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tific inquiry capability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9초

초등과학의 '지구와 우주' 분야에서 POE 수업모형 적용이 과학탐구능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OE Model on Science Process Skill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Domain 'Earth and Space'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 이상봉;이용섭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32-140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the POE(Prediction-Observation-Explanation) teaching-learning model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capability of scientific inquir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OE teaching-learning model is a three stage process modeling scientific inquiry : Prediction, Observation, and Explanation. This research is to see the effectiveness of the POE method in earth science class by applying this simple practical strategy out of various methods in science teaching with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capability of scientific inquiry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learn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OE strategy in science teaching-learning was found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learners' scientific inquiry capability. Second, the POE strategy in science teaching-learning is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The findings mentioned above suggest that using the POE strategy in science class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has significant effects on improvement of scientific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tific inquiry capability of learners compared with the general science teaching-learning strategy. It also shows to be highly recommendable for use in science class.

  • PDF

어머니의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인식수준과 상호작용수준에 따른 자녀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호기심과의 관계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Capabilities and Curiosity : Effects of Mothers' Awareness of Science Education and Mutual Interaction)

  • 김정주
    • 아동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3
    • /
    • 2009
  • This study examined the extent to which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capabilities and curiosity are affected by their mothers' awareness about science education and their mutual interaction. Instruments were Levels of Mothers' Awareness about Science Education and Interaction with Children (Jeon, 2006), Children's Scientific Thinking Capabilities (Lee, 2000), and Children's Curiosity (Lee, 2001). Differences between high-and low-ranked groups were analyzed by t-tests.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whose mothers displayed high levels of awareness about science education and mutual interaction showed better scientific inquiry capabilities and curiosity than children whose mothers did not display such high levels. By confirming the significant role of mothers in their children's science education these results can be an aid to parent education.

  • PDF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자유탐구 방안 (A Freedom Inquiry Method by Revised Science Curriculum in 2007)

  • 이용섭;박미진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65-7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Freedom Inquiry Method by Revised Science Curriculum in 2007. This study introduced IIM(Independent Inquiry Method), PBL(Problem Based Learning), Small Inquiry Method, Science Notebooks, Project Learning Method about Freedom Inquiry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IM(Independent Inquiry Method) is studying method in the inquiry process center. The inquiry process is composed of total 9 phases, inquiry subject really it is, detailed aim deciding, information searching, it searches, quest result it arranges, aim evaluation, the report making, it announces, it evaluates, it is become accomplished. Second, It is a studying method which it starts with the problem which is Problem Based Learning, study atmosphere creation phase, problematic presentation phase and sleep static problem solving the phase which it attempts, it is become accomplished with autonomous studying phase, coordinated studying and discussion studying phase, discussion resultant announcement studying phase, arrangement and evaluation. Third, Small Inquiry Method, Call it accomplishes the call grade of the students among ourselves 4~8 people degree where only the quest learning capability is similar within class. Also interaction and coordinated function of the members between it leads and the subject which is given in the group it cooperates and it solves with it is a quest method which arrives to aim of commonness. This method divides on a large scale in three parts, it becomes accomplished in programming phase, quest accomplishment and resultant announcement. Fourth, Science Notebooks learns a scientific contents and a scientific quest function and the possibility of decreasing in order to be, from the fact that the help which it understands. This planing, data searching, it searches, becomes accomplished with resultant arrangement, announcement and evaluation. Fifth, The Project Learning Method the studying person oneself studying contents, it establishes a plan and it collects it accomplishes process of etc. it evaluates it leads and a subject and information and with real life it is a method which it studies naturally from the learning environment inside which is similar. This is preliminary phase, project start, project activity and project arrangement.

