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textbooks

검색결과 968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분석 (Elementary Science Textbook Analysis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김효남;박도영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3권2호
    • /
    • pp.258-270
    • /
    • 2009
  • 과학교과서는 한국과 미국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교수 학습 자료이다. 과학교육목표와 과학교과내용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한국과 미국의 1학년과 4학년 과학 교과서 각각 100 쪽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과학교육목표를 분석하였다. 1학년에서 6학년까지의 생명 영역의 과학 내용이 분석되었다. 한국의 1학년 과학내용은 슬기로운 생활 교과서를 분석하였는데, 슬기로운 생활 교과는 과학교과와 사회교과의 통합교과이다. 미국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 초등학교 교과서 중 하나인 Harcourt Science의 1학년과 4학년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과학교육목표분석체계는 과학 지식, 과학적 탐구, 과학적 태도, STS, 그리고 과학 철학과 역사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국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는 과학적 탐구 보다 과학 지식을 더 많이 포함하고 있었다. 한국의 과학 교과서는 과학 지식 보다는 과학적 탐구를 더 많이 포함하고 있었다. 미국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는 생명 영역의 일부 주제에 대하여 한국 보다 더 어려운 내용을 다루었고, 세포나 생태계의 종류에 대해서는 여러 학년에 걸쳐 반복적으로 다루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제6차, 제7차,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STS 관련 내용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STS Contents o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in 6th, 7th and Revision 2007 National Curriculum)

  • 이혜림;최현동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2-50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TS content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according to 6th, 7th and revision 2007 national curriculum. The contents of STS were analyzed by the STS elements of Yager and the STS topics of Piel's standard. Major findings from the analyses are as follows: (1) The STS contents in the science textbooks of the 6th curriculum took up 13.7% and increased to 18.3% in the 7th and 19.0% in the revision 2007, which showed that the textbooks followed the goal of the national curriculum faithfully. (2) Based on the STS elements by Yager's standard, most of STS content is focused on 'Application of science', 'Social problems and issues' and 'Local and community relevance'. (3) Based on the STS topics by Piel's standard, most of STS contents are focused on 'Effect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Society of scie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ecent STS education trends are reflected on the 6th, 7th and revision 2007 textbooks well. However, it is suggested that some improvement is needed, such as diversification of topic.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비교 연구: 3학년 물질 영역의 과학적 개념 및 탐구 과정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in Korea and the U.S. : Focusing on $3^{rd}$ Grade Scientific Concepts and Inquiry Process in 'Matter' Units)

  • 서예원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5호
    • /
    • pp.509-524
    • /
    • 2007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mpare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3^{rd}$ grade) in Korea and the U.S., centering on the ways to present scientific concepts and inquiry process in the units of 'matter.' The analysis is focused on: a) general structure of the units; b) how to present scientific concepts in terms of its connections and complexity; c) how to present inquiry process in terms of its types and skill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matter' units are scientific discipline-based in both countries. The general structure of the units in Korean textbooks is unrestricted compared to those in the U.S. Second, the connections among the concepts are poor and the level of complexity is low in Korean textbooks, which are contrary to those in the U.S. textbooks. Third, it is a common feature that the inquiry process is based on learners' everyday experiences with simple experiments in two countries' textbooks. However, the inquiry process in the U.S. textbooks is provided with detailed instructions while the process in Korea is presented with diverse activities without formal guideline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s three recommendations to improve Korean textbooks: a) science contents should be linked to other disciplines in order to promote practical applications; b) scientific concepts are required to be tightly connected and provided with in-depth explanations; c) inquiry process is needed to be presented with specific guidance to facilitate scientific thinking.

