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mpling plan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23초

XGBoost를 활용한 고속도로 콘크리트 포장 파손 예측 (Predicting Highway Concrete Pavement Damage using XGBoost)

  • 이용준;선종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46-55
    • /
    • 2020
  • 도로연장의 지속적인 증가와 공용기간이 상당히 경과한 노후 노선이 늘어남에 따라 도로포장에 대한 유지관리비용은 점차 증가하고 있어, 예방적 유지관리를 통해 비용을 최소화 하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예방적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도로포장의 정확한 파손 예측을 통한 전략적 유지관리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콘크리트 포장 파손 예측 모델 개발을 위해 머신러닝 분류기반 모델 중 성능이 우수한 XGBoost 기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데이터 샘플링을 통해 데이터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고 샘플링된 데이터들에 XGBoost 기법을 활용하여 예측모델을 개발하고. F1 소코어를 통해 성능을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오버 샘플링 기법이 가장 좋은 성능 결과를 보였으며, 도로파손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수로 공용년수, ESAL, 최저 평균 최저기온 -2도 이하 일수 순으로 산정되었다. 향후 더 많은 데이터 축적 및 세밀한 데이터 전처리 작업을 통해 예측모델의 성능이 향상된다면 보다 정확한 유지보수 필요 구간의 예측이 가능해질 것으로 판단되므로 장래 고속도로 포장 유지보수 예산의 추정에 중요한 기초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교토의정서 제3조 4항의 산림경영율 추정방안 및 사례분석 - 충청북도를 대상으로 - (Estimation of Forest Management Ratio under Article 3.4 of the Kyoto Protocol: A Case Study on the Chungcheongbuk-do)

  • 김형호;강현득;김래현;김철민;고광철;이경학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4호
    • /
    • pp.608-616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교토의정서 제3조 4항의 산림경영활동에 따른 이산화탄소 흡수량 산정을 위한 산림경영율 추정방법으로 임의선택법, 계층추출법, 최대시업면적법, 중복시업면적법을 제시하였고, 그 중 측정 보고 검증가능한 (MRV) 방식에 있어서 현재 가장 합리적인 방법이라 판단되는 최대시업면적법을 적용하여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산림경영율은 전체산림면적 대비 산림경영면적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산림경영면적은 산림경영활동의 정의에 따라 전체 산림을 시업지와 제한지로 구분하였다. 시업지의 산림경영면적은 '국유림경영정보시스템'과 '사유림 경영정보 DB구축 사업'의 시업이력을 근거로, 제한지의 경우는 '산지구분도'상의 공익용 임지를 기준으로 산출되었다. 사례연구 대상지인 충청북도의 산림경영면적은 시업지 115,566 ha, 제한지 131,008 ha로 전체 산림면적 495,806 ha의 49.7%(산림경영율)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교토의정서체계하에서의 우리나라 산림경영율을 추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산림경영율을 높일 수 있는 산림경영계획과 실행방안을 찾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국립공원 특별보호구 정책에 대한 지역주민과 탐방객의 인식에 관한 연구 - 지리산국립공원 칠선계곡 자연휴식년제를 중심으로 - (Perceptions of Residents and Visitors of the Policy for Special Protected Areas in Korean National Parks - A Case Study of the Nature Restoration Period in Chilsun Valley of Jirisan National Park -)

  • 유기준;김정민;조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585-593
    • /
    • 2009
  • 국립공원 특별보호구 정책의 일환인 지리산국립공원 칠선계곡 자연휴식년제 실시에 따른 영향 집단인 지역주민과 탐방객의 다양한 의견을 파악하여 보다 체계적인 국립공원 특별보호구 관리 정책과 공원관리 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칠선계곡 인근 지역인 추성리, 광점동, 의중리, 의탄리, 의평리 등 5개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지역주민과 주변 지역을 방문한 탐방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convenience sampling)방식을 이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지역주민과 탐방객 모두 칠선계곡의 자연자원 가치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자연휴식년제의 환경보전 효과는 긍정적인 것으로 판단되나 칠선계곡 자연휴식년제의 관리정책적 적절성과 피해 정도, 지속 여부에 있어서는 상당한 시각 차이를 보였다. 특히 정책적 측면에서의 적절성과 지역사회의 피해 정도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주진입부에의 입지 여부에 따라 지역주민 간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자연휴식년제 실시에 대한 이해관계자 간의 상당한 인식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현 단계의 갈등을 최소화하고 자연휴식 년제가 도입된 소기의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와 NGO 등 지역의 이해관계자들과의 원활한 의견협의를 위한 관리주체의 능동적인 자세가 필요하고 이를 반영한 협력적 관리전략의 도출과 수립이 요망된다.

