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ted cabbage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18초

배추줄기의 열전도도에 관한 연구 (Thermal Conductivity of Petiole Tissue of Chinese Cabbage)

  • 김주봉;이동선;최동원;변유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25-329
    • /
    • 1991
  • 배추줄기 부분의 열전도도를 probe method로 측정하였다. 여러 온도에서 수증기로 가열하면서 시간에 따른 배추의 열전도도를 측정한 결과 초기 $0.43{\sim}0.47W/m{\cdot}K$에서 가열됨으로 배추내 공기가 구축되어 $0.51{\sim}0.54W/m{\cdot}K$으로 증가되었다. 또한 수분함량 $92{\sim}98%$ 범위에서 열전도도는 수분함량의 증가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되었으며, 배추줄기의 열전도도($K_e$)는 수분함량(MC, $92{\sim}98%$) 및 가스함량($V_a,\;0.082{\sim}0.132\;ml(30^{\circ}C)/g\;of\;cabbage)$$k_e=0.0192\;MC-0.6539\;V_a-1.3252$의 상관식이 성립하였다. 한편 염절임 배추의 열전도도는 동일 수분의 생배추보다 약 $0.04\;W/m{\cdot}K$ 높은 값을 보였다.

  • PDF

김치의 부재료가 김치 숙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Various Ingredients of Kimchi on the Kimchi Fermentation)

  • 이신호;김순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49-254
    • /
    • 1988
  • 마늘, 생강, 부추 등의 부재료가 김치의 숙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성장에 미치는 부재료의 효과와 절임 배추에서 부재료 첨가효과 그리고 부재료가 김치 숙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가장 맛이 좋은 상태의 김치에서 Lactosaciffeg plantaruut, HSU025, Lactobacillus brevis, HSU01, Pediococus cerevisiae HSU02 그리고 Leuconostoc mesenteroides HSU05 등의 유산균을 분리 동정하였으며 이들 미생물의 부재료 첨가에 의한 성장은 생강과 마늘에 의해 억제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생강에 의해 뚜렷하게 성장이 억제된 유산균은 L. plantaruut, HSU025와 P. cerevutoe HSU02이었다. 마늘에 비해 생강이 분리 유산균의 성장을 더 억제하였으며 부추는 분리 유산균의 성장을 다소 촉진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절임 배추에 부재료를 각각 3% 첨가하여 $25^{\circ}C$에서 숙성시킨 결과 마늘 첨가구는 숙성 1일째까지는 숙성을 지연시키는 현상을 나타내었으나 그후 오히려 숙성을 촉진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생강 첨가구가 초기 숙성을 지연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부재료 혼합 첨가 김치는 고추가루만 첨가한 김치에 비해 초기 숙성이 지연되었고 부재료 첨가에 의해 김치의 숙성은 $25^{\circ}C$에서 약 24시간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초기 숙성 지연 현상은 부재료가 유산균의 초기 증식을 억제하는 현상에 기인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김치용 배추 절임 염수의 재사용 가능성 평가 (Evaluation of Brine Recycling on Salting of Chinese Cabbage for Kimchi Preparation)

  • 신동화;홍재식;오진아;안용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5-29
    • /
    • 2000
  • 김치 공장에서 배추 절임시 사용하는 염수의 재사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염지 후 배출되는 염수의 염농도를 재조정하여 6회까지 재 사용하면서 염수의 성분과 미생물 변화 및 매회 절임 배추로 담근 김치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배추 절임 후 염수의 염 농도는 1.35~2.49%감소하였고 재 사용횟수에 따라 절임 후 염수의 pH는 4회까지 유의적 변화를 보였고 절임 전 염수의 pH는 4회 까지는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으며 산도도 절임 횟수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염수 중 미생물수는 1회 사용시 1.58$\times$10에서 4회 사용시 2.25$\times$$10^{7}$ 으로 최고에 달하여 10배정도 상승하였다. 염수 중 염을 제외한 순 가용성 고형분은 6회 사용시 0.93%로 미미하게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비타민 C함량은 6회사용 후 0.55 mg%로 재사용 횟수에 따라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6회까지 염수를 재 사용하여 절임한 배추로 담근 김치의 pH와 산도, 그리고 관능적 품질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아 염수의 재 사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김치의 역사적 관찰 (Historical Review of Kimchi)

  • 조제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93-108
    • /
    • 1994
  • Kmich is the traditional vegetable fermented food. Like other traditional foods. it was not known when the kimchi was first processed. In the chinese historical litera tures, Salt and varlous vegetables were used in Korea from the time of kokuryo and shila Dynasty. Brined vegetable product might be therefore, processed at that time for the winter. But the product was highly salted and any seasonings were not added at all. Chinese cabbage and ned pepper were used for kimchi processing in 15-16 centureis. Vanious type of Kimchi simllar to present products were processed thereafter.

