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ory integration treatment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5초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자세조절 특성 (A Study of Postural Control Characteristics in School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이형수
    • 재활복지
    • /
    • 제14권3호
    • /
    • pp.225-256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자세조절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각, 안뜰감각 그리고 몸감각을 조합하여, 실험 조건에 따라 자세유지를 위하여 어떤 감각을 활용하고 있는지, 부적절한 감각자극에 대해서 통합시스템에서 어떻게 반응하는지, 외부 동요에 대해 신경근육의 자세조절 전략 시 동원되는 근육의 수축 개시시간과 개시순서를 각각 측정하여, 지적장애 아동의 자세조절 특성을 살펴보고, 나아가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분석하여 자세조절능력 향상 프로그램에 적용 시 방향을 제시해주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성별과 연령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 26명과 일반아동 26명의 아동으로부터 자세조절능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자세조절과 감각계와의 관계를 파악한 평형점수와 감각활용 분석, 엉덩관절 전략에 의지하는 자세조절 전략, 근수축 개시지연과 근수축 개시순서의 변화 등을 종합해 볼 때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자세조절의 문제는 운동시스템, 감각시스템, 통합시스템의 자세조절 시스템 전반에 걸친 총체적인 문제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자세조절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운동시스템, 감각시스템, 통합시스템을 포함하는 포괄적 자세조절 훈련 프로그램의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자세조절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다양한 감각을 제공하여 주고, 제공된 감각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감각훈련과 함께 고위중추에서 입력된 감각들을 정상적인 자세조절 발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훈련 시켜주어야 한다. 적응 반응을 계획하고 조직화하여 의미 있는 활동을 통해 중추신경계의 처리능력을 향상시키는 치료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자세조절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안정성 한계를 넓힐 수 있는 신경발달학적 치료와 함께, 근골격계에서 빠른 근수축 반응과 효율적인 근수축 개시순서를 유발 할 수 있도록 고유수용성 운동조절 프로그램, 자세반응 촉진 프로그램과 같은 훈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경두개 직류자극과 가상현실프로그램 적용이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인지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nd Virtual Reality Program Application on the Cognition and Depression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Patients)

  • 김고운;김보라;안태규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55-164
    • /
    • 2021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nd virtual reality program application on cognition and depression of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to find an intervention method that can enhance active participation of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ethods : In this study, 50 mild cognitive impairment patients were divided into a treatment group (25 patients) and a control group (25 patients). The treatment group was applied with a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nd a virtual reality program,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a placebo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nd a virtual reality program. Both groups received five 50-minute sessions per week (one session per day) for six weeks (total of 30 sessions). NCSE was used to evaluate the cognitive functions of the patients before and after treatment intervention. Moreover, K-BDI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epression of the patients. Results : As a result of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nd a virtual reality program intervention, the cognitive function of both treatment and control group significantly (p<.05) improved, and the depression of both treatment and control group significantly (p<.05) decreased. Moreover, the changes in cognitive functions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 between the two groups¸ treatment and control group (p<.05).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nd virtual reality program significantly improved the cognitive function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patients and decreased the depression of them. Therefore,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nd virtual reality program was an intervention method which positively affects the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patients.

경두개직류전류자극을 결합한 가상현실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환자의 우울, 손기능, 인지와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irtual Reality Program Combining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n Depression, Hand Function, Cognition, and Daily Life Activities of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Disorders)

  • 김고운;김보라;안태규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3-62
    • /
    • 2023
  • Purpose :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nd a virtual reality program on the depression, hand functions,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by dividing 20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pression. The 20 patients were divided into a treatment group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 a virtual reality program) and a control group (placebo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 a placebo virtual reality program). Methods : This study allocated ten subjects to the treatment group and ten subjects to the control group. The treatment was given five times per week for six weeks (30 sessions), and each session was 30 minutes. This study screened depression by using SGDS-K, a short geriatric depression scale, to examine depression before and after treatment intervention. This study also used the box and block test, NCSE, and FIM to evaluate hand functions,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respectively. Results : The results showed that depression significantly decreased, hand functions significantly increased, cognitive function significantly improved,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intervention in the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The magnitude of changes in depression, hand functions,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intervention (p>.05). Conclusion :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pplication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nd a virtual reality program could improve cognitive function, hand function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by decreasing depression.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imultaneous application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nd a virtual reality program is an intervention method, which can be applied for decreasing depression, enhancing hand functions,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increas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경두개 직류자극 및 인지훈련 프로그램 적용이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시지각 및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Does the Application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nd Visual Perception Program Enhance the Visual Perception Function and ADL Performance of Dementia Patients)

