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cience teachers' recognition

Search Result 18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초등학생의 성폭력에 대한 지식 및 인식 연구 -경산시내 소재 5개교 6학년생을 중심으로- (The Evaluation of the Primary School Students' Knowledge and Recognition on the Sexual Assault)

  • 육종화;박희경;채종민
    • 대한수사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5-42
    • /
    • 2008
  • As the age of the sex crime perpetrators and victims is going down, the importance of Sex Assault Prevention Education (SAPE) is on the rise. In order to see how many students are aware of the SAPE which are currently being conducted in the local schools. A total of 600 students from five different primary schools in Kyongsan City area were questioned with the questionnaire. On the whole, the level of acknowledgement on the sexual assault is estimated as 20.52 out of total point 53.00. The point in each question is shown as low as follows; The notion of Sexual Assault (9.88 out of 19), recognition of Sexual Assault (5.45 out 11), way to cope with the sexual assault (6.60 out of 11), and knowledge on the symptom induced by the sexual assault (4.04 out of 12). The SAPE should be taught to the student from the young age frequently. The efficiency of SAPE will be increased by the health-care teachers who have the professional knowledge with the case studies and teaching materials like CD-ROMs. The health-care teachers as the SAPE lecturers require continuous training.

  • PDF

협력적 멘토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초임중등과학교사의 교수실행 문제점 (An Analysis on Beginning Secondary Science Teachers' Problems in their Teaching Practice through Collaborative Mentoring)

  • 박지훈;남정희;권정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557-564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사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협력적 프로그램에 참가한 초임중등과학교사의 교수실행에서의 문제점을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자는 대학교 과학교수학습센터에서 주관한 중등과학교사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멘토링 연수 프로그램에 참가한 24명의 교사 중 5번의 멘토링 과정을 모두 이행한 6쌍(12명)을 선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멘토 및 멘티 저널, 일대일 멘토링 녹음본 및 전사본, 멘토링 중간과 사후에 실시한 인터뷰 녹화본과 전사본, 멘토링 초기와 후기에 실시한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통해서 얻은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멘티교사는 수업을 준비할 때 수업목표를 명확하게 정하지 않았으며, 학생들의 성취수준을 고려하지 않고 수업내용을 선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학적인 개념 이해에서도 어려움을 나타내었다. 대부분의 멘티교사는 한 차시에 너무 많은 내용을 수업하였으며 발문의 형태는 학생들의 사고를 이끌어내는 발산적 발문보다는 수렴적 발문이 대부분 이였다. 또한 학생들의 행동을 잘 통제하지 못하여 실험수업이나 탐구수업 수행 시 힘들어 하였으며 대부분의 수업에 학생의 참여가 없는 교사중심의 강의식 수업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멘티교사들 중 일부는 자신의 교수실행에 대해 문제라고 인식한 부분에 대한 반성을 하였고 교수실행의 개선으로 이어졌다. 같은 문제점을 가진 멘티교사라도 자신의 문제점에 대해 인식하고 반성을 한멘티교사는 문제점이 해결되는 모습을 보였으나, 반성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에는 멘토링이 진행되는 동안 계속해서 동일한 문제점을 나타냈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초임 과학 교사의 교수 실행에 대한 반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자모형에 기초한 예비과학교사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Recognition of the Nature of Science b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on the Basis of the Atomic Model)

  • 안유라;김현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39-556
    • /
    • 2011
  • 이 연구는 원자모형 사례를 이용한 과학의 본성 검사지를 사용하여 중등예비 과학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이 '원자모형'이라는 과학지식과 관련되어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살펴보고, 기존의 선행연구와 비교해 보았다. '모형에 관한 인식', '과학지식의 잠정성', '과학에서의 주관성', '추론과 상상력의 사용', '보편적인 과학적 방법에 대한 잘못된 신념', '과학과 예술의 비교'라는 6 관점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예비과학교사들은 과학지식(구름원자모형)의 잠정성, 과학에서의 주관성(톰슨과 러더퍼드의 알파입자 산란실험에 대한 해석)에 대해 비교적 잘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보편적인 과학적 방법과 관련하여 가장 바람직하지 못한 인식을 드러냈다. 모형(원자모형)에 관한 인식과 과학(보어의 원자모형)과 예술(피카소의 작품)을 비교하는 영역에서는 존재론적 관점과 구성주의적 관점이 혼재되어 나타났으며, 과학연구에서 상상력의 사용은 필수적인 동시에 최대한 자제되어야 한다는 다소 모순된 생각을 보여줬다. '모형'이나 '과학이론'과 같은 일반적인 용어를 사용하여 조사된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본 연구결과와 비교한 결과, 과학지식의 잠정성에 대해 보다 높은 긍정을 나타내게 했으며, 과학자의 연구방법에 대해 구체적인 과학자를 제시하였을 때, 응답자들은 좀 더 바람직한 인식을 드러내는 경향을 보였다.