염절임 및 가열에 의한 배추조직의 구조와 펙틴의 변화 (Changes in Tissue Structure and Pectins of Chinese Cabbage during Salting and Heating)

  • 유명식;김주봉;변유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20-427
    • /
    • 1991
  • 배추의 염절임 및 가열처리 중의 조직구조 변화를 현미경적으로 관찰하고 펙틴질을 분별 정량하였으며 조직의 내부구조를 cytorrhysis로 측정하였다. 배추줄기 조직의 유세포의 세포막은 염절임시 수축 파괴되며 세포간 공간의 포집공기와 세포액은 세포수축과 함께 중엽을 파괴하면서 유출되었다. 배추조직의 펙틴은 주로고 메톡실 펙틴인 pA와 저 메톡실 펙틴인 pB로 구성 되었고 염절임 및 $60{\sim}70^{\circ}C$의 저온 가열시 상당량의 pA는 작용으로 pB로 전환되었고 $80^{\circ}C$ 이상으로 가열처리하면 열분해로 pB가 감소되었으며 열처리 중 조직의 firmness는 pB의 함량과 상관관계가 높았다(r=0.996). Cytorrhysis 실험결과 염절임 및 $60^{\circ}C$의 저온처리에서는 조직의 pore size가 더 작아졌고 $80^{\circ}C$ 이상의 고온 열처리에 의하여 조직의 pore size가 커졌는데 이는 저온에서 pB의 증가에 의해 조직이 더 치밀해지고 고온 열처리에서는 가열분해된 pB가 용출되면서 조직이 더 엉성해졌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김치제조용 배추의 구조와 조직감 측정에 관한 연구 (Macro-and Microstructure of Chinese Cabbage Leaves and Their Texture Measurements)

  • 이철호;황인주;김정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742-748
    • /
    • 1988
  • 김치제조에 사용되는 결구포합형 배추의 구조와 그 조직감 특성을 조사하는 방법을 연구하였으며 소금절임, 가열데침 공정등에 의한 배추임의 구조적 변화와 조직감 변화를 조사하였다. 배추잎의 형성순서에 따라 잎의 길이와 두께는 비례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두께는 최외엽에서 다소 감소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배추잎의 미세구조는 밀집된 유관속조직 주위에 유조직 세포가 쌓여있는 형태로서 절단시험에서 외피와 유관속조직의 특징적인 절단력 곡선들을 나타내었다. 절임과 데침처리에 의하여 배추잎의 절단력은 증가하였으며 이것은 주로 세포벽의 구조적 변형에 따라 포개짐에 의한 절단면의 수적 증가에 의한 것이었다.

  • PDF

유통 절임배추의 중금속, 잔류농약 및 식중독 안전성 조사 (Safety Research on Heavy Metals, Pesticide Residues and Foodborne Pathogens for Commercial Salted Cabbages)

  • 정선옥;정지헌;김성단;이현경;박성규;이병훈;이정숙;김수진;김동규;유인실;정권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783-789
    • /
    • 2015
  • In recent years, consumers have become more interested in convenient lifestyles, leading to increased use of salted cabbages for preparation of kimchi.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afety of heavy metals, pesticide residues, and foodborne pathogens in commercial salted cabbages in Seoul from August to November, 2014. The survey, which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salted cabbages were prepared under the highest sanitary conditions, showed that Seoulites are interested in purchasing hygienic and safe salted cabbages. The average amounts (range) of Pb and Cd found in 30 salted cabbage samples were 0.007 (0.000~0.063) mg/kg and 0.004 (0.000~0.012) mg/kg, respectively. The cabbages were analyzed for residues from 285 types of pesticides using the multiresidue method. Residues for pesticides were not detected. Major foodborne pathogens, specifically Escherichia coli, Salmonella spp., Listeria monocytogenes, Campylobacter jejuni, Staphylococcus aureus, Vibrio parahaemolyticus,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Bacillus cereus, Clostridium perfringens and Norovirus, were also not detected.

pH조정제를 이용한 저염 배추점치의 숙성중 Pectin질의 변화 (Changes in Pectic Substance of Lower Salted Chinese Cabbage Kirnchi with pH Adjuster during Fermentation)

