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directed competency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33초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 영향요인분석 (Factors related to the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metacognition)

  • 서유진;배주연;이주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523-532
    • /
    • 2019
  • 메타인지는 학습자가 문제 해결을 위해 목표 및 계획을 수립하고 평가해 나가는 인지의 결과물로써 간호사의 임상적 역량 중에 핵심역량이다.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함이다. 2017년 8월 15일부터 10월 19일까지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간호대학의 205명 대학생에게 메타인지, 자기주도 학습능력, 그릿, 학습환경, 학습유형에 대해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program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메타인지는 자기주도 학습능력, 그릿 및 학습환경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그릿은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에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그릿을 높여 문제해결을 위한 목표설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메타인지 수준을 높일 수 있는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다.

고등학생의 자기 주도적 과학탐구연구에서 나타난 어려움 탐색 (Exploring the Difficulties of High School Students in Self-Directed Scientific Inquiry)

  • 김가형;하민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707-715
    • /
    • 2019
  • 학생들의 과학핵심역량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학생 중심의 자기주도탐구는 중요한 교수학습법이다. 학생들은 탐구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어려움을 경험하게 되고, 때로는 원하는 결과물을 산출하지 못하거나, 예상했던 것에 비하여 의미 없는 탐구를 수행하는 등의 실패를 경험하게 된다. 이 연구는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과학탐구에서의 어려움과 실패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 연구는 과학고등학교 및 과학중점 고등학교에서 과제연구의 경험이 있는 고등학생 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반구조화된 개방형 질문을 중심으로 한 심층면담으로 이루어졌다. 질적 자료 분석은 면담 원자료로부터 참여자들이 경험한 어려움과 실패 상황과 그 원인이 드러낼 수 있는 문단을 찾아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실패 원인은 능력 부족, 불완전한 절차, 어려운 과제의 선정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과잉확신, 계획오류, 집단사고 등 다양한 인지편향도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학생들이 자기주도 탐구에서 논리적, 반성적, 합리적 문제해결 역량을 발휘하여 실패와 시행착오의 단계를 최대한 줄이도록 충분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교육 전략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학생의 건강다이어트 역량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Health Dieting Competency Scale for College Students)

  • 김정수;이유미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00-309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to develop a Health Dieting Competency (HDC) scale to assess self-rated health dieting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Methods: The scale was developed as follows: items generated, and test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Items were develop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review of instruments, and interviews. A panel of four experts reviewed the scale for content validity. Factor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descriptive statistics and Cronbach's ${\alpha}$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N=183). Results: In the preliminary stage, thirty-three items were generated. Final items were fourteen that were select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HDC scale was consisted with five factors and fourteen items that were Goal-Directed (5-items), Health Support (2-items), Health Self-Efficacy (3-items), Health Perception (2-items), and Escaping from Health (2-items). The internal consistency of HDC as measured by Cronbach's ${\alpha}$ was .78. Conclusion: Conten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HDC were established. The HDC scale is a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 for early adulthood youth who are willing to assess health dieting competency.

자기주도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Program to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on Colleg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 이은주;박인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721-72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참여가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동기, 인지, 행동 영역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D지역 소재, 대학교 재학생 2,302명으로, 데이터 수집은 2022년 3월 2일부터 12월 31일까지 이루어졌다. 자기주도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751명)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1551명)을 비교한 결과, 실험군은 0.24점 증가하였고, 대조군은 0.08점 증가하여 두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t=34.89, p<.001)를 나타냈다. 프로그램 참여 횟수에 따른 자기주도학습 능력 점수의 사후 비교분석에서, 프로그램 참가 1회~3회와 4회~6회는 0.067점 차이(p<.001), 4회~6회와 7회 이상은 -0.135점 차이(p<.001), 1회~3회와 7회 이상은 0.067점 차이(p<.001)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자기주도학습능력은 대학 교육에서 중요한 역량으로 인식되며, 프로그램참여를 촉진하고 참여 횟수를 높이는 노력이 중요하다.

플립러닝 적용 기본간호학실습 수업에 대한 실행연구 (An Action Research on Flipped Learning for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Courses)

  • 김희영;김윤희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65-276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ign and implement a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based on flipped learning and to examine the effects. Methods: Participants were 57 students who were taking the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course at D university in N city. The study included processes of instructional design, action/effects and reflec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with the SPSS/WIN 23.0. Results: In the instructional design stage, the class consisted of 3 parts: outside class (pre-learning), inside class (assessment, collaborative practice, peer review, reflection), after-class (self-directed practice, feedback). In the action/effects stage, the flipped learning was applied for 15 weeks according to the instructional design and then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were evaluated.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3.56, p=.001)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fter the class (t=-3.72, p<.001). Finally, in the reflection stage, the researchers examined whether the four pillars of flipped learning occurred. Conclusion: Findings indicate that flipped learning applied in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is effective in improv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he action research method was a useful way to foster professor's educational competency as well as to verify effects of a new nursing education method.

