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 growing

검색결과 395건 처리시간 0.026초

화본과 관상용 그래스의 종자처리와 플러그 묘 생산 (Seed Treatment and Plug Production of Ornamental Grasses (Gramineae spp.))

  • 김기동;김윤중;이종민;이정호;주영규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4호
    • /
    • pp.376-380
    • /
    • 2013
  • 유전자원으로서의 화본과(Gramineae) 관상용 그래스 식물의 번식을 위한 대량생산체계 확립 및 향후 농가소득 작물로의 개발을 목표로 3가지 화본과 관상용 그래스(ornamental grass)의 종자 발아촉진과 플러그 묘 생산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종자처리에 의한 새(Arundinella hirta var. ciliate Kodiz)의 최종 발아율은 NaOCl 4% 농도로 60분 처리구가 52.6%로 나타났으며, NaOH 4% 농도로 30분 처리구가 49.4%로 가장 높았다. Switchgrass(Panicum virgatum)는 NaOCl 4% 농도로 10분 처리구가 20.3%의 발아율을 보였고, NaOH 2% 농도로 60분 처리구가 22.4%로 가장 높았다. 수크령(Pennisetum alpecuroides)은 NaOCl 4% 농도로 60% 처리구가 98.4%의 발아율을 보였고, NaOH는 4% 농도로 30분 처리구가 98.5%로 가장 높았다. 플러그 묘 생산 분석결과 구의 크기가 동일할 경우 초종별로는 수크령이 약 21일(162구)~30일(40구)로 가장 빠르게 형성되었다. 새의 플러그 형성 시점은 약 32일(162구)~44일(40구)로 Switchgrass 32일(162구)~40일(40구)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3초종 모두 구의 크기가 작을수록 플러그 형성시점이 빠르게 나타났으나, 크기가 클수록 생장 기간이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식물의 산업용 지방산 생산을 위한 오일합성 유전자의 기능과 이용 전망 (Acyltransferases for production of industrial oils in transgenic plants)

  • 김현욱;이경렬;박종석;노경희;김순희;김종범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7권2호
    • /
    • pp.220-227
    • /
    • 2010
  • 식물 종자오일의 지방산은 인간에 필수 지방산을 공급하는 식용 및 생필품 생산에 필요한 다양한 산업원료로 사용된다. 식물 오일의 식용 및 산업용 적합성과 경제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유전공학에 의한 종자오일의 양과 지방산 조성 변형을 위한 대사조절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식물에 일반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산업적으로 유용한 특이지방산의 합성과 종자오일로의 축적은 한계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 그 이유는 재배가 용이하며 생산성이 높은 오일식물의 acyltransferase가 특이지방산에 대한 기질특이성이 떨어지며 또한 특이지방산에 대한 세포막지질에서 종자오일로 전환시키는 편집기작 (editing mechanism)이 없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최근에 모델식물의 종자오일의 축적에 관여하는 acyltransferase에 관한 유전자들이 클로닝되었고, 특이지방산이 합성되는 인지질에서의 편집기작에 관여하는 acyltransferase 유전자들이 밝혀져 이들 유전자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특이지방산을 효과적으로 생산.증진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피마자오일의 주성분인 산업용 특이지방산인 리시놀레인 지방산을 오일식물에서 생산하기 위해 이에 관여할 것으로 추정되는 11개의 acyltransferase 유전자를 피마자 유전체 데이터베이스에서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들 유전자들의 도입에 의해 형질전환 식물이 갖고 있지 않은 리시놀레인산에 대한 기질 특이성을 부여하여 종자오일 내의 특이지방산의 생산을 증가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발아환경에 따른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품종간 발아력, 기발아속도 및 발아피크기간 비교 (Comparison of Seed Germinating Vigor, Early Germination Speed and Germination Peak Time in Perennial Ryegrass Cultivars under Different Germination Conditions)

