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enary design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1초

고속전철 부속실 풍경 디자인 (The Scenary Design for the Service car of High Speed Train)

  • 한송이;이선영;최혁수;이병종;정경렬
    • 한국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자인학회 2000년도 추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84-85
    • /
    • 2000
  • G7 고속전철개발 산업에서 계획된 부속실은 경부 고속전철(K-TGV)의 부속실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좁은 통로와 획일적 공간, 불필요한 공간에 의한 승객 편의시설의 결여되었기에, 이의 수정보완이 요구되었다. 아래의 사진들은 K-TGV의 부속실 모습이다. (중략)

  • PDF

색채가 소음의 라우드니스 평가에 미치는 영향 (Colour Effect on the Loudness Perception of Road Traffic Noise)

  • 신용규;박현구;국찬;장길수;김선우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730-733
    • /
    • 2006
  • This study aims to offer psychological stability and pleasure by reducing noise perception using appropriate visual information which fit to the situation and useful data for the soundscape design.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Loudness evaluation of the visual information with green colored scenary showed lower evaluation rather than the other colors. 2) With the Green and Blue colored scenary with road traffic and shopping street alongside the road, lower perception of road traffic noise was showed. 3) With the White and Red scenary higher evaluation was showed than the original sound, but with the Green colored scenary lower evaluation was showed than the standard sound.

  • PDF

도시가로 경관에 있어 환경조형물의 시각적 조화성 분석 (An Analysis on the Visual Harmony of the Environmental Sculpture in Urban Streetscapes)

  • 박태희;서주환;허준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301-310
    • /
    • 2004
  • 본 연구는 환경조형물을 대상으로 도시환경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환경조형물의 개념을 정립하고 도시가로경관에서의 환경조형물의 역할을 고찰하였다. 아울러 도시가로경관의 시각적 조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추출하여 시각적 만족도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는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개 경관사진의 시각적 만족도는 우선적으로 환경조형물 자체의 조형성 및 심미성이 높은 작품들이 좋은 평가를 받고 있었다. 주변 환경과의 조화 측면에서는 바닥면, 건물, 주변요소와의 어울림이 뛰어난 환경조형물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전체적으로는 명료한 느낌을 주면서 시각적인 안정성을 주는 경관이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관의 만족도와 도시경관에 영향을 미치는 5개 변수의 관계 분석결과 형태조화도가 도시가로경관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 PDF

별서 명승 김천 방초정(芳草亭)과 최씨담(崔氏潭)의 입지 및 조영 특성 (Geographic Conditions and Garden Designs of Byeol-seo Scenic Site of Gimcheon Bangcho-Pavilion and Mrs Choi's Pond)

  • 노재현;이현우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1-82
    • /
    • 2016
  • 문헌고찰과 현지조사를 통해 김천 방초정의 입지, 누정과 지당의 조형성 그리고 누정제영시의 경관의미 등 정원의장적 특질을 추적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초정이 입지한 원터마을은 금잠낙지형(金簪落地形) 또는 연화부수형(蓮花浮水形)의 풍수형국으로, 방초정은 소통과 교유문화의 거점공간으로 자리 잡아 왔다. 연안이씨(延安李氏)의 본제(本第) 정양공종택(靖襄公宗宅)과 약 150m 이격된 누정형 별서 방초정의 당호 '방초'에는 "향긋한 풀이 무성한, 앵무가 사는 곳을 희구하겠다"라는 군자(君子)의 지조가 새겨져 있다. 둘째, 중앙 온돌방에 사방분합문을 달고 마루를 가설한 누각형 구조의 방초정은 열린 경관을 추구한 적극적 조망의지 뿐 아니라 "가례증해(家禮增解)" 간행 등 공적 용도의 공간성 또한 주목된다. 셋째, '최씨담(崔氏潭)'은 현존하는 국내 지당 중 전형적 '방지쌍원도(方池雙圓島)'를 갖는 유일한 정원유구로, 지당 내 공존하는 두 개의 섬은 주종(主從) 간의 의리와 부부애를 형상화한 정원시설일 뿐 아니라, 3개소의 입수구와 감천으로 향한 1개의 출수구는 저류 및 생태적 재처리 등 마을방죽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적합화된 정원의장이다. 넷째, "방초정8영(芳草亭八詠)"과 이를 확대 재생산한 "방초정10경(芳草亭十景)"에서는 방초정을 중심으로 김천과 구성면의 자연 및 취락의 목가적 전원경(田園景)이 적극적으로 묘사되고 있다. 방초정 집경시는 사계사시(四季四時)와 기상현상 및 팔방(八方)을 고려한 경물포치를 통해 방초정과 원터마을을 소우주의 중심으로 삼고자 하였다. 이는 지역의 거점 문화공간으로서 방초정별서명승에 대한 경관인식의 현현(顯現)이다.

