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ory conflict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초

양안경합의 감각적 상충 경험에 기초한 시각적 변화탐지 경험에 대한 이해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of Visual Change Detection Based on the Experience of a Sensory Conflict Evoked by a Binocular Rivalry)

  • 신영선;현주석
    • 감성과학
    • /
    • 제16권3호
    • /
    • pp.341-350
    • /
    • 2013
  • 본 연구는 시야에 발생하는 현저한 시각적 변화에 대한 탐지 경험과 양안경합이 초래한 감각적 상충에 대한 탐지 경험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변화탐지 경험의 감각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 1에서는 2, 4, 6개의 항목을 단기파지 한 후 뒤이어 제시되는 검사항목과의 비교를 요구하는 변화탐지 과제가 사용되었다. 전체 변화탐지 시행 중 시각적 변화가 발생한 일부 시행에서는 검사항목 중 변화를 야기하는 한 항목에 양쪽 단안 분리 입력을 통해 서로 다른 항목이 제시되는 양안경합을 처치하였다. 실험 결과, 양안 경합이 처치되지 않은 경우 항목 개수 증가에 따른 변화탐지 정확도의 분명한 감소가 관찰된 반면 양안 경합이 처치된 경우 이러한 항목 개수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 2에서는 항목 개수를 4, 8, 16개로 달리하는 탐색 배열 중 양안경합이 초래하는 감각적 상충을 보유한 표적 항목에 대한 탐색 효율성을 측정한 결과, 양안경합 처치 유무에 관계없이 탐색이 매우 효율적인 것이 관찰되었다. 실험 1과 2의 결과는 시야의 현저한 변화에 대한 탐지 경험은 기억부담의 증감에 따라 경우에 따라서는 양안경합 자극이 초래하는 감각적 상충에 대한 탐지 경험과 유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

반응표면법을 이용한 양송이버섯 피클의 관능적 특성 최적화 (Optimization on Organoleptic Properties of Mushroom (Agaricus bisporus) Pickle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김옥선;주나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8-163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rganoleptic properties of mushroom pickles made at various compounding ratios according to central composite design for optimum organoleptic properties. In this study, various kinds of mushroom pickle were made at different compounding ratios of vinegar, sugar and salt-critical ingredients of the pickle recipe and the products were presented to an expert panel, who graded the subjects in 7 degrees for 5 items: color, flavor, hardness, taste and overall quality. As a result of sensory quality, mushroom pickles with 300g of vinegar, 150g of sugar and 60g of salt achieved the highest grade. Meanwhile, the results of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ere different from the sensory quality results, showing that the optimum mixing conditions for overall organoleptic properties of mushroom pickle were 279.58g of vinegar, 179.34g of sugar and 59.09g of salt. (Ed- based on this conflict in results, I suggest that you make a final recommendation, of either the first, the second, or perhaps an intermediate, ratio)

곤충의 의사소통: 개념, 채널 및 상황 (Insect Communication: Concepts, Channels and Contexts)

  • 장이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83-393
    • /
    • 2011
  • 의사소통은 생존과 번식을 위해 필요한 행동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행동과 진화연구에 중추적이다. 동물의 신호와 관련하여 가장 중요하고 어려운 문제 중의 하나는 의사소통의 정의이다. 넓게 봐서 의사소통은 신호자로부터 수신자로의 정보제공이다. 그러나 신호의 진화는 정보교환으로 신호자와 수신자 모두 적합도가 증가할 때만 가능하다. 이것을 '참의사소통'이라한다. 동물들이 의사소통할 때 감각채널로 흔히 화학물질, 빛, 소리를 이용한다. 화학신호를 이용한 의사소통은 가장 오래되고, 거의 모든 동물들이 사용하는 방법이다. 변조의 용이, 신호생산의 유연성, 빠른 전송 때문에 빛 과 소리를 이용한 의사소통은 보다 많은 양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교미행동과 충돌해결은 동물들이 의사소통하는 가장 흔한 상황이다. 교미행동에 사용되는 신호는 보통 종에 대한 정보와 성적 매력도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충돌해결에 사용되는 정보는 신호자의 싸움능력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이외에도 동물들이 의사소통하는 상황은 영역방어, 부모자식 상호작용, 사회통합, 환경정보 공유, 자기의사 소통을 포함한다.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따른 감각처리능력의 비교 (A Comparison of Sensory Processing Ability Depending on the Smartphone Usage of Toddlers in the "Smartphone Addiction" Risk Group)

