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isandra fruit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3초

Schisandrol A and gomisin N from Schisandra chinensis extract improve hypogonadism via anti-oxidative stress in TM3 Leydig cells

  • Jia Bak;Seung Ju Lee;Tae Won Kim;Seonhwa Hwang;Min Ju Park;Rohith Arunachalam;Eunsoo Yoo;Min Hi Park;Yun-Sik Choi;Hye Kyung Kim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7권1호
    • /
    • pp.1-12
    • /
    • 2023
  • BACKGROUND/OBJECTIVES: Male hypogonadism is a condition where the body does not produce enough testosterone and significantly impacts health. Age, obesity, genetics, and oxidative stress are some physiological factors that may contribute to testosterone deficiency. Previous studies have shown many pharmacological benefits of Schisandra chinensis (S. chinensis) Baillon as an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However, the molecular mechanism of attenuating hypogonadism is yet to be well established. This research was undertaken to study the effects of S. chinensis extract (SCE) on testosterone deficiency. MATERIALS/METHODS: S. chinensis fruit was pulverized and extracted using 60% aqueous ethanol. HPLC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and quantify the lignans of the SCE. RESULTS: The 2,2-diphenyl-2-picrylhydrazyl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scavenging assays confirmed that the SCE and its major lignans (schisandrol A and gomisin N) inhibit oxidative stress. Effects of SCE analysis on the testosterone level under oxidative stress conditions revealed that both schisandrol A and gomisin N were able to recover the lowered testosterone levels. Through mRNA expression of TM3 Leydig cell, we observed that the SCE lignans were able to induce the enzymes involved in testosterone biosynthesis-related genes such as 3β-HSD4 (P < 0.01 for SCE, and P < 0.001 for schisandrol A and gomisin N), 17β-HSD3 (P < 0.001 for SCE, schisandrol A and gomisin N), and 17, 20-desmolase (P < 0.01 for schisandrol A, and P < 0.001 for SCE and gomisin N). CONCLUSIONS: These results support that SCE and its active components could be potential therapeutic agents for regulating and increasing testosterone production.

오미자의 모유두세포 증식 활성성분과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한 추출조건의 최적화 (Dermal Papilla Cells Proliferation Constituent of Schisandra chinensis Fruits and Optimization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조현대;정지연;류화선;이정노;박성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15-42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 열매로부터 모유두세포 증식에 활성을 나타내는 gomisin N을 정제하고 gomisin N의 함량이 높은 추출물을 얻기 위한 최적의 추출조건을 확인하였다. 추출물 및 분획물에 대하여 모유두세포 증식 활성 실험을 진행한 결과, n-hexane 분획물 1 ㎍/mL 처리군에서 약 29%의 증식 활성을 나타내었다. n-Hexane 분획물의 활성성분을 규명하기 위하여 column chromatography를 진행하였으며 2 개의 화합물 gomisin N (1)과 schizandrin (2)를 분리 동정하였다. 분리된 화합물에 대한 모유두세포 증식 활성 실험 결과, gomisin N에서 최대 20%이상의 증식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오미자 열매로부터 최대치의 gomisin N을 얻을 수 있는 최적추출조건을 반응표면분석(RSM)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최적추출조건을 설정하기 위해 에탄올의 비율, 추출시간, 추출온도를 독립변수로 하여 실험한 결과, 0.95 이상의 결정계수와 0.05 이하의 p-value를 나타내어 모델의 적합성이 확인 되었다. Gomisin N의 최대함량을 위한 최적추출조건은 에탄올 비율 83.8%, 추출온도 80 ℃, 추출시간 8.7 h으로 확인되었고, 최적추출조건에서 gomisin N의 함량은 378,300 ppm으로 예측되었다. 최적추출조건에 대한 실제 검증에서 평균 376,884 ppm으로 예측된 값과 유사한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국내 자생식물 20종의 혈관이완 효능에 대한 실험연구 (Research on vasorelaxant effects of 20 Korean native plants)