  • 김경남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3호
    • /
    • pp.274-282
    • /
    • 2013
  • 본 실험은 ISTA 변온 및 자연실온 환경에서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신품종의 종자 발아력, 초기발아속도 및 발아피크기간 등의 특성을 연구 비교해서 실무적으로 한지형 잔디의 설계, 시공 및 관리에 활용하고자 시작하였다. 실험 I은 ISTA 변온(8시간: 광조건, $25^{\circ}C$; 16시간: 암조건, $15^{\circ}C$), 실험 II는 $5-25^{\circ}C$로 유지되고 있는 실내 실온환경에서 수행하였다.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종자의 발아력, 초기발아속도 및 발아피크기간은 발아환경 및 품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종자 발아력은 ISTA 변온환경에서 66.00-93.75%, 자연실온 환경에서 66.25-93.50%로 나타났다. 초기발아속도는 ISTA 변온에서 'Pennant II', 'Brightstar II', 'Sonata', 'Accent II' 품종, 자연실온에서는 'Pennant II' 및 'Brightstar II' 품종이 우수하였다. 품종별 발아피크 기간은 ISTA 변온 환경에서 1.48-5.65일, 자연실온에서는 2.17-10.63일로 나타났다. 발아환경에 관계없이 'Sonata', 'Pennant II' 및 'Brightstar II' 품종의 발아피크 기간이 짧았고, 발아피크 기간이 가장 긴 품종은 'Revenge GLX' 이었다. 본 실험 결과 종자 발아력, 초기발아속도 및 발아피크기간을 종합적으로 고려 시 ISTA 변온에서는 'Pennant II', 'Brightstar II', 'Sonata' 및 'Accent II' 품종이 우수하였다. 그리고 자연실온 환경에서는 'Pennant II' 및 'Brightstar II' 품종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마가목 종자(種子)의 발아율(發芽率) 향상(向上) 및 육묘기술(育苗技術) (Study on germination rate enhancement and seedling raising-method development on Sorbus commixta Hedl.)

  • 이성열;조수현;노준현;윤종탁;유창연;이진하;김종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5-142
    • /
    • 2003
  • 본 연구는 마가목의 발아율 제고 및 육묘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마가목 종자는 무처리에서 22.6%정도의 저조한 발아율을 보였으나, BA 200ppm을 20분간 처리에서는 78.9%정도로 발아율이 높았다. 산사나무 종자는 최고 11.1%의 발아율을 보였으나, 화학약품과 생장조절제 처리에 의한 발아율 증가는 없었다. 출현율은 상자 육묘와 포트육묘 재배 시 93-95%로 높았으며, 49공 포트육묘 재배 시 육묘기간 50일 묘에서 근장이 길고, 건조근중이 높아 근생육이 양호하게 나타났다. 상자육묘 재배 시 육묘기간이 40일 묘에서 초장, 건조엽중이 포트육묘 보다 높았으며. 결과적으로 마가목의 실생육묘시 포트육묘로 50일 재배 후 이식하는 것이 가장 양호 하였다.

결명재배가 토양선충밀도와 콩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cultivation of Cassia tora on Soil Nematode Population and Soybean Growth)

  • 조선행;김광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20-225
    • /
    • 1991
  • 콩을 연작해온 밭토양에 경명을 재배하므로써 토양선충밀도를 줄일 수 있으며 이것이 콩생육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기 위하여 콩단작구, 결명단작구, 콩-결명혼작구 및 간작구를 만들어 1년간 재배한 후 그 자리에 3년동안 콩을 재배하면서 선충밀도와 콩의 생육을 조사하엿다 1. 콩단작구에 비하여 결명혼작구 및 간작구에서 토양선충밀도는 크게 낮았고 결명단작구에서는 결명의 생육이 왕성해지면서 토양선충이 완전히 없어 졌다. 2. 결명단작구에 이듬해부터 콩을 계속 재배했어도 토양선충의 밀도는 아주 낮았고 결명혼작고 또는 간작구에 콩을 계속 재배하여도 3년차까지는 콩연작구보다 선충밀도가 훨씬 낮았다. 3. 결명의 뿌리에는 뿌리혹이 착생하지 않는것이 특징인데 콩과 결명을 혼작 또는 간작하여도 콩뿌리에 형성된 뿌리혹의 수는 콩단작구와 차이가 없었다. 4. 콩 성열기의 주당입수, 주당입수 및 주당입중은 결명과 혼작 또는 간작하여도 콩단작구와 차이가 없었다. 결명단작구, 혼작구 및 간작구의 뒷자리에 이듬해부터 콩을 재배한 결과 2년차까지는 콩연작구보다 생육이 더 좋았다.