  • 김윤경;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4-43
    • /
    • 2020
  • 목적 :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 정도와 감각처리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 유아 124명이었고, 연구 기간은 2019년 9월부터 동년 12월까지이었다. 연구 방법은 설문조사로 일반적 특성, 유·아동 스마트폰 중독 관찰자 척도, 단축감각프로파일을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의 차이와 중독군에 따른 감각처리능력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사용 하였다. 결과 :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따른 집단 간 스마트폰 중독의 차이는 스마트폰 중독합계(p=.000)와 현저성(p=.027), 충동·강박적 사용(p=.019), 금단(p=.046), 내성(p=.003), 대인 간 갈등(p=.046)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집단 간 감각처리능력의 차이는 SSP 총점(p=.000) 및 하위영역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42). 결론 : 본 연구는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능력의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Virtual displays and virtual environments

  • Gilkey, R.H.;Isabelle, S.K.;Simpson, B.B.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01-122
    • /
    • 1997
  • Our recent work on virtual environments and virtual displays is reviewed, including our efforts to establish the Virtual Environment Research, Interactive Technology, And Simulation (VERITAS) facility and our research on spatial hearing. VERITAS is a state-of -the-art multisensory facility, built around the ${CAVE}^{TM}$ technology. High-quality 3D audio is included and haptic interfaces are planned. The facility will support technical and non-technical users working in a wide variety of application areas. Our own research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uditory stimulation in virtual environments and complex display systems. Experiments on auditory-aided visual target acquistion, sensory conflict, sound localization in noise, and loxalization of speech stimuli are discussed.

  • PDF

볼 기반의 모바일 햅틱 인터페이스 디자인 (Design of Ball-based Mobile Haptic Interface)

  • 최민우;김정현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122-128
    • /
    • 2009
  • 이 논문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 촉각적 사용자 체험 (User Experience)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디자인된 새로운 방식의 핸드헬드 볼 기반의 햅틱 인터페이스 "TouchBall" 을 소개하고 그 성능을 평가한다. 작은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폰, PDA, PMP 등)에 적당하도록 볼 기반의 기계적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작은 회전력으로도 높은 감도의 다양한 촉감을 손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안하는 인터페이스를 적용한 프로토타입 버전을 구현하였고, 정신물리학적 실험을 통해 사람의 감각 인식의 가장 기본적인 척도가 되는 감지 역치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구현 가능한 다양한 촉각 패턴들의 인식강도를 절대적 강도추정 방법으로 측정하여 정확도와 인식강도를 알아보고 그 응용 가능성을 찾아보았다.

  • PDF

A review of two theories of motion sickness and their implications for tall building motion sway

  • Walton, D.;Lamb, S.;Kwok, Kenny C.S.
    • Wind and Structures
    • /
    • 제14권6호
    • /
    • pp.499-515
    • /
    • 2011
  • Low-frequency building vibration is known to induce symptoms of motion sickness in some occupants. This paper examines how the adoption of a theory of motion sickness, in conjunction with a dose-response model might inform the real-world problem of managing and designing standards for tall building motion sway. Building designers require an understanding of human responses to low-dosage motion that is not adequately considered by research into motion sickness. The traditional framework of Sensory Conflict Theory is contrasted with Postural Instability Theory. The most severe responses to motion (i.e., vomiting) are not experienced by occupants of wind-excited buildings. It is predicted that typical response sets to low-dosage motion (sleepiness and fatigue), which has not previously been measured in occupants of tall-buildings, are experienced by building occupants. These low-dose symptoms may either be masked from observation by the activity of occupants or misattributed to the demands of a typical working day. An investigation of the real-world relationship between building motion and the observation of low-dose motion sickness symptoms and a degradation of workplace performance would quantify these effects and reveal whether a greater focus on designing for occupant comfort is needed.