민간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the Employee of Private Security)

  • 박영진;안황권;왕석원
    • 시큐리티연구
    • /
    • 제12호
    • /
    • pp.177-200
    • /
    • 2006
  • 본 연구는 민간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으며, 2005년 현재 경찰청에 등록된 서울 및 수도권 소재 민간경비업체 중, 50명 이상 근무하고 있는 업체를 모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선정된 경비업체의 민간경비원을 표집대상으로 설정한 후 유층집락무선표집법(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과 할당표집방법(quota sampling)을 병행 사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을 통해 검증을 실시한 후 사용하였다. 데이터는 각 목적에 맞게 부호화하여 입력시킨 후 사회과학통계 프로그램인 SPSS 12.0 version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과 절차에 따른 자료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경비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사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사의 상관과계 분석 결과 직무환경과 이직의사에서 정적인 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민간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시설딸기 주요 비행해충의 황색끈끈이트랩 이용 효율적인 발생예찰 (Efficient Occurrence Monitoring by Yellow Sticky Traps for Major Flying Pests in Strawberry Greenhouses)

  • 양철준;송정흡;양영택;김효정;송민아;좌창숙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309-314
    • /
    • 2017
  • 시설딸기 주요 비행 해충인 꽃노랑총채벌레 Frankliniella occidentalis와 목화진딧물 Aphis gossypii 유시충, 온실가루이 Trialeurodes vaporarium에 대해 발생초기 파악을 위한 황색끈끈이트랩 이용기술을 규명하였다. 제주지역 농가 재배 3개소에서 5개년 동안(2013~2017년) 재배 전 기간(9월~이듬해 5월)에 걸쳐 조사한 트랩자료를 이용 분석하였다. 해충의 공간분포 특성은 일반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Taylor's power law와 Iwao's patchiness regression으로 분석한 결과 대상 해충 모두 집중분포를 하고 있었다. 두 회귀식 중 꽃노랑총채벌레와 목화진딧물 유시충은 Taylor's power law이, 온실가루이는 Iwao's patchiness regression이 공간분포 특성을 잘 설명하고 있었다. 트랩당 평균밀도와 최고밀도, 11마리 이상 잡힌 트랩 비율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다. 트랩당 평균 밀도 4.0마리를 추정에 필요한 최소 트랩수는 꽃노랑총채벌레 13개, 목화진딧물 유시충 11개, 온실가루이 10개이었다. 고정 정확도 0.25 수준에서 3종 해충의 Taylor's power law과 Iwao's patchiness regression 상수를 이용하여 축차표본조사 중지선을 구하였다.

구제역 관리를 위한 혈청학적 예찰계획 평가 (Evaluation of Serological Surveillance System for Improving Foot-and-Mouth Disease Control)