  • PDF

콩의 생육단계별 HTO 증기 피폭에 따른 작물체내 TFWT 및 OBT 농도 (TFWT and OBT Concentrations in Soybean Plants Exposed to HTO Vapor at Different Growth Stages)

  • 임광묵;최용호;이원윤;박효국;강희석;최희주;이한수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9권4호
    • /
    • pp.213-219
    • /
    • 2004
  • 피폭상자 내에서 콩을 생육단계별로 1시간 동안 HTO 증기에 피폭시켰다. 피폭종료 직후 작물체내 TFWT의 상대농도(피폭 시간 동안 피폭상자내 공기 수분중 평균 HTO 농도에 대한 백분율)는 대체로 잎 > 깍지 > 종실 > 줄기의 순으로 잎에서는 최고 40.2%, 줄기에서는 최고 6.4%였다. TFWT 농도는 수확시 까지 피폭시기에 따라 수 천${\sim}$수 십만 배 감소하였으며 대체로 잎 > 깍지 > 종실 > 줄기의 순으로 감소 정도가 켰다. 수확시 OBT 상대농도(피폭종료 직후 잎의 TFWT 농도에 대한 건조시료 내 OBT 농도의 비, $m{\ell}g^{-1}$)는 콩 종실의 경우 피폭시기에 따라 $2.2{\times}10^{-5}{\sim}9.5{\times}10^{-3}$의 범위로 종실의 발육 최성기 피폭시 가장 높았다. OBT 농도의 피폭시기에 따른 변이는 종실과 꼬투리에서 경엽부에 비해 훨씬 컸다. 콩의 생육중 급성 피폭시 종실 소비에 따른 섭취피폭 선량은 대부분의 경우 거의 전적으로 OBT에 기인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HTO의 단기적 사고방출시 두류내 $^3H$ 농도 예측을 위한 모델 수립 및 검증에 활용될 수 있다.

벼 건묘육성을 위한 볍씨 철분코팅기술 연구 (Research on Iron-coated Seeds on a Rice Seedling Raising Nursery in Machine Transplanting)

  • 박광호;강윤규;오대근;김양식;장진택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3권1호
    • /
    • pp.19-26
    • /
    • 2011
  •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육묘에서 이앙작업 단축을 위하여 본답육묘(못자리)에서 하우스 육묘(육묘공장) 시스템을 전국적으로 채택하고 있으나 이앙당시 유묘의 연약한 생장으로 모내기 약 2주전 별도로 본답 또는 외기로 육묘상자를 옮겨 경화를 시키는 번거로운 문제점에 있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는 철분코팅볍씨를 이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어 육묘공장(못자리)에서도 본 연구결과를 활용할 경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1. 철분코팅을 한 볍씨는 무처리에 비하여 발아, 출아, 유묘생장에 극히 정상적이었다. 2. 이앙당시 유묘의 초장 생장은 무처리에 비하여 작아 육묘상자 운반과정, 이앙작업 시 손상이 줄어 들 것으로 보였다. 3. 유묘의 엽수 뿌리 생육이 무처리에 비하여 양호하여 초기 유묘생장에 유리할 것으로 보였다. 4. 철분코팅을 한 유묘의 지상부, 지하부 생장이 무처리에 비하여 양호하여 건묘육성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Mechanism of amyloidogenesis: nucleation-dependent fibrillation versus double-concerted fibrillation