가상환경에서 수직 운동에 대한 데이터 기반 카메라 조작 (Data-driven camera manipulation about vertical locomotion in a virtual environment)

  • 서승원;노성래;이로운;박승준;강형엽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8권3호
    • /
    • pp.13-21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수직이동이 필요한 가상환경을 사용자가 이동할 때, 어떻게 카메라를 조작하는 것이 멀미를 최소화하면서도 몰입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는 것이 목표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평평한 공간에서 가상현실을 이용하므로, 사용자의 실제 이동과 가상에서의 이동이 달라져 감각 충돌이 일어나게 되고, 이는 가상현실 멀미를 유발할 가능성을 가진다. 그러므로 3가지의 유력한 카메라 조작기법을 제안하고, 이들을 구현한 후, 사용자 실험을 통해 가장 적절한 모델이 어떤 것인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가상현실-트레드밀 보행에서 시각적 속도감과 보행 속도감의 불일치가 가상현실 멀미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consistency Between Visually Perceived Walking Speed and Physically Perceived Walking Speed on VR Sickness in VR-Treadmill Walking)

  • 최인범;박종진;김신우;이형철
    • 감성과학
    • /
    • 제23권3호
    • /
    • pp.79-90
    • /
    • 2020
  • 서로 다른 감각 정보의 불일치가 가상현실 멀미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트레드밀 기반의 가상현실 보행을 통해 감각 정보 일치의 멀미 완화 효과를 검증하고 나아가서 가상현실에서의 광학 흐름(optic flow) 단서에 의한 시각적 속도감과 트레드밀 보행을 통한 보행 속도감의 불일치가 멀미 완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실험1에서는 트레드밀 보행의 멀미 완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HMD를 통해 앞으로 이동하는 가상현실 체험을 하면서 가만히 서 있을 때와 트레드밀 보행을 할 때의 멀미 수준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가상현실 속에서 이동을 하며 트레드밀 보행을 할 때 더 적은 멀미를 느끼고 실재감과 몰입감은 증가하였다. 실험2와 실험3에서는 가상현실 속에서 이동하는 속도에 대한 시각적 속도감과 트레드밀 보행의 속도감을 조작해 두 속도감이 일치할 때와 불일치할 때의 멀미 수준을 비교하였다. 흥미롭게도 참가자들은 시각적 속도감이 보행속도감보다 빠르게 느껴지는 불일치 조건에서 일치조건보다 더 낮은 멀미를 경험하였다. 이와 같은 실험결과는 가상현실 속에서 이동할 때 시각적 정보와 일관되게 트레드밀 보행을 하게 하는 것이 가상현실 멀미를 완화시키지만 속도감의 일치가 필수적인 것이 아님을 시사한다.

Male Mating Strategies through Manipulation of Female-perceived Predation Risk: A Minireview and a Hypothesis

  • Han, Chang-S.;Jablonski, Piotr 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1권1호
    • /
    • pp.1-7
    • /
    • 2008
  • In this minireview we focus on how males may exploit female's sensitivity to predation risk in the context of mating. It has been shown in studies on guppies and jumping spiders that in response to altered female behaviors, which are adaptations to the unfavorable environment and a consequence of females' higher sensitivity to predator's presence as well as females' higher predation risk, males can adopt condition-dependent mating tactics. It appears that in such cases males do not modify their reproductive behavior directly in response to their own perception of predation risk, but indirectly in response to changes in female behavior induced by predator presence. It has also been recently shown in crabs that males can exploit female behavior by creating safer habitat spots, which increases the male mating success. Hence all the evidence suggests that males not only respond to female sensitivity to the natural variation in predation risk, but that males can also exploit female behavior by altering the environment. As a logical extension of these findings, we present a hypothesis that in certain conditions males can manipulate the environment in order to increase the predation risk and to induce female behaviors that enhance the male's mating success with the increased predation risk. We propose that such a manipulation to increase predation risk is expected to evolve in males of species with a strong sexual conflict and female-biased predation risk. Although empirical evidence has not been yet shown, initial observations in a water strider species in Korea, Gerris gracilicornis, seem to support this hypothe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