교과학습과 연계한 학습독서의 실제 (A Practice of Reading to Learn Linking the Subject Learning)

  • 송기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423-441
    • /
    • 2007
  • 독서능력은 학생의 문제해결능력과 자기주도 학습능력 그리고 평생학습능력을 위한 핵심능력이며, 학습독서는 자원기반학습이나 탐구기반학습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독서의 한 방법으로서 통합교육과정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 방법은 교과교사와의 협력을 통해서 완성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통합교육과정과 협동수업을 위한 구체적인 학습모형으로서 독서기반 정보문제 해결모형을 소개한다.

  • PDF

하브루타 교수법을 적용한 여성건강간호학 수업이 간호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및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and learning commitment from utilizing the Havruta method in women's health nursing classes)

  • 양정하;정미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52-361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the education applying the Havruta method for nursing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and learning commitment.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test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63 nursing students (experimental group, n=31; control group, n=32) at two universitie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education applying the Havruta method for five week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 to November 30, 2022.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27.0 for an χ2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and Mann-Whitney U-test.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significant increase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z=-2.13, p=.033).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competency (t=0.64, p=.524) and learning commitment (t=0.04, p=.969)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Havruta method is an effective nursing education tool fo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a guide for nursing professors in designing and implementing educational programs that apply the Havruta method. In the future, research that applies the Havruta method and evaluates its effectiveness in nursing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continued.

부모-자녀 간 대화 빈도 인식에 따른 진로개발역량, 학업적 특성 차이 (Career Developmental Competency and Academic Outcomes according to Parent-Adolescent Contact Frequency)

  • 연은모;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339-35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초, 중, 고 학생의 부모-자녀 간 대화 빈도에 대한 인식 차이에 따른 차별적인 특징을 갖는 유형을 탐색하고, 탐색된 유형에 따라 초, 중, 고 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학업적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초·중등 진로 교육 현황조사(2018)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잠재프로파일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초, 중, 고 학생의 부모-자녀 간 대화 빈도에 대한 인식 차이는 초등학생 6개 잠재계층(자녀 학교생활 대화 상, 자녀 상-부모 학교 생활 대화 상, 자녀 하-부모 하, 자녀 상-부모 상, 자녀-부모 학교생활 대화 상, 자녀 하-부모 중), 중학생 6개 잠재계층(자녀 하-부모 하, 자녀 중-부모 중, 자녀 상-부모 하, 자녀 상-부모 중상, 자녀 하-부모 상, 자녀 최상-부모 최상), 고등학생 7개 잠재계층(자녀-부모 학교생활 대화 상, 자녀 상-부모 하, 자녀 중-부모 중, 자녀 중-부모 상, 자녀 하-부모 하, 자녀 상-부모 중상, 자녀 최상-부모 최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초, 중, 고 모두 잠재계층에 따라 진로개발역량(자기이해와 사회성, 직업이해, 진로탐색, 진로설계와준비도)과 학업적 특성(자율적 학습 동기, 자기주도학습)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체로 부모-자녀 모두 대화 빈도가 높다고 인식한 집단과 부모보다 자녀가 인식한 대화 빈도 수준이 높은 집단의 진로개발역량과 학업적 특성 점수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초, 중, 고 학생은 부모와의 대화 빈도를 부모와 다르게 인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인식의 차이가 진로개발역량과 학업적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영향 요인 (Affecting Factors on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 김미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884-1893
    • /
    • 2015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정도를 확인하고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소재의 일 대학 간호과 2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207명이었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4년 8월 25일부터 9월 15일까지 이었다. 연구결과 임상수행능력은 간호학전공 만족도, 임상실습 만족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전문직 자아개념, 비판적 사고성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전문직 자아개념, 비판적 사고성향 순이었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영향요인을 고려한 효율적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라쉬 모델을 사용한 본초학 시험의 학업역량 분석 연구 (Study on the Academic Competency Assessment of Herbology Test using Rasch Model)

  • 채한;이수진;한창호;조영일;김형우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7-41
    • /
    • 2022
  • Objectives: There should be an objective analysis on the academic competency for incorporating Computer-based Test (CBT) in the education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KM). However, the Item Response Theory (IRT) for analyzing latent competency has not been introduced for its difficulty in calculation, interpretation and utilization. Methods: The current study analyzed responses of 390 students of 8 years to the herbology test with 14 items by utilizing Rasch model, and the characteristics of test and items were evaluated by using characteristic curve, information curve, difficulty, academic competency, and test score. The academic competency of the students across gender and years were presented with scale characteristic curve, Kernel density map, and Wright map, and examined based on T-test and ANOVA. Results: The estimated item, test, and ability parameters based on Rasch model provided reliable information on academic competency, and organized insights on students, test and items not available with test score calculated by the summation of item scores. The test showed acceptable validity for analyzing academic competency, but some of items revealed difficulty parameters to be modified with Wright map. The gender difference was not distinctive, however the differences between test years were obvious with Kernel density map.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analyzed the responses in the herbology test for measuring academic competency in the education of TKM using Rasch model, and structured analysis for competency-based Teaching in the e-learning era was suggested. It would provide the foundation for the learning analytics essential for self-directed learning and competency adaptive learning in T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