논의-기반 모델링 전략을 이용한 일반화학실험에서 글쓰기 대상에 따른 예비화학교사들의 모델링 능력 및 모델링에 대한 인식 분석 (Analysis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Modelling Ability and Perceptions in Science Writing for Audiences of General Chemistry Experiment Using Argument-based Modeling Strategy)

  • 조혜숙;김한영;강유진;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3권6호
    • /
    • pp.459-472
    • /
    • 2019
  • 이 연구는 논의-기반 모델링 전략을 적용한 일반화학실험 수업에서 글쓰기 대상에 따른 과학 글쓰기가 예비 화학교사들의 모델링 능력 및 모델링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이와 함께 예비 화학교사들의 화학개념 이해에 미치는 영향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서 사범대학 화학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 화학교사 1학년 18명을 대상으로 11개 주제의 논의-기반 모델링 전략을 적용한 일반화학실험 수업을 진행하였다. 화학개념 이해는 사전과 사후의 화학개념 이해 검사 점수에 대한 효과크기를 비교하였다. 모델링 능력은 예비 화학교사들이 제시하는 모델을 설명, 표상화, 의사소통의 3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집단의 효과크기를 분석하였으며, 모델링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예비 화학교사의 화학개념 이해와 모델링 능력은 글쓰기 대상인 독자의 수준이 낮은 경우,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글쓰기 대상에 따른 집단에서 모델링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모델링 과정을 경험함에 따라 예비 화학교사들의 응답이 더 구체적으로 변해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보건교사 교육실습생이 인지하는 보건교사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Role Expectation and Role Performance in School Health Teachers Recognized by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Teaching Practice)

  • 권진옥;오진아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6-43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 of role expectation and role performance in school health teachers recognized by nursing students experiencing health teacher practice and to compare role expectation and performance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Metho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30 nursing students from 42 universities in Korea. The data was collected by a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by SPSS 17.0 program. Results: The student recognition in role expectation for school health teachers showed a high level and its level in the role performance was moderate. The students recognized the role expectation was greater than the role performance in school health teachers. The students' points of view for role expectation and performance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practicing locations, practicing school sizes, and their expressions of health teacher's images. Conclusion: To improve health teacher training and to provide a high quality education, practice manuals, educational support, cooperation between the university and practice school, and support of human resources as school health teachers are necessary.

중등 과학교사 글쓰기 교육 기준 탐색 (Exploring Writing Education Standards for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 어선숙;조희형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82-200
    • /
    • 2012
  • 최근 과학 글쓰기에 관한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과학 시간 또는 과학적 탐구 시간에 글쓰기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는 인식이 점점 널리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과학교사들은 과학 글쓰기 교수에 필요한 자질과 능력을 충분하게 지니고 있지 않은 실정이며, 그런 자질과 능력의 함양에 목적이 있는 과학교사의 직전 연수 및 현직 연수에 적용할 수 있는 과학 글쓰기 교육 기준이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 논문에서는 과학 글쓰기를 위한 과학교사 교육 및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과 과학 글쓰기 교수-학습 내용의 선정 조직에 적용할 수 있는 과학 글쓰기 교육 기준을 제시한다. 이 목적은 문헌조사 방법을 적용해 달성하였다. 과학글쓰기 기준은 네 영역으로 나눈 다음, 각 영역을 다시 2-3개의 교육 기준으로 나누고, 각 교육 기준을 하위교육 기준으로 소분화하여 제시한다. 이 논문에서는 총 42개의 하위교육 기준이 제시되어 있다.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 효능감 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Teaching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Attitude toward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 이은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35-158
    • /
    • 2013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 효능감의 정도를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3년제와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29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 회수한 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의 과학교수지식이 보통정도이며 과학적 태도도 보통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들의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적 태도는 3년제 대학의 3학년과 4년제 대학의 3 4학년 집단이 2학년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학년 집단은 1학년 집단보다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적 태도가 낮게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들의 과학교수 효능감은 4년제 대학의 경우,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적 태도와 유사하게 2학년 집단이 가장 낮은 반응을 나타냈고 3년제 대학의 경우 학년이 높아질수록 과학교수 개인효능감이 높아졌다. 예비유아교사들의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 효능감 간에는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으며 이는 과학교수지식이 높을수록 과학적 태도와 과학교수 효능감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중에서 과학적 태도가 과학교수 효능감보다 과학교수지식과 더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앞으로 예비유아교사 교육에서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 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수방법에 대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중등 영재 지도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과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The Secondary Gifted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STEAM and the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 서보경;맹희주
    • 영재교육연구
    • /
    • 제26권1호
    • /
    • pp.53-76
    • /
    • 2016
  • 본 연구는 융합영재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중등 영재 지도교사들을 대상으로 융합인재교육(STEAM)과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영재 지도교사들의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인지도는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인지도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교사들은 현장 적용 경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의 추진과제로서 창의 융합형 콘텐츠 개발이 포함되어 있음에 대한 인지도는 매우 낮았으며, 콘텐츠 개발 경험 또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지만 과학영재 지도교사와 영재 지도 경력이 높을수록 융합영재교육의 필요성에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영재교육 교원 연수를 통해 수학영재 지도교사와 저경력의 영재 지도교사들에게 융합영재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과반 수 이상의 응답자들이 융합인재교육(STEAM)과 융합영재교육이 대상만 다를 뿐 유사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융합영재교육의 올바른 정착을 위해 영역별 영재의 특성과 수준에 적합한 차별화된 융합영재교육이 필요함을 인식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시사되었다.