  • Bhak, Ghi-Bom;Choe, Young-Jun;Paik, Seung-R.
    • BMB Reports
    • /
    • 제42권9호
    • /
    • pp.541-551
    • /
    • 2009
  • Amyloidogenesis defines a condition in which a soluble and innocuous protein turns to insoluble protein aggregates known as amyloid fibrils. This protein suprastructure derived via chemically specific molecular self-assembly process has been commonly observed in various neurodegenerative disorders such as Alzheimer's, Parkinson's, and Prion diseases. Although the major culprit for the cellular degeneration in the diseases remains unsettled, amyloidogenesis is considered to be etiologically involved. Recent recognition of fibrillar polymorphism observed mostly from in vitro amyloidogeneses may indicate that multiple mechanisms for the amyloid fibril formation would be operated. Nucleation-dependent fibrillation is the prevalent model for assessing the self-assembly process. Following thermodynamically unfavorable seed formation, monomeric polypeptides bind to the seeds by exerting structural adjustments to the template, which leads to accelerated amyloid fibril formation. In this review, we propose another in vitro model of amyloidogenesis named double-concerted fibrillation. Here, two consecutive assembly processes of monomers and subsequent oligomeric species are responsible for the amyloid fibril formation of $\alpha$-synuclein, a pathological component of Parkinson's disease, following structural rearrangement within the oligomers which then act as a growing unit for the fibrillation.

Methane Gas Sensing Properties of the Zinc Oxide Nanowhisker-derived Gas Sensor

  • Moon, Hyung-Sin;Kim, Sung-Eun;Choi, Woo-Chang
    • Transactions on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s
    • /
    • 제13권2호
    • /
    • pp.106-109
    • /
    • 2012
  • A low power methane gas sensor with microheater was fabricated by silicon bulk micromachining technology. In order to heat up the sensing layer to operating temperature, a platinum (Pt) micro heater was embedded in the gas sensor. The line width and gap of the microheater was 20 ${\mu}m$ and 4.5 ${\mu}m$, respectively. Zinc oxide (ZnO) nanowhisker arrays were grown on a sensor from a ZnO seed layer using a hydrothermal method. A 200 ml aqueous solution of 0.1 mol zinc nitrate hexahydrate, 0.1 mol hexamethylenetetramine, and 0.02 mol polyethylenimine was used for growing ZnO nanowhiskers.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sensor was analyzed by infrared thermal camera. The optimum temperature for highest sensitivity was found to be $250^{\circ}C$ although relatively high (64%) sensitivity was obtained even at as low a temperature as $150^{\circ}C$. The power consumption was 72 mW at $250^{\circ}C$, and only 25 mW at $150^{\circ}C$.

Barium Nitrate Single Crystals Growth by Aqueous Solution Method

  • Joo, Gi-Tae;Kang, Bonghoon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2권12호
    • /
    • pp.706-710
    • /
    • 2012
  • The growing conditions of barium nitrate $Ba(NO_3)_2$ single crystals using the aqueous solution method have been studied. Supersaturation can be calculated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solution and its equilibrium temperature. Supersaturation of $Ba(NO_3)_2$ was 0.7% at $32.0^{\circ}C$ and about 3% at $34.0^{\circ}C$. The obtained single crystals have three kind of morphology: tetrahedral, cubic, and, rarely, dodecahedral. The normal growth rate is proportional to the supersaturation; it is necessary to make the solution below 5% supersaturation in order to obtain transparent $Ba(NO_3)_2$ single crystals. The normal growth rate for {1$\bar{1}$1} faces was $2.51{\times}10^{-6}$ mm/s for the 0.7% supersaturation condition ($32.0^{\circ}C$), $6.43{\times}10^{-6}$ mm/s for the the condition of 3.0% supersaturation, and $7.01{\times}10^{-6}$ mm/s for the condition of 5.0% supersaturation. The quality of the grown crystals depends on the nature of the seed, the cooling rate employed, and the agitation of the solution. The faces of the obtained crystals have been identified uising an X-ray diffractometer. The surface diffusion is responsible for the low growth rates of the {1$\bar{1}$1} fa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