  • 박선일;신연경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58-263
    • /
    • 2013
  • The primary goal of this study was to compute sample sizes required to achieve the each aim of a variety of foot-and-mouth disease (FMD) surveillance programs, using a statistically valid technique that takes the following factors into account: sensitivity (Se) and specificity (Sp) of diagnostic test system, desired minimum detectable prevalence, precision, population size, and desired power of the survey. In addition, sample sizes to detect FMD if the disease is present and also as proof of freedom were computed. The current FMD active surveillance programs consist of clinical, virological, and serological surveillance. For the 2012 serological surveillance, annual sample sizes (n = 265,065) are planned at four separate levels: statistical (n = 60,884) and targeted (n = 115,232) at breeding pig farms and slaughter house, in together with the detection of structural proteins (SP) antibodies against FMD (n = 88,949). Overall, the sample size was not designed taking the specific aims of each surveillance stream into account. The sample sizes for statistical surveillance, assuming stratified two-stage sampling technique, was based to detect at least one FMD-infected case in the general population. The resulting sample size can be used to obtain evidence of freedom from FMD infection, not for detecting animals that have antibodies against FMD virus non-structural proteins (NSP). Additionally, sample sizes for targeted surveillance were not aimed for the population at risk, and also without consideration of statistical point of view. To at least the author's knowledge, sampling plan for targeted, breeding pig farms and slaughter house is not necessary and need to be included in the part of statistical surveillance. Assuming design prevalence of 10% in an infinite population, a total of 29 animals are required to detect at least one positive with probability of 95%, using perfect diagnostic test system (Se = Sp = 100%). A total of 57,211 animals needed to be sampled to give 95% confidence of estimating SP prevalence of 80% at the individual animal-level with a precision of ${\pm}5%$, assuming 800 herds with an average 200 heads per farm, within-farm variance of 0.2, between-farm variance of 0.05, cost ratio of 100:1 of farm against animals. Furthermore, 779,736 animals were required to demonstrate FMD freedom, and the sample size can further be reduced depending on the parameters assumed.

유치원 SW·AI 교육 실태조사를 기초로 한 유아 SW·AI 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for Early Childhood SW·AI Education Based on Actual Condition Survey of Kindergarten SW·AI Education)

  • 변영신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93-97
    • /
    • 2022
  • 4차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의 SW·AI 교육 실태조사를 통하여 이를 기초로 유아교육의 특성을 고려한 진정한 의미의 유아 SW·AI 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편의표본 추출(convenience sampling)을 통하여 총 194개의 유치원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표를 이용해 분석하였으며, 현재 전체 조사대상의 44%의 유치원에서 SW·AI 교육을 시행하고 있으며 66%가 실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SW·AI 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유치원 중 22%가 정규교육과정 형태로 SW·AI 교육을 시행하고 있으며, 70%가 방과 후 특별활동 형태로 SW·AI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SW·AI 교육은 해당 연령의 학급 교실(80%)에서 주로 외부 강사(97%)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의 SW·AI 교육내용으로는 네이버, 클로바 등의 관련 업체에서 개발된 블록 코딩 기반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은 모두 관련 업체가 개발한 교구·재를 포함하여 프로그램과 교구재 사용을 패키지 형식으로 사용하고 있다. 조사 대상의 56%가 현재 SW·AI 교육을 시행하지 않고 있다고 답변하였으며 SW·AI 교육에 대한 인식 부족, 인적·환경적 인프라 부족 등이 주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조사를 토대로 유치원 과정에서 유아교육의 본질과 특성을 지닌 SW·AI 교육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첫째, 놀이 중심의 컴퓨팅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도록 유아 발달을 고려한 SW·AI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유치원 교사들을 대상으로 SW·AI에 관한 기초지식을 습득하여 SW·AI 역량을 제고할 수 있도록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교사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유아교육 전문가와 SW·AI 교육전문가로 구성된 유아 SW·AI 전담부서의 설립 및 국가 차원의 재정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의사결정나무 및 랜덤포레스트 분류 모델을 이용한 교량 안전등급 예측 (Prediction of Safety Grade of Bridges Using the Classification Models of Decision Tree and Random Forest)