  • 김범정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39-47
    • /
    • 2023
  •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sorelaxant effects of 20 Korean native plants on isolated rat thoracic aorta precontracted with phenylephrine (PE). Methods : Dried 20 plant materials were extracted 3 times with water, ethanol, or methanol for 3h in the reflux apparatus at 70 ± 5℃. Male SD rats were anesthetized by ether inhalation, and their aorta rings were isolated and placed in 10 ㎖ Krebs Henseleit (KH) buffer. While using an isolated organ-chamber technique, the aorta rings were maintained by bubbling with a gas mixture of 95% O2-5% CO2 at 37℃. Changes in isometric tension of aorta rings were recorded via isometric transducers connected to a Powerlab Data Acquisition System. Results : Among the 20 native plants, Chrysanthemum indicum L. flower, Nelumbo nucifera Gaertn. rhizome, Schisandra chinensis (Turcz.) Baill. fruit, Anthriscus sylvestris (L.) Hoffm. root, Corydalis turtschaninovii Besser tuber, Corydalis decumbens (Thunb.) Pers. tuber, and Dolichos lablab L. seed showed significant vasorelaxant effect on the contraction of aorta rings induced by PE. In contrast, Mertensia maritima subsp. asiatica Takeda whole plant, Ajuga decumbens Thunb. whole plant, Trigonotis peduncularis (Trevis.) Benth. ex Baker & S.Moore whole plant, Dioscorea quinquelobate Thunb. rhizome, Allium microdictyon Prokh aerial part, Momordica charantia L. fruit, Carthamus tinctorius L. flower, and Clematis terniflora DC. root constricted more the aorta rings precontracted by PE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ossibility as useful herbal resources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or medicines for hypertension treatment.

오미자 과실 증류주의 제조를 위한 증류 최적조건 연구 (A Study of Optimal Conditions in Distillation for Production of Schisandra Chinensis Fruit Spirits)

  • 조혜섬;정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6142-6151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동양이 원산지이고 세계적으로 증류주 제조에 활용된 사례가 드문 오미자를 활용하여 오미자 과실 증류주를 개발하고 최적조건 확립을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오미자 원료분석 및 발효주의 주요 성분과 증류주를 증류 방식별로 제조한 후 증류주의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기간은 6개월 소요되었고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미자는 당도와 pH가 낮고, 유기산 함량이 높아 효모의 알코올 발효에 적합하지 않아 생오미자 : 물 : 설탕 중량비율을 1 : 1.5 : 0.25 로 혼합한 후 과즙 총량 대비 $(NH_4)_2HPO_4$을 0.06 w/w%를 첨가하여 효모(SIHA Aktivhefe6 Brennereihefe)를 사용 발효시켰다. 주요 발효부산물로서 이소부탄올과 이소아밀알코올이 검출되었다. 한편 증류 방식별(다단식 증류, 단식 증류, 감압식 증류)로 제조한 과실증류주의 품질특성 분석을 위해 발효 과정, 에틸알코올 생산수율, 유기산과 향기성분 함량, 향기 패턴 및 관능을 평가한 결과 생 오미자를 사용한 경우 감압식 증류기로 제조한 과실증류주가 품질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다만 증류방식 중 원료 투입량 대비 과실증류주 수율이 가장 높은 것은 다단식 증류방식으로 나타났다.

1600년대-1940년대 조리서에 등장한 화채류의 종류 및 조리법 특성 (Culinary Characteristics of Hwachae in Korean Cookbooks Published in 1600-1940s)

  • 양지혜;송경희;장윤희;이영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800-810
    • /
    • 2016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haracterize the recipes of Hwachae in Korean cookbooks published from the 1600's to 1940's. Methods: We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of thirteen old cookbooks (Eumsikdimibang, Jubangmun, Jeungbosallimgyeongje, Kyugonyoram, Imwonsibyukji, Gyuhapchongseo, Sieuijeonseo, Buinpilji, Chosunyorijebub, Chosunmusangsinsikyorijebub, Ganpyeonchosunyorijebub, Chosunyori, Chosunyoribub). We collected a total of 99 recipes of Hwachae and analyzed the ingredients used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cipes according to five groups of Hwachae: noodle type Hwachae, dumpling type Hwachae, fruit Hwachae, flower Hwachae, and the others. Results: The noodle type Hwachae included Changmeyon, Smyeon, Nanmyeon, and Waemyeon. Mung bean (81.0%) and Schisandra (95.2%) were mostly employed as solid ingredient and as beverage base, respectively. In the noodle type Hwachae, Wonsobyeong and Sudan belonged to the dumpling type Hwachae, in which mung bean (51.7%) was mostly used as solid ingredient and just water without any additive was used as the most popular beverage base (62.1%) unlike in other types of Hwachae. There were various types of fruit Hwachae, which used different fruits as solid ingredient such as pear, peach, cherry, strawberry, etc. Pears (44.4%) have been employed as the most popular ingredient and sweets such as honey and sugar have been used in all the fruit Hwachae. The flower Hwachae included Hwamyeon, Sunchaehwachae, Jangmihwachae, and Bomhwachae. In all the flower Hwachae, schizandra has been used as a beverage base. Conclusion: These findings provide basic information required for developing standard recipes of traditional Hwachae.