  • 김고운;김보라;안태규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01-210
    • /
    • 2021
  • Purpose :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is field in the Republic of Korea, especially those that have seen the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nd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This study divided 30 dementia patients into a treatment group, which receive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nd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and a control group, which received pseudo-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nd pseudo-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these treatments on the visual perception, cognition functions, and daily activities of dementia patients. Methods : Fifteen subjects were allocated to the treatment group and the other 15 subjects were allocated to the control group. Treatments were given at intervals of five sessions per week (30 minutes per session) for six weeks (30 times in total). This study used the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 (NCSE) to examine cognitive functions, MVPT to evaluate visual perception, and FIM to test daily living activities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treatments.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cognitive functions, visual perception, and daily living activities significantly (p<.05) improved after the intervention in the treat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changes in cognitive functions, visual perception, and daily living activities due to the treatm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p<.05). Conclusion : The results indicated that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nd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improved visual perception and daily living activities by increasing cognitive functions.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the simultaneous application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in conjunction with a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was an intervention method that could positively affect the visual perception, cognitive function, and daily living activities of dementia pati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tudy of arbitration protocols for demential will have to be more active.

경두개직류전류자극 및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 적용이 치매환자의 시지각 기능 및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Does the Application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nd Visual Perception Program Enhance the Visual Perception Function and ADL Performance of Dementia Patients)

  • 김고운;김보라;안태규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13-221
    • /
    • 2020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hanges in visual perception and daily life activities after simultaneously applying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program and transcranial DC stimulation. Particularly,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what changes in abilities among daily life activities influenced cognition. Methods : This study selected 50 dementia patients to achieve the objective. This study applied transcranial DC stimulation and a visual perception training program to a treatment group (n=25) and a visual perception training program to a control group (n=25). The intervention was applied five times per week and 30 minutes per session (total of 30 intervention sessions). This study measured visual perception functions and daily life activities using MVPT and FIM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intervention. Results : The visual perception, mobility of daily life activities, cognition, and total score of the treatment group (n=25), which received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program and transcranial DC at the same time, were significantly (p<.05) different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Moreover, when the visual perception and daily life activities of the treatment group and those of the control group after implementing the intervention were compared, they were significantly (p<.05)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imultaneous application of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program and transcranial DC stimulation was an effective means to enhance the visual perception and daily life activities of dementia patients. The results implied that transcranial DC stimulation, as well as the application of visual perception training program, as well as a visual perception training program, was effective for improving the visual perception functions and daily life activities dementia patients and simultaneous application of the two interventions would increase the effect even further.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를 이용한 가상현실 재활프로그램이 뇌졸중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Program with RAPAEL Smart Glove on Stroke Patient's Upper Extremity Function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 김고운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9-76
    • /
    • 2019
  • Purpose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program on stroke patients' upper extremity function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Methods : The subjects were equally and randomly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16) to whom a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program was applied and a control group (n=16) who received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The intervention was applied five times per week, 30 minutes per each time, for six weeks.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was conducted and the subjects' Manual Function Test was measured to examine their upper extremity functions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intervention, and a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was calculated to look at their activities of daily living. Results : After the interventio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the participants in both groups significantly improved (p<.05). However, the improvements in these parameters among the participants in the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program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p>.05). Conclusion : The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program is a stable and reliable intervention method for enhancing the upper limb function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stroke patients.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IM) 훈련이 지적장애 아동의 집중력과 단기기억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teractive Metronome on Short-term Memory and Attention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 박아름;유두한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9-30
    • /
    • 2016
  • 목적 : 본 연구는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IM) 훈련이 지적장애 아동의 집중력과 단기기억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지적장애로 진단 받은 아동 2명을 대상으로, 개별실험 연구방법(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중 ABA 설계 사용하였다. 총 18회기로 매주 2회기씩 총 9주 진행하였다. 기초선 기간에는 IM 훈련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Electroencephalogram(EEG)를 부착하여 단축형 검사(short form test)로 뇌파를 측정하였으며, 대상자가 무작위(random)로 선택한 단기기억 과제로 측정을 실시하였다. 중재기 12회기는 IM 훈련을 40~50분간 실시한 후 단기기억 과제(shot-term memory test)를 측정 하였으며, 단축형 검사를 측정하였다. 재기초선 3회기에도 기초선 기간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결과 : 상호작용식 메트로놈 훈련 후 집중력의 향상과 뇌파에서 변화를 보였으며, 단기기억 과제에서도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결론 : 상호작용식 메트로놈 훈련은 지적장애 아동에게 집중력과 단기기억력의 향상을 위한 중재방법으로 기대되며, 본 연구는 이를 위한 근거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글판 Peabody Developmental Motor Scale 2의 타당도와 검사자간 신뢰도 연구 (Study of Validity and Interrater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the Peabody Developmental Motor Scale 2)