  • 김순동;이신호;김미정;오영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55-261
    • /
    • 1988
  • 저염김치의 숙도조절과 가식기관의 연장을 목적으로 원료배추에 대하여 2%의 소금과 sodium malate buffer(SMB) 0.4%를 첨가하여 $20^{\circ}C$에서 숙성시키면서 pectin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SMB 첨가김치는 무첨가에 비하여 가식기간이 40시간 정도 연장되었고 맛 조직의 신선도 연화상태등에서 양호하였다. Alcohol insoluble solid(AIS)와 protopectin(PP)는 숙성에 따라 감소되었으며 SMB 첨가김치에서 감소율이 낮았고 pectic acid(PA)와 water soluble pectin(WSP)는 이와 반대로 숙성에 따라 증가되었는 데 증가율은 무첨가 김치에서 높았다. PP와 PA는 각각 hemicellulose로부터 유래된 hexose와 pentose를 함유하였으나 숙성 중에 감소하였고 감소율은 무첨가김치에서 높았다. 김치가 숙성됨에 따라 극성이 낮고 분자량이 극도로 높은 PP가 조직으로 용출되어 나온 반면 극성이 높은 저분자의 PP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무첨가의 경우가 현저하였다.

  • PDF

Comparison of Bacterial Community Changes in Fermenting Kimchi at Two Different Temperatures Using a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Analysis

  • Yeun, Hong;Yang, Hee-Seok;Chang, Hae-Choon;Kim, Hae-Ye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1호
    • /
    • pp.76-84
    • /
    • 2013
  • A polymerase chain reaction-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PCR-DGGE) technique followed by sequencing of the 16S rDNA fragments eluted from the bands of interest on denaturing gradient gels was used to monitor changes in the bacterial microflora of two commercial kimchi, salted cabbage, and ingredient mix samples during 30 days of fermentation at $4^{\circ}C$ and $10^{\circ}C$. Leuconostoc (Lc.) was the dominant lactic acid bacteria (LAB) over Lactobacillus (Lb.) species at $4^{\circ}C$. Weissella confusa was detected in the ingredient mix and also in kimchi samples throughout fermentation in both samples at $4^{\circ}C$ and $10^{\circ}C$. Lc. gelidum was detected as the dominant LAB at $4^{\circ}C$ in both samples. The temperature affected the LAB profile of kimchi by varing the pH, which was primarily caused by the temperature-dependent competition among different LAB species in kimchi. At $4^{\circ}C$, the sample variations in pH and titratable acidity were more conspicuous owing to the delayed growth of LAB. Temperature affected only initial decreases in pH and initial increases in viable cell counts, but affected both the initial increases and final values of titratable acidity. The initial microflora in the kimchi sample was probably determined by the microflora of the ingredient mix, not by that of the salted cabbage. The microbial distributions in the samples used in this study resembled across the different kimchi samples and the different fermentation temperatures as the numbers of LAB increased and titratable acidity decreased.

In vivo와 in vitro에서 김치가 혈액성상과 면역세포배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Kimchi on Hematological and Immunological Parameters in vivo and in vitro)

  • 송영선;김미정;권명자;송영옥;이은경;윤현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1208-1214
    • /
    • 1997
  • This study was designed to know the effect of kimchi on the hematological and immunological parameters in vivo and in vitro, respectively. To study the effects of kimchi on the hematological parameters, rats(S.D., male) were divided into 4 groups and fed diets containing of 3%, 5% and 10% kimchi or kimchi free diet(control) for 6 weeks. The results of CBC(complete blood cell) tests obtained from the bloods of rates were as follows ; In 10% kimchi group, the level of WBC(white blood cells), RBC(red blood cells), Hgb(hemoglobin), Hct(hematocrit)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than those of control group(p<0.05). MCV(mean corpuscular volume), one of the red cell indices, was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animals fed 10% kimchi(p<0.05). RDW(Red cell distritution width) and PCT(plateletcrit) was lowest in 10% kimchi group(p<0.05). To examine the effects of kimchi on immune cell growth in vitro, three types of mouse immune cells-spleen cells, bone marrow cells, thymus cells-were cultured with extracts of salted Chinese cabbage, fresh kimchi and fermented kimchi(for 1 week) for 12 or 20 days. Control was supplemented with PBS(phosphate buffer saline) excluding kimchi extract. The results of spleen cell, bone marrow cell, and thymus cell cultures showed similar tendency: control medium accelerated death of cells, extracts of salted Chinese cabbage reduced the rate of cell death, and extracts of fresh kimchi and fermented kimchi promoted cell growth. From these results, it could be suggested that kimchi possibly has an effect on the hematopoietic ability and increases immune cell development and growth in vivo.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