단감(Diospyros kaki, T) 와인 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king of Sweet Persimmon (Diospyros kaki, T) Wine)

  • 조계만;이정복;강군중;서원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785-792
    • /
    • 2006
  • 단감 과즙을 이용한 와인을 제조하기 위하여 효율적인 착즙 및 최적 발효조건을 검토하였다. 단감 와인의 최적 발효 조건을 위하여 효모 균주는 알코올 생성력과 방향 가장 우수한 Saccharomyces cerevisiae KCCM 12650을 선정하였다. $(NH_4)_2HPO_4$ 농도 0.5%, 당 농도 $24^{\circ}Brix$일 때 알코올 생성력이 가장 우수하였다. pH 조정은 알코올 발효에는 영향이 주지 않았으며, 몇 가지 유기산 중 tataric acid로 pH를 조정하였을 때 알코올 생성과 관능적으로 가장 우수하였다. 발효 온도가 증가할수록 대사 속도 및 알코올 생성 속도 빨라졌으나, 알코올 생성력과 향기 등을 고려할 때 $25^{\circ}C$가 가장 적당한 온도로 판단되었다. 최적의 발효 조건으로 단감 과즙을 발효하였을 때 5일 경과 시 ^{\circ}Brix$ 당도는 $10^{\circ}$, 잔당은 38g/L이었고 세포 증식은 발효시간이 2일 경과하면서 정상기에 도달하였다. 알코올 생성은 발효시간이 1일 경과하면서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발효 5일에서 12.8%의 알코올이 생성되었다. 발효 경과에 따른 pH는 3.9로 초기 pH 4.0보다 약간 낮아졌다. 페놀은 749-779mg/L으로 일정하였고 갈변도 역시 발효 초기에 0.06에서 발효 종기에 0.08로 약간 증가하였다. 단감 와인의 저장 중 갈변 억제를 위하여 열처리, pH 조절 및 아황산 처리 결과 발효가 종료된 단감 와인에 아황산을 200 ppm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상당한 갈변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적당한 산미와 향기를 부여하기 위하여 1.0%까지 오미자를 첨가한 결과 0.5%의 오미자를 첨가하였을 경우 적당한 산미 및 향기가 가장 우수하였고 알코올 생성력에도 영향이 없었다.

nrDNA-ITS 분자마커를 이용한 오미자(五味子) 종 감별 및 기원분석 -ITS 염기서열을 이용한 오미자(五味子) 감별- (Molecular Authentication of Schisandrae Fructus and Analysis of Phylogenetic Relationship based on nrDNA-ITS sequences)

  • 문병철;지윤의;서형석;이아영;천진미;김호경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7-54
    • /
    • 2010
  • Objectives : The original plant species of Schisandrae Fructus (O-mi-ja) is prescribed as Schisandra chinensis $B_{AILL.}$, in Korea, but S. chinensis $B_{AILL.}$ and S. sphenanthera $R_{EHD.}$ et $W_{ILS.}$ in China. Moreover, fruit of several other species in genus Schisandra also have been used as the same herbal medicines. To develop a reliable method for correct identification of Schisandrae Fructus and to evaluate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S. chinensis and its related species, we analyzed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sequences of nuclear ribosomal DNA (nrDNA). Methods : Twenty-four plant samples of three Schisandra species and one Kadsura species, S. chinensis $B_{AILL.}$, S. spenanthera $R_{EHD.}$ et $W_{ILS.}$, S. nigra $M_{ax.}$ and Kadsura japonica $D_{UNAL}$ were collected from each different native habitate and farm in Korea and China. The nrDNA-ITS region of each samples were amplified using ITS1 and ITS4 primer and nucleotide sequences were determined after sub-cloning into the pGEM-Teasy vector. Authentic marker nucleotides were estimated by the analysis of ClastalW based on the entire nrDNA-ITS sequence. Results : In comparative analysis of the nrDNA-ITS sequences, we found specific nucleotide sequences including indels (insertions and deletions) and substitutions to distinguish C. chinensis, S. spenanthera, S. nigra, and K. japonica. These sequence differences at corresponding positions are avaliable nucleotide markers to determine the botanical origin of O-mi-ja. Moreover, we evaluated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four plant species by the analysis of nrDNA-ITS sequences. Conclusions : These marker nucleotides would be useful to identify the official herbal medicines by the providing of definitive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each plant species and distinguish it from unauthentic adulterants for O-mi-ja.