  • 이지호;김경미;장문영;홍은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4-25
    • /
    • 2019
  • 목적 : 본 연구는 Peabody Developmental Motor Scale 2(PDMS-2)의 국내사용을 위하여 번역연구와 검사자간 신뢰도 및 동시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PDMS-2의 번역연구는 2명의 작업치료사가 각각 번역하여, 3명의 작업치료학과 교수를 통해 번역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 후 임상 작업치료사 5명을 대상으로 내용이해도 검증을 받아 수정보완 후 한글판 PDMS-2를 제시 하였다. 일반 아동 50명을 대상으로 검사자간 신뢰도는 두 작업치료사가 한글판 PDMS-2를 각각 평가하여 검사자간 신뢰도를 측정하였고, 동시타당도는 한글판 PDMS-2와 한국판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2(BOT-2)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결과 : 연구결과 번역에 대한 내용일치도는 평균3.45점으로 일치하였고, 내용이해도는 평균 3.69점으로 높은 이해도를 보였다. 검사자간 신뢰도는 급내상관계수의 범위가 .941에서 .994로 나타났다. 동시타당도는 상관계수 r값이 항목에 따라 .951-.651으로 통계적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한글판 PDMS-2는 아동의 운동기능을 평가하는 도구로서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글판 PDMS-2는 아동의 운동기능 평가와 치료의 효과를 측정하는 도구로 사용가능하며, 치료의 중재나 목표 설정과 교육 및 연구를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국내 중재에 대한 고찰 연구 (Effects of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 박영주;김은주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3-53
    • /
    • 2019
  • 목적 : 본 연구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아동(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제공되는 중재 방법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최신의 국내 치료 경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04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최근 15년간 국내 학회지에 게재된 연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누리미디어(DBpia), 스콜라(Scholar),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한국학술정보(KISS)에서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아동', '중재'를 키워드로 검색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선정된 연구는 총 14개로, 각 연구는 근거의 질적 수준과 방법론적 질적 수준으로 분석한 후 그 결과를 대상자, 중재, 대조, 결과의 순으로 제시하였다. 결과 : 분석 결과 근거기반 실행의 질적 수준은 수준 IV의 연구가 가장 많았고, 방법론적 질적 수준은 '보통'의 연구가 가장 많았다. 중재는 상호작용식 메트로놈 중재(Interactive metronome; IM)의 빈도가 가장 높았고, 측정된 평가도구는 상호작용식 메트로놈 전체형 검사(Long form assessment of IM), 아동 청소년 행동평가척도(Korean behavior child checklist; K-CBCL)의 사용이 높았다. 중재결과 ADHD아동의 집중력, 과잉행동, 과제 수행, 과다언어 사용, 그리고 타이밍 등에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 국내 ADHD아동을 대상으로 다양한 중재방법이 제공되었고, 그 결과 ADHD증상에서 효과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임상에서 근거기반 실행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앞으로 ADHD아동을 대상으로 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학교 작업치료사의 근무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Work Experience of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ists)

  • 배원진;정남해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46-55
    • /
    • 2022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작업치료사의 근무 경험에 대한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이다. 참여자는 학교 작업치료사 7명으로 모두 여성이고, 평균 근무경력은 5년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학교 작업치료사로서의 근무 경험에 관하여 일대일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부가적인 인터뷰 내용 확인은 이메일을 활용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대상자의 동의를 얻어 녹음하였고, 연구자가 녹음을 여러 번 듣고 전사하여 Colaizzi 연구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 인터뷰 내용을 분석하여 2개의 주제와 10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주제로는 어려움과 희망이 도출되었다. 어려움에는 행정업무에 대한 부담, 물리적 환경 제약, 교사 또는 교직원의 인식 부족, 불안정한 고용, 학교에 근무하는 '의료기사' 작업치료사가 있었고, 희망에는 아동에 대한 사명감, 같은 목표를 가진 팀원, 학교 작업치료를 원하는 아동들, 교사의 만족, 작업치료발전에 대한 책임감이라는 하위 주제가 있었다. 결론 : 특수교육대상자에게 질적으로 향상된 학교 작업치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학교 작업치료에 대한 제도적 개선과 정책적 지원이 마련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