극장건축의 공간유형과 도시성격의 상관성 연구-무대와 객석에 나타난 유럽극장형식의 변형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a Urban Character and the Space Type of Theater Architecture -Focus on the Uropean theater style shown on the stage and the auditorium-)

  • 임종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호
    • /
    • pp.98-105
    • /
    • 1998
  • Today the worship of entertainment i.e television has created a situation of diminshing monumental environments with increasing leisure time. Let us examine retrospective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theater Architecture. Two aspects would stand out as Theater Architecture gets closer to the urban tradition or trends to make a part of a city come to life. One aspect is an introvert purity. The other is an extrovert organic structure on the edge of connecting urban scenary with anything hoping to find the renewable element which could be revived eternally in architecture.

  • PDF

SD 기법을 활용한 주거단지의 시지각적 평가 (SD Methodological Evaluation of the Visual Cognition to the Urban Landscape)

  • 황지욱;채병선;권대규;홍철운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18-1920
    • /
    • 2005
  • The color and structure of urban constructions is a factor of urban landscape and shows their characteristics. Hence the modern buildings with their materials and external appearance makes up the urban image. But still yet, it was not easy to evaluate the value of visual landscape of buildings with objective measuring method. Most of all, it depends on the subjective estimation of a few talented or high educated experts with a sense of beauty. In relation to this kind of problems, it was tried here in this study to analyse the human response of brain wave pattern (EEG) with use of SD method, while the tested persons watched the urban landscape constructed in a visual reality. The tested persons were 10 adult males and females with no color blindness and intact cognitive function. Light source with color filter was used for color environment in chamber room. The signal of EEG is analysed digitally and grouped into the $\alpha$ and $\beta$ waves. The result showed that relative power of $\alpha$ wave ratio increased in natural landscape scenary clearly. From these results it was possible to evaluate the human response, which was affected by urban color and structure stimulation and it might be useful as an indicator of visual cognition amenity toward the design of urban construction environment.

  • PDF

매치무빙 기법을 활용한 모션그래픽 영상제작에 관한 연구 (Video Production Method using Match Moving Technique)

  • 이준상;박준홍;이임건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755-762
    • /
    • 2016
  • 모션그래픽이라는 분야는 그 역사가 오래되지 않았다. 최근 영상디자인이 부각되고 있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이다. 이러한 세계적 흐름은 영화, 광고, 전시장 영상, 웹, 모바일, 게임영상 및 뉴미디어까지 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컴퓨터의 새로운 기술이 발달하면서 영상콘테츠의 VFX 분야가 급격하게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제작기술은 실사와 C.G의 합성기법으로 가상과 허구의 개념을 초월함과 동시에 매치무빙 기술을 이용하여 그래픽과 현실공간에 사실적인 표현방법을 극대화하고 있다. 매치무빙 기술은 실사와 그래픽이 공존하기 위하서 실사카메라와 가상카메라의 합성을 정교하게 매칭하는 기술이다. 본 논문은 입체적 공간에서 매치무빙 기법을 활용하여 실사카메라의 움직임을 3D Layer 방법으로 이어받아 새로운 디자인과 결합된 모션그래픽 영상제작방법을 제안한다.

중국 남방지역 누교(樓橋)의 공간구성과 조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Space Composition and Formation of Roo Bridges in Southern China)

  • 장헌덕
    • 건축역사연구
    • /
    • 제16권3호
    • /
    • pp.7-20
    • /
    • 2007
  • A bridge is a space used as a passage. This space should be functional, solid, and beautiful. Since the beginning of human life, bridge architecture has given importance to function as a connection from one place to another. Stepping stones in the stream were the connections between divided spaces in the agricultural life, the bridge on the entrances of a town was the place for separation, expectation, and communication for people gathering around the community. Southern Chinese provinces such as Zhejiang, Hunan, Yunnan, and Guizhon is famous for it's spectacular scenary, and tribes like the 'Miao' and 'Dong' live in a cooperate community. The 'Dong' tribe is one of the 'Yue' genealogy where the people have settled down in this place in the days of 'Qin Shi Huang(Qin dynasty)'. As the population of the 'Dong' tribe growed, they used a bridge to connect town to town. The scale became larger with additional design, giving splendid achievement to bridge architecture. The 'Fungyu bridge' in Tongdao and 'Chungyang bridge' in Sanjiang are some fine examples. The Fungyu bridge could be defined as a bridge which blocks wind and rain, this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lounge bridge in Taishun located in southern Zhejiang province. In Taishun, 5 minority races such as the 'Dong' and 'Miao' people have been living together as a clan society for centuries on mountains as high as 1000m following their own tradition. The 'Xiliu river' flowing thorough has a variety of bridges remaining in it's original form, and it is recently known as a museum of ancient bridges. The formation of the bridges in Tongdao and Taishun shows that it is different with the arch and straight bridges remaining in Korea. In this study, it is readjusting the base data, showing plan characteristics and describing the construction of the wooden structure above the bridge post.