생리활성분획 추적방법을 통한 오미자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분석 (Activity-guided Screening of Anti-inflammatory Compounds from the Hexane Extracts of Schisandra chinensis Fruit)

  • 최희정;최영환;백선용;김봉선;안순철;이문수;윤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11-318
    • /
    • 2013
  • 예로부터 한방이나 민간요법에서 다양한 약리효능을 가진 약제로 알려져 있는 오미자 열매로부터 항염증 활성을 갖는 유용한 물질을 동정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오미자의 hexane 추출물로부터 38개의 분획물을 분리한 다음 각 분획의 항염증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오미자 분획물 중 생리활성이 높은 SCKH1을 선택하여 활성분획 추적방법을 통해 SCKH1PAIBPB을 분리하였다. SCKH1PAIBPB는 VCAM-1, MCP-1, IL-6 및 IL-8의 발현을 감소시키며, 혈관내피세포와 단핵구 사이의 부착능을 억제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규명된 오미자 분획물 및 SCKH1PAIBPB의 항염증효과 뿐만 아니라 혈관내피세포 증식 및 생존능 촉진작용을 응용하여, 다양한 허혈성질환 뿐만 아니라 염중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포제 및 발효 가공에 따른 오미자와 구기자 물 추출물의 항염증 및 숙취해소 효과 (Anti-inflammation and hangover relief effects of Schisandra chinensis (SC) and Lycium chinense (LC) water extracts depending on drug processing and fermentation)

  • 김하림;김상준;김솔;김홍준;정승일;유강열;김선영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95-306
    • /
    • 2018
  • Schisandra chinensis (SC) and Lycium chinense (LC) were widely distributed in Asia and the fruit has been used traditionally for medicinal herbs. The processing method was solid-state fermentation using Aspergillus oryzae for 48 h after stir-frying treatment at $220^{\circ}C$ for 12 min. In this study, in vitro the anti-inflammatory effect and in vivo hangover reduction were compared to unprocessed SC and LC water extract. Anti-inflammatory effects have been evaluated in pro-inflammatory mediators which were secreted by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RAW 264.7 macrophages. Nitric oxide (NO) was determined using Griess reaction.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and interleukin $(IL)-1{\beta}$ were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s (ELISA).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activities were compared to processed SC or LC and mixtures thereof (1:1). In vivo study was compared to hangover relief in alcohol-fed mice. After administering a mixture of SC and LC (300 mg/kg) water extract (1:1), mice were fed 3 g/kg of ethanol. Serum was collected at 1, 3, and 5 h intervals to analyze ethanol and acetaldehyde levels using a colorimetric assay kit. The processed SC and LC water extracts compared to raw materials significantly inhibited LPS-induced NO and 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in RAW 264.7 cells. The results of the hangover mouse model are also consistent with anti-inflammatory effec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ocessed SC and LC extracts may be functional materials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ion and hangover.

사료에 오미자 가공부산물 분말의 첨가 급여가 계란의 리그난 함량에 미치는 영향 (Production of Lignan-Rich Eggs as Functional Food by Supplementing Schisandra chinensis By-Product in Laying Hens)

  • 강혜미;박은지;박순영;황대연;이종춘;김명후;최영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8-27
    • /
    • 2024
  • 산란계는 식단의 건강 증진 성분을 계란에 '생체 축적'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오미자 가공 부산물의 분말을 사료에 첨가하여 산란계에 급여가 리그난이 풍부한 기능성 계란의 생산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사료는 황옥수수, 쌀겨, 대두박, 어분, 육골분, 가금류분, 프리믹스, CaCO3 등이 첨가된 기본 사료에 오미자 가공 부산물 분말을 첨가하여 제형화하였다. 실험의 설계는 대조구와 오미자 가공부산물을 1%, 3%, 5% 및 7% 첨가한 실험군으로 분류하여 완전임의 배치법으로 배치하였다. 계란의 생산성, 평균 무게, 난황과 난백의 리그난 함량은 7일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계란 생산과 평균 계란 무게는 오미자 가공부산물 분말을 사료에 5% 이하로 첨가하여 급여하였을 경우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7%의 고농도로 첨가하여 사료를 급여하였을 경우에는 처리 3주후에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계란내의 리그난 함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로 분석한 결과, 오미자 가공부산물 분말의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난황의 gomisin N 과 schisandrin C의 함량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나(p<0.05), 난백에서는 gomisin N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나 schisandrin C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오미자 가공 부산물 분말을 사료여 첨가하여 산란계에 급여할 경우에는 계란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리그난이 함유된 계란의 생산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오미자 가공 부산물 분말을 5% 이하로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한다면 오미자의 주요 생리활성인 gomisin N 와 schisandrin C가 풍부한 기능성 계란의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