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ral development projects

검색결과 313건 처리시간 0.031초

예성강 유역의 저수지 현황 분석을 위한 SPOT-5 위성자료의 이용 (Utilizing SPOT-5 Satellite Data for Present State Analysis of Irrigation Reservoirs of the Yeseong River Basin)

  • 이진덕;이병환;송영석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55-263
    • /
    • 2010
  • 북한의 농업용 저수지 개발방향을 설정하고 농촌종합개발사업 및 농지현황분석 등 농업대책정보 수요에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기술적, 정책적 방향을 수립하는 것은 남북교류 및 통일을 대비하여 중요한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SPOT-5 위성영상을 처리하여 북한 예성강 유역내 농업생산기반 DB를 구축하고 농업용 저수지 현황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 현장방문조사가 불가능한 예성강유역의 농업용수관련 현황을 분석하여 분류항목을 설계하고 아울러 실제 농업생산기반관련 주제도를 제작하는 방법 및 절차를 정립할 수 있었다. 그리고, 유역추출, 기설 저수지 용적계산, 전답의 규모 및 수혜지역(생산지역) 범위 설정, 기존의 농업용수체계 등을 조사하여 농업용 저수지의 개발적지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또한, 북한지역의 농업생산기반 DB 구축시 문제점과 한계를 파악할 수 있었다.

최근 3년(2008-2010)간 식품안전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 운영 현황 분석 (Analysis on the National R&D Portfolio of Food Safety in Korea from 2008 to 2010)

  • 곽노성;정지원;이종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5-123
    • /
    • 2013
  • 식품안전관리는 과학적 근거에 따라 진행되어야 한다. FAO/WHO에서는 식품안전관리 4대 원칙 중 하나로 위해성 분석을 제시하고 있으며, WTO에서는 위해성 평가에 입각한 경우에 한하여 자체적인 안전기준을 인정하고 있다. 과학적 분석 없이는 식중독 발생의 원인을 추적 제거함으로써 재발을 막는 것 또한 불가능하다. 연구개발은 과학적 근거를 생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부의 식품안전 연구개발은 11개 정부기관에서 40개가 넘는 사업을 통해 진행되고 있다. 그렇다보니 정확한 통계 자료를 확보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사업명, 과학기술표준분류, 키워드라는 3가지 기준에 따라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진행된 식품안전 연구과제를 추출하였다. 분석 결과, 식품의약품안전청과 농림수산식품부 및 농촌진흥청의 연구사업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위해성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 확보 등을 위해서는 현재보다 1년 이상 다년도 과제의 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SCI 논문을 투고할 수 있는 수준으로 연구의 깊이를 높일 필요도 있다. 노로바이러스 등 생물학적 위해에 대한 연구비중을 높이는 방향으로 연구 포트폴리오의 조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식품안전 관련 사업의 통합 집중화할 필요가 있다. 별다른 차이가 없음에도 부처가 다르다보니 별도로 설정하고 있는 식품안전관리와 농축산물 위생/품질관리로 이원화된 과학기술표준분류의 통합도 필요하다.

재해·재난 예방을 위한 저수지개보수사업의 지불의사금액 추정 (Estimation of Willingness-to-pay for Rehabilitation and Upgrading of Reservoirs in Protecting Against Natural Disasters and Dam-Break)

