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mpling set

검색결과 624건 처리시간 0.032초

깃대봉-청옥산지역 능선부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the Ridge from Gittaebong to Cheongoksan)

  • 추갑철;김갑태;김정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54-360
    • /
    • 2002
  • 깃대봉에서 청옥산에 이르는 능선부의 산림생육현황과 군집구조를 정확히 파악하고자 이 지역에 34개의 방형구(10m$\times$1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분석한 결과 조사 대상지는 3개의 군집(신갈나무 우점군집, 신갈나무-피나무 우점군집, 신갈나무-물푸레나무 우점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신갈나무와 소나무; 돌배나무와 백당나무, 회나무; 쇠물푸레나무와 철쭉 소나무; 노린재나무와 물개암나무, 개옻나무, 싸리, 철쭉과 진달래; 병꽃나무와 회나무, 개옻나무, 싸리; 개옻나무와 싸리 등의 수종들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신갈나무와 피나무 당단풍 등의 수종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본 조사지의 종다양도는 0.5981~0.8150으로 나타났다.

속리산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I) -소나무림 보존계획- (Studies on the Structure of the Forest Community in Mt. Sokri(I) - The Conservation Planning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

  • 이경재;임경빈;조재창;류창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3-32
    • /
    • 1990
  • 속리산지역 소나무림의 식물군집구조분석 및 보존대책을 위하여 20개소에 조사구(1개 조사구당 l0$\times$10m 방형구 5개씩 설치)를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에 대하여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방법과 DCA ordination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classification과 DAC ordination방법에 의한 군집분리가 명확하지 않았다. 추정된 천이과정은 교목상층에서는 소나무$\longrightarrow$졸참나무, 쇠물푸레나무, 갈참나무, 팥배나무, 산벚나무$\longrightarrow$서어나무, 까치박달나무의 순이었고, 교목하층에서는 개옻나무, 생강나무$\longrightarrow$쪽동백, 당단풍, 노린재나무$\longrightarrow$비목나무, 덜꿩나무의 순이었다. 속리산지역 소나무림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방해극상적인 생태적 관리방법에 의해 교목하층에 자라고 있는 활엽수를 제거하여야 한다.

  • PDF

Analysis of non-point and point source pollution load in DongPieHong Ditch

  • Shan, Yu;Chen, Jun;Jin, Jie;Song, YongLian;Liu, Jun;Wu, DongBiao;Wu, Ke
    • 도시과학
    • /
    • 제8권2호
    • /
    • pp.7-12
    • /
    • 2019
  • In this study, the DongPieHong Ditch were taken as the research object, five sampling points were set to measure the COD, NH3-N,TNandTPindexes. The correlation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ere used to judge the main pollution sources and calculate pollution contribution rate. According to the population in the basin, the load of point source pollution into the river was estimated. As a result, the load of COD, NH3-N and TP into the river was 323.04t/a, 43.8t/a and 3.9t/a,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the rainfall in the basin, the concentrations of COD, TP and NH3-N in the initial rainwater were measured and calculated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and the results shown that the inflow loads of COD, NH3-N and TP into the river were 34.59t/a, 0.12t/a and 0.71t/a,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the main cause of the pollution in the east flash flood gully was point source pollution, and the proportions of COD, NH3-N and TP into the river were 90.33%, 99.72% and 84.61%, respectively.

초등학생의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에 따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문제행동의 구조적 분석 (An analysis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s-Child Communication and Child's problematic behavior Depending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a Sport activity after School class)

  • 장봉우;김재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7호
    • /
    • pp.347-353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청주 C지역 초등 5-6학년 189명을 유층표집 하여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문제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적으로 분석하는 것이었다. SPSS 18.0을 이용한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방과후 스포츠 활동에 참여는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을 개선(성취동기, 자신감, 자긍심 등)시키고, 문제행동(우울, 불안, 반항, 공격성 등)을 감소시켰으며,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부정적인 소통(핀잔, 잔소리, 힐책 등)은 줄어든 반면, 문제행동 감소에도 영향을 주었다. 향후 아동의 정서적 인간적으로 제기되는 심리적 탄력성 신장을 위해서는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의 가치를 종목별로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이에 대한 유효성을 지속적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설악산국립공원 대청봉-한계령 지역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Taech'ongbong-Hangyeryong Area in Soraksan National Park)

  • 김갑태;백길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97-406
    • /
    • 1998
  • 설악산국립공원의 대청봉-한계령 지구를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천연림의 생육현황과 군집구조를 파악하고자, 이 지역에 45개의 방형구(20m*2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Cluster 분석한 결과 네 개의 군집, 신갈나무-당단풍 군집, 분비나무-피나무-신갈나무 군집, 분비나무-주목 군집, 분비나무-신갈나무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는 분비나무와 사스래나무; 분비나무와 눈잣나무; 분비나무와 털진달래; 사스래나무와 눈잣나무; 사스래나무와 털진달래; 눈잣나무와 털진달래; 신갈나무와 철쭉꽃; 신갈나무와 병꽃나무; 나래회나무와 개회나무; 나래회나무와 산가막살나무; 부게꽃나무와 참회나무 등의 수종들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사스래나무와 당단풍; 신갈나무와 미역줄나무; 철쭉꽃과 미역줄나무; 까치박달과 당단풍 등의 수종들간에는 비교적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저사지의 종다양도는 2.1352~2.8016로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 PDF

덕유산 국립공원 백련사-향적봉지구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Paekryunsa-Hyangchokpong area in T$\v{o}$kyusan National Park)