  • 홍지수;전세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3권3호
    • /
    • pp.397-411
    • /
    • 2023
  • 국내에서 공용연수 30년 이상인 노후 교량의 수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교량 노후도, 상태 및 성능 예측을 바탕으로 한 첨단 유지관리 기술의 중요성이 점차 주목받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머신러닝 기반의 의사결정나무 및 랜덤포레스트 분류 모델을 사용하여 교량의 안전등급을 예측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일반국도상 교량 8,850개를 대상으로 해당 모델들을 혼동행렬, 균형 정확도, 재현율, ROC 곡선 및 AUC와 같이 여러가지 평가 지표를 통해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랜덤포레스트가 의사결정나무보다 더 나은 예측 성능을 보유하였다. 특히 랜덤포레스트 중 랜덤 언더 샘플링 기법은 노후도가 비교적 커서 유지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C, D등급 교량에 대해 재현율 83.4%로 다른 샘플링 기법들보다 예측 성능이 더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제안된 모델은 최근 점검이 실시되지 않은 교량들의 신속한 안전등급 파악 및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유지관리 계획 수립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드론을 활용한 지하시설물측량 및 3D 시각화 (Underground Facility Survey and 3D Visualization Using Drones)

  • 김민수;안효원;최재훈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14
    • /
    • 2022
  • 굴착 현장에서 신속·정확·안전한 측량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드론을 이용한 지하 시설물 측량의 적용 가능성 및 3D 시각화의 기대효과를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Phantom4 Pro 20MP의 드론으로 30m의 비행 고도, 중복도 85%의 비행계획으로 0.85mm의 GSD (Ground Sampling Distance)값을 확보하였고, GCP (Groud Control Point)4점과 검사점 2점을 계산하여 기준점에 대하여 7.3mm, 검사점은 11mm의 성과를 취득할 수 있었다. 저가의 드론으로 측량할 경우 GCP의 중요성이 확인되었으며, 지상 기준점이 없는 경우, X값의 오차 범위는 -81.2cm에서 +90.0cm, Y값의 오차 범위는 +6.8cm에서 155.9 cm 값을 도출하였다. Pix4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분류하였다. 지하 시설물 데이터와 도로 포장면의 데이터를 분류하고, 중첩과정을 통해 실제 모형의 도로와 지하 시설물의 데이터를 3D 시각화하였다. 중첩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는 Open Source 프로그램인 CloudCompare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의 위치와 심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결과로 지하 시설물 측량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이다.

성교육이 여자 중학생의 성지식과 성태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ex Education on Sex-Related Knowledge and Attitudes of Middle School Girls)

  • 하숙영;김정남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27-238
    • /
    • 1999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effect of sex education on sex-related knowledge and attitudes of middle school girl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number of experimental group students was 134 and the number of control group students was 134. A total of 268 second grade middle school girls were selected for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a middle school located in Taegu City, Korea, from February 5 to February 18, 1998. To des cover the needs of sex education, the researcher sent a predesigned questionnaire to 1464 girls in 19 different middle schools. The sex education curriculum was designed on the basis of this survey's results. 'The Sex Education Teaching Plan' (published by the Research Institution of Korean School Health Education) and 'Sex and Happiness' (published by the Seoul City Education Ministry) were used to redesign the sex education curriculum and content. Fifty minute long sex education classes were taught to the experimental group every other day and the total number of classes was five. The contents of the teaching -learning plan for sex education were: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ce', 'Pregnancy and Contraception', 'Friendship with the Opposite Sex and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 'Prevention of Venereal Disease', and 'Sex and Society'. To measure the degree of sex knowledge of the subjects, the researcher used the modified sex knowledge tools of Kim(l995) and Han(1997). The reliability values of these sex knowledge tools range from 0.71 to 0.74, using Cronbach's alpha. To measure the degree of sex attitude in the subjects, the researcher used the modified sex attitudes tools of Han(l997). The reliability values of these sex attitude tools range from 0.73 to 0.78 using Cronbach's alpha. The PC-SAS package program was used to analyse the data along with Frequency, Percentage, XLtest, t -test, and a paired t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first hypothesis was accepte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change in sex - related knowledge than the control group(t =22. 76, p=0.0001). 2. The second hypothesis was accepte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change in sex-related attitudes than the control group (t=11.91, p=0.0001). In conclusion, the level of sex-related knowledge and sex-related attitudes of middle school girls who received sex educ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girls who did not receive sex education. According to this research, planned sex education was effective in forming accurate knowlege and appropriate attitudes related to sex. Clearly, we must carry out a well-designed step by step sex education program that is well-suited to the sex education needs and the developmental level of the stud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