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n Illustrations of Science Textbooks in Korean and American Elementary Schools -Focus on Biology Section of 3rd-6th Grades

한국과 미국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삽화 비교 연구: $3{\sim}6$학년 생명영역을 중심으로

  • Published : 2007.10.30

Abstract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llustrations in the 3rd - 6th grad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The analysis of the types and illustrations in the Korean and American textbooks revealed that the textbooks of both countries provide many photographs and illustrations, so as to deliver data mainly in the form of realistic illustration. In Korean textbooks, pictures and cartoons were mainly used with photographs to guide the students into experiments and to enhance their interests and curiosity. In contrast, the American textbooks place more emphasis on diagrams and photographs to train the students in analyzing and interpreting data. The Korean textbooks should place more emphasis on the diagrams in order to encourag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given data. As a result the addition of more diverse forms of illustrations and the re-organization of illustrations according to the topic should be considered in future Korean textbooks.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미국 초등학교 3-6학년 과학 교과서 삽화 분석을 통해 양국 교과서에 나타난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각 교과서에 제시되고 있는 삽화의 종류를 분석하고 각각의 삽화가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한국과 미국 교과서에서 모두 삽화의 종류로는 사진이 가장 많았고 그밖에 그림, 만화 등이 제시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사진 자료 다음으로 그림 삽화가 많았고, 만화를 중간에 삽입하여 아동들의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시키도록 하였다. 반면 미국 교과서에서는 사진 자료 다음으로 도해가 많아 한국에 비해 교과 내용에 대한 설명이 강조됨을 알 수 있었다. 삽화의 역할과 관련해서는 3-6학년 모두에서 자료 제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동기유발, 실험안내 순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할 때 사진 위주의 삽화 보다는 더 다양한 형태 삽화를 제시하는 것이 교수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삽화의 역할에 있어서도 자료 제공 뿐만이 아니라 동기 유발과 실험 안내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의 다양성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호감 (1993). 국민학교 슬기로운 생활 및 자연 교과서 구성 방향 및 체제. 한국과학교육학회 동계세미나 발표자료집, 9-21
  2. 교육부 (2002). 초등학교 과학교과서, 실험 관찰, 교사용 지도서.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3. 권치순 (1995). 한국과 미국의 국민학교 자연 교과서 내용의 비교 연구-물상과학 및 지구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과학과 수학교육논문집, 21, 153-163
  4. 김효남 (2002). 미국 초등과학 교과서 McGraw-Hill Science 외형 및 내용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청람과학교육연구 논총
  5. 남철우, 권영길 (2002). 제6차와 제7차 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삽화 비교 분석. 초등교육연구, 17(1), 73-91
  6. 두산세계대백과사전(1999). CD-ROM Title
  7. 박시현 (1993). 한.일 국민학교 자연과 교과서 삽화 비교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백승민 (2000).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3, 4학년 자연교과서 비교분석. 한국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심소진, 최영준 (2005). 한국과 일본의 초.중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비교 연구 - 물리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4), 480-493
  10. 우종옥, 정완호, 권재술, 최병순, 정진우, 허명 (1992). 국민학교 자연 교과서 개발체제 분석 및 평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2), 109-128
  11. 정완호 (1993). 고등학교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I, II 교과서 구성 방향 및 체제. 한국과학교육학회 동계 세미나 발표 자료집, 54-72
  12. 정태범 (1989). 교과서 체제 개선에 관한 연구. 교과서 연구, 2. 25-51
  13. 최병순 (1993). 과학교과서 새 교과서 구성방향 및 체제. 한국과학교육학회 동계 세미나 발표자료집, 24-33
  14. 최병순, 허명 (1987). 중학생들의 인지수준과 과학 교과 내용과의 관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7(1), 2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