  • 김갑태;김준선;추갑철;진운학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55-163
    • /
    • 1994
  • 덕유산 백련사-향적봉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천연림의 생육현황과 구조를 정확히 파악하고자, 이 지역에 21개의 방형구(20$\times$2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Cluster분석한 결과 네 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는 미역줄나무와 시닥나무, 백당나무 및 사스래나무, 개암나무와 국수나무, 거제수나무와 층층나무, 고로쇠나무와 피나무, 피나무와 음나무, 괴불나무와 백당나무 및 사스래나무, 시닥나무와 주목 및 백당나무등의 수종들 간에는 비교적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당단풍과 백당나무, 미역줄나무와 국수나무, 시닥나무와 국수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조사지의 종다양도는 0.9402~l.2473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향적봉지역에 분포하는 주목, 사스래나무 및 구상나무 등은 잘 보존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오대산 국립공원 상원사, 비로봉, 호령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Sangwonsa, Pirobong, Horyongbong area in Odaesan National Park)

  • 김갑태;추갑철;엄태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51-159
    • /
    • 1996
  • 오대산 국립공원의 상원사-비로봉-호령봉-상원사에 이르는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천연림의 생육현황과 구조를 파악하고자, 이 지역에 23개의 방형구(20*2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Cluster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젓나무, 복장나무-분비나무, 젓나무-난티나무군집으로 분리되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피나무와 백당나무, 분비나무와 정향나무, 정향나무와 호랑버들, 소나무와 젓나무 등의 수종들간에는 비교적 높은 정의 상관관계, 신갈나무와 가래나무, 조릿대와 나래회나무, 고로쇠나무와 고광나무, 젓나무와 나래회나무, 사스래나무, 정향나무 및 호랑버들 등의 수종들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조사지의 종다양도는 1.2973~1.4633으로 높게 나타났다.

  • PDF

오대산 국립공원 두노봉-상왕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 분비나무림과 주목림 -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Turobong-Sangwangbong Area in Odaesan National Park - Abies nephrolepis and Taxus cuspidata Forest -)

  • 김갑태;엄태원;추갑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60-168
    • /
    • 1996
  • 오대산 국립공원의 두로봉, 상왕봉 지구를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천연림의 생육현황과 구조를 파악하고자, 이 지역에 19개의 방형구(10*1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고산지대에 생육중인 주목과 분비나무를 대상으로 생육현황표를 이용하여 잎의 변색, 낙엽율, 줄기, 신초와 소지, 정아우세, 수세 등의 항목을 조사하였다. Cluster 분석한 결과 두 개의 군집(주목군지보가 신갈나무-사스래나무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주목과 미역줄나무, 마가목; 분비나무와 신갈나무; 호랑버들과 부게꽃나무; 신갈나무와 참빗살나무 등의 수종들간에는 높은 저으이 상관이 인정되었고, 주목과 분비나무, 신갈나무 및 사스래나무; 분비나무와 미역줄나무 등의 수종들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대상지의 종다양도(H')는 1.2499~0.9608로 나타났다. 분비나무의 생육현황조사의 점수평균은 6.1점이며, 고사목의 비율이 10.9%였다. 주목의 생육현황조사의 점수평균은 17.3점이었고, 피해유형은 정단부를 비롯한 가지의 고사, 줄기의 동공, 줄기가 구부러지는 것 등의 세 가지였다.

  • PDF

Study on Quantification Method Based on Monte Carlo Sampling for Multiunit 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 Models

  • Oh, Kyemin;Han, Sang Hoon;Park, Jin Hee;Lim, Ho-Gon;Yang, Joon Eon;Heo, Gyunyou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9권4호
    • /
    • pp.710-720
    • /
    • 2017
  • In Korea, many nuclear power plants operate at a single site based on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but the population density near the sites is higher than that in other countries. Thus, multiunit accidents are a more important consideration than in other countries and should be addressed appropriately. Currently, there are many issues related to a multiunit 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 (PSA). One of them is the quantification of a multiunit PSA model. A traditional PSA uses a Boolean manipulation of the fault tree in terms of the minimal cut set. However, such methods have some limitations when rare event approximations cannot be used effectively or a very small truncation limit should be applied to identify accident sequence combinations for a multiunit site. In particular, it is well known that seismic risk in terms of core damage frequency can be overestimated because there are many events that have a high failure probability. In this study, we propose a quantification method based on a Monte Carlo approach for a multiunit PSA model. This method can consider all possible accident sequence combinations in a multiunit site and calculate a more exact value for events that have a high failure probability. An example model for six identical units at a site was also developed and quantified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지리산국립공원 천왕봉지역 가문비나무림의 산림군집구조 (A Study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of Picea jezoensis Stands at Cheonwangbong Area, Jirisan(Mt.))

  • 안현철;김갑태;추갑철;엄태원;박삼봉;박은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4호
    • /
    • pp.590-596
    • /
    • 2010
  • 지리산국립공원 천왕봉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가문비나무의 생육현황과 가문비나무림의 구조를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가문비나무가 주로 생육하고 있는 지역에 33개의 방형구($20{\times}20$ 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고사한 가문비나무는 주로 상층수관의 나무에서 발견되었으며, 개체수의 비율로는 15.6%이었고, 유묘의 개체수도 매우 적게 나타났다. Cluster 분석한 결과 두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개회나무와 당단풍, 미역줄나무, 졸참나무; 좀고채목과 괴불나무; 나래회나무와 시닥나무; 당단풍과 미역줄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상관이 인정되었고, 가문비나무와 구상나무; 좀고채목과 시닥나무; 미역줄나무와 시닥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약한 부의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군락별 종다양성지수는 1.0000~1.3010범위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