  • PDF

2015 개정 교육과정 생명과학II와 공학일반에 제시된 생명공학기술 관련 학습 내용 분석 (An Analysis of Learning Contents Related to Biotechnology in Life Science II and General Engineering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한화정;심규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09-217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생명과학II와 공학일반의 생명공학기술 관련 학습 내용을 분석하고 생명공학기술 교육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번째, 생명과학II의 학습 주제는 생명공학기술과 관련된 윤리적인측면에 초점을 두고 있는 반면, 공학일반의 학습 주제는 끊임없이 발달하는 생명공학기술의 산업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 두번째, 생명과학II 교과서와 공학일반 교과서는 서로 중복된 생명공학기술을 다루고 있으며, 생명과학II 교과서는 공학일반 교과서보다 생명공학기술의 원리를 보다 과학적이고 전문적으로 진술하고 있으며, 생명공학기술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이 더 구체적이다. 또한 공학일반 교과서는 생명공학기술에 대한 윤리적인 접근을 등한시하고, 한국에서 금지하고 있는 생식세포 유전자 치료를 다루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러한 생명공학기술 내용이 각 학교의 교육과정과 학생특성에 따른 재구성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in High School Biology Textbooks Used in China and Korea

  • Kim, Seju;Liu, Enshan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367-1377
    • /
    • 2012
  • Inquiry activity is a major source of student investigation which both of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strongly emphasize for achieving scientific literac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quiry activities incorporated in high school biology textbooks used in China and Korea. The inquiry activities were examined with regard to inquiry level and science process skills. Bell's and a modification of Padilla's framework were used in these analyses. Results show that the Korean textbooks were more exclusively occupied by simple inquiry activities - None of them provided activity more complex than level 2 inquiry. In addition, the Korean textbooks had uniformly basic science process skills, whereas their Chinese counterparts gave students some challenges for higher level process skills. Therefore, it cannot be guaranteed that the activities in the Korean textbooks are helpful in guiding students toward a gradual progression to high-level inquiry. Implications for inquiry-based science education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한국과 캐나다의 초등학교 환경교육 관련 과학교육 내용의 비교 분석 (The Analysis of Environmental Education Related to Science in Primary School between in Korea and Canada)

  • 김경옥;정완호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1권2호
    • /
    • pp.212-223
    • /
    • 1998
  •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ore objective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ience textbooks of Korea were focused on “awareness of the environment”. While the objectives of the Project WILD of Canada were balanced between each objectives. (2) the more environmental skills in science textbooks of Korea were focused on ‘observation’ and ‘description’, while the environmental skills of the Project WILD of Canada for environmental education focused on ‘analysis’ and ‘observation’. The environmental skills fo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science textbooks of Korea were concentrated on ‘observation ’ and ‘description’, while the Project WILD of Canada were balanced between each skills for investigating the environment and the environmental problems. (3) the instructional procedures in science textbooks of Korea fo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were very similar between each activities of the science textbooks, while the instructional procedures of the Project WILD of Canada were very different, and these procedures were very useful for educating the environmental behaviors.

  • PDF

수산·해운계 고등학교 교과의 해양환경 내용분석 (The Contents Analysis of Ocean Environment of Textbooks for Fisheries and Marine High School students)

  • 김삼곤;김종화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6권2호
    • /
    • pp.143-155
    • /
    • 2004
  •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analysis about the contents associated with the ocean environment compared 17 special-subject textbooks to 2 common-subject textbooks, and to make some proposals for construction of contents. The results of it are as follows; 1. Only 17 books among 36 textbooks taught by the fisheries and marine high schools are contained to some contents related with ocean environment. The contents associated with the ocean environment take possession of 90%, 62% each of total pages in the textbooks, 'ocean pollution' and 'ocean environment'. 2. Of compulsory texts, namely, 'general fisheries', 'general ocean' and 'information treatment of fisheries-marine', the former 2 books are composed of 4.5%, 36.2% each relating with ocean environment. But the last one is nothing. 3. Therefore, even a little contents of ocean environment and its conservation, it is necessary to add as the reasonable rate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book in 36 special-subject textbooks. 4. And also it is shown that the common-subject textbooks,'ocean science', ' earth science I' and 'earth science II', are composed of 35.7%, 10%, 16.7% each. So we'd like to recommend that the contents of ocean pollution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have to add more.