학교의 변화를 마주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과 수업 실천에서 나타난 도전과 변화 (Science Teachers' Recognition of the Changing School Environment and Challenges for Teaching Practices)

  • 지영래;심현표;백종호;박형용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937-949
    • /
    • 2017
  • 최근 지능정보화사회가 가져올 급격한 변화에 대비하는 새로운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고조되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는 이러한 변화에 대비하여 첨단 정보통신 기기의 도입과 활용이 중심이 되는 스마트 학교 등을 시도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혁신 학교 등을 통해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는 교실 환경과 교육과정의 변화를 위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변화의 맥락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의 기반 시설과 교육과정을 비롯한 제도의 변화에 대하여 과학교사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또 그러한 교육 환경의 변화에 대한 인식 속에서 과학교사들의 수업 실천에서는 어떠한 도전과 변화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일반학교와는 차별화된 변화를 시도하고 있는 중학교의 과학교사 2인에 대한 심층 면담을 통해 얻어진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그들이 소속된 학교가 학교의 규모와 기반시설, 동료 교사들의 교사 문화, 학생의 역량 면에서 과학 수업을 변화시킬 수 있는 요소들을 갖추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다양한 수업 방식을 시도하는 교사의 열정과 ICT 기반 시설에 적응한 학생들이 갖춘 역량이 시너지를 일으켜 선순환의 고리를 형성하면서, 교사들이 새로운 수업을 시도할 수 있는 진입장벽이 낮아지고 지속적인 도전을 지원하는 학교 문화가 생성되었다. 셋째, 과학 수업은 활동 중심으로 변화하였고, 교사들은 이러한 변화가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촉진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교사들은 스스로 교과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서 주체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인식하였고, 이 인식은 더 다양한 시도를 촉진하였다. 이러한 학교의 학습 환경과 제도의 변화, 자생적 교사 학습 공동체와 같은 도전과 혁신을 공유하는 문화의 형성을 통해 교사들은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수업을 변화시키는 실천을 지속적으로 시도하고 있었다. 이처럼 학교의 변화는 교사, 학생, 기반 시설의 상호작용 맥락 속에서 이해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변화의 요소들 사이에서 형성된 상승적 상호작용 속에서 변화의 핵심 주체인 교사의 도전과 실천이 지속될 수 있을 것이다.

멘토의 자격요건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인식 연구 (A Study on Teacher's Recognition in Early-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of Mentor Qualifications for Mentoring)

  • 김옥주;김정주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77-187
    • /
    • 2012
  • The research aimed at analyzing how the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personal backgrounds (age, teaching experience, educational background, position) and experiences with the mentee and the mentor affect their awareness on the mentor qualifications for the mentoring program conducted by infants' educational organizations. By fulfilling the purpose of the research, proper qualifications for a mentor of outstanding abilities, which would be desired by teachers in infant educational organizations, should be established while preliminary data on the mentor teacher training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a mentor is expected to be provided.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targeting 319 teachers in infants' educational organizations located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The measuring instrument used was a recognized survey on how the mentor qualifications for the mentoring conducted by infants' educational organizations. The survey consisted of 22 questions. The researcher personally designed the survey based on results generated from preliminary research. SPSS 14.0 was used to analyze selected data as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one-way layout dispersion. In addition, a post-analysis on the one-way layout dispersion was conducted via the Scheffe posteriori test.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mentor qualifications for the mentoring were differently recognized by teachers in infants' educational organizations according to both teacher's personal backgrounds (age, teaching experience, educational background and position) and experiences with the mentee and the men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