  • PDF

단일 횡수제 조건에 따른 선단부 유속과 재순환 영역에 대한 실험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ip Velocity and Downstream Recirculation Zone of Single Groyne Conditions)

  • 강준구;여홍구;김성중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8권2호
    • /
    • pp.143-153
    • /
    • 2005
  • 최근 들어 자연형 하천과 하천생태계 복원에 대한 관심이 점증하면서 수리학적 기능 외에, 다양한 생태환경을 제공하고 하안 부근의 경관을 개선하는 기능을 가는 수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는 수제설치에 대한 설계지침이 충분치 않을 뿐 만 아니라 국내 수행된 연구 자료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제 설계인자 해석을 위한 수리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조건은 수제선단 흐름변화와 수제하류부 재순환영역에 대한 고정상실험으로 수제길이와 투과율을 조절하여 수행하였다. 주요 분석은 수제 선단에서는 중앙부 유속증가와 세굴의 영향인자인 유속과 편향각을 측정하여 수제 선단유속비와 면적비에 대한 실험식을 제안하였다. 또한 수제하류부 재순환 영역에서는 수제 설치의 주요요인인 수제간격의 기초 자료를 해석하기 위해 흐름분리 길이와 입사각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투과율과 수제 설치각에 대한 실험식을 제안하였다.

칠곡 심원정원림의 공간구성과 경관특성 - '심원정 25영(心遠亭 二十五詠)'과 「심원정수석기(心遠亭水石記)」를 중심으로 - (Spatial Composition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Shimwon-Pavilion Garden in Chilgok - Focusing on 'Shimwon-pavilion Poem of 25 Sceneries' and 「Shimwon-pavilion Soosukgi(心遠亭水石記)」 -)

  • 김화옥;박율진;노재현;신상섭;조호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7-34
    • /
    • 2016
  • "기헌(寄軒)집"에 실린 "심원정수석기(心遠亭水石記)"의 '심원정 25영'을 바탕으로, 일제강점기인 1937년에 기헌 조병선에 의해 조성되고 향유된 칠곡 심원정원림의 공간구성과 경관특성을 고찰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심원정원림은 북쪽으로는 송림이 있는 '임수형(林藪型)'이자 원림 내부로 구야천이 흐르는 '계류형 별서원림'의 입지 특성을 공유하며 본제(本第)와는 직선거리로 약 400m 이격되어 있다. 2. 북쪽에는 가산(假山)인 학림산을, 동쪽과 서쪽에는 만경류를 올린 취병(翠屛)을, 남쪽으로는 구야천변의 석벽(隱屛)을 포치시키는 등 사방에 '가림'시설을 조성함으로써 위요공간 속에 은일을 추구한 기헌의 정신을 표출하고 있다. 3. 심성을 수양하는 선비의 소우주이자 거처로 조성되고 향유된 심원정원림은 송림사의 경역 내에 위치함으로써 불교사상을 수용하며, 도연명의 전원사상과 시선(詩仙)이라 불리는 이백의 낭만주적 감성을 통한 도가적 삶의 추구 그리고 주자의 성리학적 가치를 실현하는 통섭(統攝)의 장으로서의 면모를 엿볼 수 있다. 4. 심원정 25영 중 5영은 정운루 암수실 위류재 이열당 등의 용도가 다른 부속실과 이를 아우르는 정각인 '장수지소(藏修之所)' 심원정에 의탁되었으며 외원에 부여된 20영은 자연에 이름을 붙인 것 9개, 조성한 것 11개로 나뉘며, 자연에서 얻은 9영은 "석경기"에 기술된 바를 바위에 각인시켰다. 5. 현존하는 실내경물 4영은 편액으로, 원림내 경물 중 5개소는 바위글씨로 그리고 8개소는 표지석으로 각 경물이 인식되도록 의도했으나, 8개 영의 표식은 유실 및 훼철 등으로 확인되지 않는다. 6. 심원정 25영 중 '괴강(槐岡)'에는 학자수를 상징하는 회화나무, '유제(柳堤)'에는 도연명과 줄기찬 생명력을 상징하는 버드나무, '기천(杞泉)'에는 '가족의 단란함'을 상징하는 구기자나무 그리고 '동 서취병(東 西翠屛)'과 '방원(芳園)'에는 만경류와 초본류 등 다채로운 의미를 담는 식물경관이 등장한다. 또한 폭포(은폭(隱瀑)), 소(군자소(君子沼)), 못(양지(湯池)), 샘(기천(杞泉)), 바위를 가운데 두고 갈라 흐르는 물(반타석(盤陀石)) 그리고 바위 사이로 흐르는 물(수구암(水口巖)) 등 다채로운 수경관이 기도되었다. 7. 심원정원림은 수계 인접형 원림임에도 불구하고 11개 영을 직접 조성하는 등의 적극적인 개입이 두드러진다. 기존의 여타 정자원림이 가깝고 먼 곳에 자연 중심의 경(景)과 곡(曲)의 경물 설정에 충실한 곳이었다면, 심원정원림은 정자를 시점으로 의미 강화된 경물을 취경(聚景)하도록 유도된 적극적인 수경(修景)이 두드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