체적의 자료는 환자들과의 비교에 참고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뇌의 구조적인 변화를 예측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TI의 변화에 따라 대조도, 잡음비 그리고 병변의 검출 능력을 조사하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잡견 간흡충증의 전산화단층촬영과 자기공명영상의 유용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Usefulness Comparative Experimental Study of the CT and MR Imaging in the Dog Clonorchiasis)

  • 구은희;권대철;김동성;최천규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6권3호
    • /
    • pp.33-39
    • /
    • 2003
  • 잡견의 간흡충증에서 조영기법의 역동적 CT 영상과 MIP 기법을 적용한 자기공명 영상의 질을 비교하여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마리의 잡견(평균 20kg)에 실험적으로 간흡충증을 유발한 후 13주 동안에 간을 중심으로 CT 영상과 MR 영상을 얻었다. CT는 이중나선식방법으로 영상을 획득하였고, bolustracking 방법으로 조영제를 주입하여 arterial phase는 5초 후에 정맥기는 동맥기 scan후 15초에 시작하여 single dynamic scan을 하고, 데이터를 다 단면 영상을 얻기 위해 MnP로 재구성을 하였다. MR 영상은 circularly polarized phased away body coil을 사용하였고, HASTE, FLASH, TSE 기법을 이용하여 모두 2차원 영상을 얻었다. HASTE와 TSE는 해상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interpolation과 지방소거기법을 적용하였다.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식으로는 담관을 중심으로 3방향으로 수집한 다음 최대강도투사법으로 재구성하였다. CT와 MR 영상의 평가 방법으로서는 간내담관의 확장, 동맥기에 담관벽의 조영증강, 담관 말단부의 확장, 간의 실질조직묘사, 배경유무를 기점으로 병리학과 의사 1명과 방사선과 의사 3명, 방사선사 5명이 시각적으로 평가를 하였다. MR 영상의 경우 sequence 비교를 위해 정량적분석방법인 CNR과 CR로 평가를 하였다. 감염 후 5마리의 잡견은 죽었으며, 15마리 잡견에서 CT와 MR 검사에서 간내 담관의 만성 확장을 보여 주었다. 조영증강기법인 CT 영상에서는 간 실질조직을 비롯하여 담관벽의 조영증강이 보였고, MR 영상에서는 간내담관 형태와 담관의 말단부의 확장이 MIP 기법을 이용하여 3차원적으로 관찰되었고, CNR과 CR 값이 HASTE($16{\pm}0.83$, 73.3%), TSE($7.06{\pm}3.0$, 62.3%), FLASH($1.19{\pm}0.2$, 6.4%) 순으로 나타났다. CT와 MR 영상은 짧은 검사기법과 다양한 검사기법을 포함하고 있어 간흡충증을 영상화하는데 있어서 진단적 가치가 있다. CT와 MR 영상 검사의 장 단점을 서로 보안하여 검사를 시행한다면 높은 임상적 적용 가능성이 있다.

  • PDF

FLASH를 이용한 3T 복부검사에 있어서 최적의 T1효과를 위한 적정 Flip Angle (Flip Angle of the Optimal T1 Effect Using FLASH Pulse Sequence at 3T Abdominal MRI)

  • 한재복;최남길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2권1호
    • /
    • pp.101-106
    • /
    • 2009
  • 본 연구는 FLASH 펄스파형을 이용하여 숙임각(flip angle ; FA)변화에 따른 T1 강조영상의 신호강도(signal intensity ; SI)와 대조도 대 잡음비(contrast to noise ratio ; CNR)를 비교함으로써 복부검사에서의 최적의 T1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FA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8년 9월부터 12월까지 본원을 내원하여 복부 MRI 검사를 시행한 환자 20명(남 : 12명, 여 : 8명, 연령 범위 : $28{\sim}63$세, 평균 : 51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영상 장비는 3Tesla MR scanner(Magnetom Tim Trio, SIEMENS, Germany)였으며, 8 channel body array coil을 사용하였다. 사용된 영상변수는 FLASH 펄스파형과 TR : 120 ms, TE : minimum, FOV : $360{\times}300\;mm$, Matrix : $256{\times}224$, Slice : 6 mm, scan time : 15초로 Breath-hold 기법을 이용하였다. 복부 영상은 물 신호를 동시에 측정하기 위해 관심영역(FOV) 안에 물을 채운 50 ml syringe를 놓고 $10^{\circ}$부터 $90^{\circ}$까지 $10^{\circ}$ 간격으로 FA에 변화를 주면서 얻었다. 획득한 영상은 간(liver), syringe내부의 물(water), 비장(spleen), background의 신호강도(SI)와 대조도 대 잡음비(CNR)를 각각 측정하였으며 신호강도는 관심영역을 설정한 다음 각 부위에서 3번씩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구하였다. 영상 전체의 평가에서는 변이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를 적용하여 전체영상의 신호강도 균일도를 알아보았고 통계 분석은 SPSS for window version 17.0을 이용하였다. 간(liver)의 신호강도는 $475.54{\pm}81.76$으로 FA $40^{\cir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syringe내부의 물의 신호는 $475.97{\pm}68.98$로 FA $20^{\circ}$에서 가장 높았으며 FA가 높아짐에 따라 다른 조직의 신호보다 많은 감소를 보였다. 비장의 신호는 $443.02{\pm}55.77$로 FA $30^{\circ}$에서 가장 높은 신호강도를 보였으며 FA가 높아짐에 따라 신호가 감소하였다. 조직의 신호강도에서 Liver vs Water와 Liver vs Spleen은 FA $30^{\circ}$를 제외한 전 구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Water vs Spleen은 FA $60^{\circ}$, FA $70^{\circ}$, FA $80^{\circ}$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1). 전체영상의 신호강도는 $175.42{\pm}57.93$으로 FA $10^{\circ}$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FA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다가 떨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변이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는 FA $10^{\circ}$와 FA $20^{\circ}$에서 33.02와 31.4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FA $10^{\circ}$와 FA $20^{\circ}$는 전체영상의 신호강도 균일도가 다소 떨어지는 영상으로 왜곡이 심하게 나타났다. CNR은 liver-water에서 FA $30^{\circ}$에서 12.73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FA $10^{\circ}$에서 -46.97, FA $80^{\circ}$에서 29.3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liver-spleen의 CNR에서는 FA $10^{\circ}$에서 -3.18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FA $80^{\circ}$에서 9.6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FLASH 펄스 파형을 사용한 복부 영상에서 최적의 T1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FA $80^{\circ}$를 사용하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상자성 복합체의 분자량에 따른 T1 및 T2 자기이완시간에 관한 연구 (The Molecular Weight Dependance of Paramagnetic Gd-chelates on T1 and T2 Relaxation Times)