한국과 미국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삽화 비교 연구: $3{\sim}6$학년 생명영역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Illustrations of Science Textbooks in Korean and American Elementary Schools -Focus on Biology Section of 3rd-6th Grades)

  • 정충덕;오홍식;최진석;강경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639-644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미국 초등학교 3-6학년 과학 교과서 삽화 분석을 통해 양국 교과서에 나타난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각 교과서에 제시되고 있는 삽화의 종류를 분석하고 각각의 삽화가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한국과 미국 교과서에서 모두 삽화의 종류로는 사진이 가장 많았고 그밖에 그림, 만화 등이 제시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사진 자료 다음으로 그림 삽화가 많았고, 만화를 중간에 삽입하여 아동들의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시키도록 하였다. 반면 미국 교과서에서는 사진 자료 다음으로 도해가 많아 한국에 비해 교과 내용에 대한 설명이 강조됨을 알 수 있었다. 삽화의 역할과 관련해서는 3-6학년 모두에서 자료 제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동기유발, 실험안내 순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할 때 사진 위주의 삽화 보다는 더 다양한 형태 삽화를 제시하는 것이 교수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삽화의 역할에 있어서도 자료 제공 뿐만이 아니라 동기 유발과 실험 안내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의 다양성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2009 개정 초등학교와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화학 영역 및 화학 I, II 교과서의 읽기자료 분석 (Analysis of the Reading Materials in the Chemistry Domain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and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and Chemistry I and II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09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 안지현;정유니;이규열;강석진
    • 대한화학회지
    • /
    • 제63권2호
    • /
    • pp.111-122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과학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와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화학 영역 및 화학 I, II 교과서의 읽기자료를 분석하였다. 읽기자료는 주제, 목적, 제시 형식, 학생 활동 유형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읽기자료에 사용된 시각자료도 유형, 역할, 캡션과 인덱스, 텍스트와의 근접성 등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가 중학교 과학과 화학 I, II 교과서보다 읽기자료 비율이 높았다.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는 실생활 응용 유형의 읽기자료가 많았으나, 중학교 과학과 화학 I, II 교과서에는 과학 지식 유형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는 개념 심화 유형의 읽기자료가 상대적으로 많았고 중학교 과학과 화학 I, II 교과서에는 개념 보충 유형의 읽기자료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읽기자료에 사용된 시각자료는 대부분 사진이나 삽화였고, 본문 보조나 본문 부연 역할의 시각자료가 많았고, 캡션이나 인덱스를 사용하지 않은 시각자료가 많았으며, 시각자료와 텍스트 사이의 근접성에도 문제점이 나타났다.

중학교 기술$\cdot$가정 교과서의 '자원의 관리와 환경' 영역과 다른 교과의 교육내용 관련성 분석 (Comparison between the Contents of 'Management of Resource and Environment' Area in Home Economics Textbook and Those of Other Subject Textbooks of Middle School)

  • 김지호;이연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5-68
    • /
    • 2005
  •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 기술$\cdot$가정 교과서 중 가정 부분의 '자원의 관리와 환경' 영역 내용과 다른 교과 내용을 분석하여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어, 도덕, 사회, 수학, 과학, 기술, 체육, 음악, 미술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음악을 제외한 전 교과의 내용에서 '자원의 관리와 환경 영역의 내용과 유사한 내용이 발견되었다. 기술$\cdot$가정 교과서의 '자원의 관리와 환경' 영역과 사회교과의 3학년 내용과 많은 관련성을 보이고 있었다 가장 다른 교과와 관련성이 높은 '자원의 관리와 환경' 영역의 내용은 '자원의 활용과 환경' 중단원 중 환경 부분과 '우리들의 소비 생활' 중단원의 소비자 관련 내용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청소년의 시간과 일 관리' 중단원의 내용이 다른 교과의 내용과 그 관련성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 각 교과마다 목표와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주제라 할지라도, 다루고 있는 초점과 제시방법, 내용의 상세성 정도가 교과마다 차이를 보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