  • PDF

학습(學習) 부진아(不振兒)의 과학(料學)에 대(對)한 태도(態度) 및 과학적(科學的) 태도(態度) 조사(調査) 연구(硏究) (An Investigation of the Attitude Toward Science and Scientific Attitude for the Underachievers)

  • 이범홍;김영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6-33
    • /
    • 1984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general attitude toward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behavior of underachiever at the junior high school level. In this study, underachiever was defined as the one who is below the minimum acceptable performance level because of his/her deficiencies in prerequisites but who has the capability to reach the required mastery level in normal classroom.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underachiever, IQ test and achievement test in science which were developed by the investigators were used. The attitude test which was to measure the general attitude toward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behaviors of the underachiever was also developed by the investigators. The tests were given to 250 1st grad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one experimental school. Out of 250, 55 underachievers were identified. For the study, 55 underachievers with 57 normal students were compar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ies between underachievers and normal students in both attitude toward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behavior. Th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wareness on science by underachievers was minimal compared to normal students. 2. Compared to normal students, there was a tendency by underachievers to think the influence of science on their real life is remote. 3. Underaschievers were less positive, less voluntary and were less persistent in science activities than normal students. 4. Underachievers were less interested in science than normal students. These findings showed us tha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the attitude and achievement level. This suggests that fostering attitude toward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behavior is needed for the improvement of achievement level of underachievers.

  • PDF

초등학생들과 초등예비교사들이 관찰활동에서 생성한 과학적 의문의 유형 (Types of Scientific Questions Generated in Observational Activity by Elementary Students and Preservice Teachers)

  • 이혜정;정진수;박국태;권용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1018-1027
    • /
    • 2004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적인 현상이 제시되었을 때 초등학생들과 초등예비교사들이 그 현상을 관찰하는 과정에서 생성하는 과학적 의문의 유형을 분석하여 분류하고, 초등학생들과 초등예비교사들이 생성한 의문의 유형과 수를 비교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하여 관찰활동 수행에 적합한 4가지의 과제 즉, 사이다에 담긴 건포도 관찰, 촛불 관찰, 잉크에 염색된 샐러리 관찰, 암석 관찰을 개발하고, 초등학교 6학년 학생 40명과 교원 양성 대학교에서 초등교육을 전공하는 초등예비교사 4학년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과학적 의문의 유형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적 의문의 유형은 크게 추측적 의문, 인과적 의문, 예측적 의문, 방법적 의문, 적용적 의문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하위 의문으로 각각 대상탐색 의문과 대상확인 의문, 설명자탐색 의문과 설명자확인 의문, 결과탐색 의문과 결과확인 의문, 실례탐색 의문과 실례확인 의문으로 분류하였는데, 방법적 의문에서는 하위 의문이 나타나지 않았다. 초등학생들과 초등예비교사들이 생성한 과학적 의문의 유형은 모두 동일하였으나, 그 빈도에 있어서는 차이가 나타났다.

소프트웨어 활용 탐구 활동을 통한 고등학생의 프로그래밍과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인식 변화와 과학 학습에 대한 태도 조사 -스크래치와 피지컬 컴퓨팅 교구의 활용을 중심으로- (Study of Perception on Programming and Computational Thinking and Attitude toward Science Learning of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Software Inquiry Activity: Focus on using Scratch and physical computing materials)