  • 김인성;이영주;김주현;;김숙경;김태정;강덕식;장용민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7권2호
    • /
    • pp.61-66
    • /
    • 2006
  • 상자성 복합체의 분자량에 따른 물분자의 T1 및 T2 자기이완 특성을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DMF (15 ml)와 DTPA-bis-anhydride (0.71 g, 2 mmol) 용액에 4-aminomethylcyclohexane carboxyilc acid를 넣어 리간드를 합성한 후 $Gd_2O_3$ (0.18g, 0.5 mmol)을 넣어 최종적인 Gd 착화물을 합성하였다. 상자성 복합체의 자기이완율을 측정하기 위해 상자성 복합체를 3차 증류수를 사용하여 1 mM로 희석시켰으며 1.5T(64 MHz)에서 자기이완 시간을 측정하였다. T1 자기이완시간을 측정하기 위하여 반전 회복(Inversion-recovery) 펄스열을 사용하였다. 반전 회복 펄스열의 경우 반전시간(Inversion time, T1)은 50 msec에서부터 최대 1,750 msec까지 총 35개의 반전시간에서 영상을 획득하였다. T2 자기이완시간은 CPMG(Carr-Purcell-Meiboon-Gill) 펄스열을 사용하였다. 자기이완 시간을 구하기 위해 각각의 샘플에 관심영역(region of Interest)을 설정하여 영상의 신호강도를 측정한 후 비선형 곡선 맞춤을 실행하여 T1 및 T2값을 얻어낸 후, 이를 통해서 R1 및 R2를 계산하였다. 분자량이 587 달톤인 Omniscan의 1.5T에서의 T1, T2값이($205.1{\pm}2.57$) msec, ($209.4{\pm}4.28$) msec 임에 비해 새로이 합성된 상자성 Gd 화합물의 경우 모두 T1, T2값이 T1의 경우 분자량에 따라 $(96.35{\pm}2.04)-(79.38{\pm}1.55)$ msec, T2의 경우 $(91.02{\pm}2.08)-(76.66{\pm}1.84)$ msec로 감소한 결과를 얻었다. 새로이 합성된 Gd 화합물 간에도 분자량에 따라 R1 및 R2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상자성 복합체의 분자량이 증가함에 따라 T1 및 T2 자기이완 시간이 단축되고 결과적으로 자기이완율 R1, R2가 분자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 PDF

시각피질의 기능적 MR 연구: 광자극 크기와 피질 활성화와의 관계 (Functional MRI of Visual Cortex: Correlation between Photic Stimulator Size and Cortex Activation)

  • 김경숙;이호규;최충곤;서대철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권1호
    • /
    • pp.114-118
    • /
    • 1997
  • 목적: 기능적 MR 영상은 외부자극에 따라, 이에 상응하는 특정한 뇌피질 부위의 혈류량의 변화를 신호강도의 차이로 나타내는 방법이다. 시각피질에 대한 기능적 MR은 환자가 광자극을 응시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이의 수행에는 적절한 형태의 광자극원이 필수적이다. 이에 저자는 광자극원의 크기가 시각피질 활성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정상적인 시력을 가진 자원자 5명을 대상으로 시각활성화 기능적 MR을 시행하였다. 광자극원은 $11{\times}8cm$ 크기의 기판에 적색 LED(light-emitting diodes) 39개를 박고 직류전원을 사용하도록 만들었다. 이를 크기에 따라 full field, half field 및 focal central field의 3가지로 구분하고 8Hz로 점멸하였다. EPI 기법으로 6회의 광자극 기간과 6회의 휴식기간을 번갈아 3차례 시행하여 총 36회의 검사를 하고, Z-score로 통계처리하였다. 이 때 얻은 활성화 영상을 같은 부위의 T1강조영상에 결합시켰다. 각 경우에서 시각피질에서 활성화된 pixel의 수를 full field, half field 및 focal central field에서 얻어진 pixel 수의 합으로 나누어 활성화지수를 구하였다. 이 활성화지수를 토대로 광원크기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Full field로 자극을 주었을 때 시각피질의 평균 신호강도의 증가는 약 9.6%였다. 4명에서 활성화지수는 full field, half field, focal central field의 순으로 감소하였으며, 나머지 1명에서는 half field 시의 값이 full field 시의 값보다 컸다. 광원크기에 따른 활성화지수의 범위는 full field 43-73%(평균 55%), half field 22-40%(평균 32%), focal central field 5-24%(평균 13%)였다. 결론: 기능적 MR영상을 이용하여 시각피질의 활성화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었으며 광자극원의 크기에 따라 증가되는 시각피질 활성화를 입증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