  • 황요한;문공주;박윤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25-335
    • /
    • 2016
  • 최근 소프트웨어 중심사회 실현 전략을 목적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교육이 국내에서도 많이 강조되고 있는데, 이것은 정보과목 뿐 아니라 다양한 교과 활동과 연계하여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소프트웨어 교육이 강화되면서,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지침(MOE, 2015)이 발표되었다. 이것은 교육부가 소프트웨어 교육을 얼마나 중요시하는 지를 보여준다. 소프트웨어 교육은 과학교육과도 관련이 있는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알고리즘 교육과 피지컬 컴퓨팅을 활용한 센서 측정 및 출력 제어 활동은 과학교육에서 최근 강조되고 있는 과학적 탐구 전략으로서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최근 강조되고 있는 컴퓨팅 사고력 개발을 위해서도 적절한 교육방법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상에서의 과학적 문제를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EPL)를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와 피지컬 컴퓨팅 교구를 사용해 해결하는 탐구활동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고등학생들에게 적용해 보았다. 적용 전후 학생들의 프로그래밍과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보기 위해 컴퓨터 활용 능력 설문지를 소프트웨어 교육의 성취기준과 컴퓨팅 사고력의 구성요소와 관련지어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언플러그드 활동과 EPL 소프트웨어 및 피지컬 컴퓨팅 교구를 활용하여 구성된 소프트웨어 활용 탐구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프로그래밍과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인식이 향상되었으며, 컴퓨팅을 통한 문제해결에 대한 자신감도 향상되었다. 또한 소프트웨어 활용 탐구활동을 경험한 학생들은 과학에 대한 흥미와 적극성, 과제집착력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에서 시각적 사고에 기반한 인포그래픽 활용 물리 수업의 효과 (The Effect of Physics Instruction Using Infographics Based on Visual Thinking in High School)

  • 노상미;손정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77-485
    • /
    • 2015
  • 본 연구는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물리 교과서에 제시된 인포그래픽 자료들을 활용하여 시각적 사고에 기반한 인포그래픽 활용 수업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 60명의 학생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고, 실험집단에 '인포그래픽 개념형성, 인포그래픽 이해활동, 인포그래픽 구성활동'으로 구성된 25차시의 수업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일반적인 강의식 수업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구성한 인포그래픽의 특징은 '단순 배치'에서 '단순 재구성', '일러스트형'에서 '비교분석형'으로 표현 방식이 변화되었는데, 이는 구성 횟수 증가에 따른 학생들의 시각적 사고의 활성화에 의한 것이다. 둘째, 인포그래픽 활용 수업으로 인해 시각적 사고는 이해도, 가시도, 유용성, 소통성 영역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인포그래픽 활용 수업 후 실험집단의 성취도 평균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넷째, 과학적 태도 검사에서는 '과학자의 평범성, 과학적 탐구의 태도, 과학적 태도의 수용'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로부터, 인포그래픽 활용 수업은 학생들의 시각적 사고력 향상을 통해 과학 개념 이해, 의사소통력이 높아져 학업성취도와 과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과학교과의 사회정서학습(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적용 가능성 탐색: 과학 교과서의 과학과 사회정서학습 요소 분석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Applying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to Science Subjects: Analysis of Social Emotional Learning Contents in Science Textbooks)

  • 박현주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1권3호
    • /
    • pp.297-317
    • /
    • 2017
  • 본 논문은 과학과에서 사회정서학습(Science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SSEL)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과학과 사회정학습 요소를 제안하고, 그에 따라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물질 분야 및 고등학교 화학I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과학과 사회정서학습의 가능성과 필요성은 과학교육의 목표인 과학적 소양과 과학의 본성에서 찾을 수 있었다. 과학과 사회정서학습의 요소는 '수리(Numeracy),' '정보통신활용(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 '창의적 사고(Creative Thinking),' '사회적 기술(Personal and Social Capability),' '윤리적 이해(Ethical Understanding),' '문화적 이해(Intercultural Understanding)' 등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고, 그에 따라 과학 교과서 중 물질의 분야 및 화학I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과학과 물질분야의 교과서 내용 및 화학I 교과서의 내용에 수리, 정보통신활용, 비판적 사고, 창의적 사고가 60~70% 이상 포함되어 있으나, 사회적 기술능력, 윤리적 이해 능력, 문화적 이해 능력 등은 제한적으로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서의 부족한 요소들에 대해서는 추후 교과서의 내용의 수정 또는 교사의 수업을 통한 보완 등이 필요하다. 또한 과학 교과에서 얻고자 하는 과학적 탐구 능력과 사회정서적 역량을 동시에 기를 수 있는 과학과 활동이나 실험 활동 등 구체적인 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