  • 박성경;임청룡;한재환;정원호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2권6호
    • /
    • pp.139-153
    • /
    • 2018
  • 본 논문은 최근 이상기후에 따른 재해 재난대비수단으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는 저수지의 개보수사업에 대한 경제적 효과를 계량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위해 저수지개보수사업의 목적을 자연재해에 대비한 안정적인 농업용수 공급과 시설노후에 따른 붕괴예방으로 나누어 그 효과를 각각 측정한다. 저수지 개보수사업에 대한 효과 측정은 저수지 일대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개보수사업에 대한 지불의사와 금액을 가상가치평가법(CVM)을 이용하여 추정한다. 분석 결과, 자연재해와 재난 예방 관련 지불의사금액의 분포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표본 지역 주민들의 66%가 개보수사업에 지불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전체 표본에 대한 자연재해 예방 관련 지불의사금액은 주민 평균 32,250~46,147원이고, 재난 예방 관련 지불의사금액은 28,427~47,308원으로 나타났다. 지역유형별로 지불의사금액을 비교해 보면 논 농업 지역, 시설재배 지역, 도시 지역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주민별 지불의사금액에 기초하여 각 지역의 저수지개보수사업에 대한 총 기대가치를 산출한 결과 논 농업 지역과 시설재배 지역의 총 기대가치는 실제 사업비 규모에 비해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이는 주민들이 자연재해 및 재난 예방을 위한 저수지개보수사업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으며 현재 사업비가 충분치 않을 경우 추가적인 비용을 부담할 용의가 있음을 시사한다.

북한의 경제사회적 여건을 고려한 황폐산림복구 기본방향 연구 (A Study on the Basic Directions for Forest Rehabilitation Programs Considering to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of North Korea)

  • 박경석;이성연;박소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3호
    • /
    • pp.423-431
    • /
    • 2011
  • 북한의 황폐산림 양상을 살펴보면 시기별 북한 내 정치 사회 경제적인 여건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변화해 왔음을 알 수 있다. 일반주민들에 의한 생존형 산림훼손은 1990년대 사회주의권의 붕괴와 수년에 걸친 자연재해로 인해 경제난이 심각해지고 중앙집권적 계획경제 체제가 붕괴되면서 가속화되었다. 계획경제 체제에서의 배급제가 붕괴되면서 주민들은 식량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산지를 무분별하게 개간하였고, 땔감을 확보하기 위해 나무를 남벌하였다. 국가 기관들도 외화를 획득하기 위해 수출용 목재 벌채량을 늘리면서 북한 산림은 빠른 속도로 황폐화 되었다. 산림황폐화로 인한 피해가 확대되면서 북한은 결국 산림복구를 위한 자구책을 마련하는 한편 국제사회에 산림복구 지원을 요청하였다. 이에 남한 민간단체도 조림용 묘목생산의 기반인 양묘장 건설을 위주로 하는 물적 지원 사업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앞으로의 북한 산림복구 지원은 현재와 같은 단순한 물적 지원을 벗어나 1970년대 남한의 치산녹화 성공 경험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북한의 경제사회적 여건을 고려한 황폐산림복구 기본방향을 설정하고 체계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 첫째, 2000년 이후 북한의 중앙집권적 계획경제 체제가 붕괴된 이후 조성되고 있는 지방, 기업, 노동자간 다양한 이해관계를 고려한 산림복구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두 번째, 장기간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되는 산림복구 사업의 특성상 산림복구 현장에서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도를 높이도록 해야 한다. 세 번째, 산림복구 사업과 병행하여 농산촌 종합개발 사업을 연계하여 주민들의 산림의존도를 낮춰가는 것이 필요하다. 네 번째, 기존의 북한 산림관리 시스템을 활용하여 단기간 대규모 집중 조림에 필요한 노동력과 행정력을 확보하는 한편, 산림복구 이후의 산림관리를 체계적으로 담당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선도 함께 진행되어야 한다.

한우 비육우 사육기간 단축기술에 대한 경제성 분석 -자가TMR 제조·급여 실증농가를 대상으로- (Economic Analysis on the Technology to shorten the Raising Term for Korean Cattle -Based on the results of empirical farm that manufactures and feeds his own TMR feed-)

  • 채용우;윤진우;김성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833-84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축산과학원에서 개발한 한우 사육기간 단축기술의 경제성을 분석하여 기술보급확산을 위한 타당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우 사육기간 단축기술은 한우 사육농가의 사료비가 경영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거세 한우를 대상으로 비육기간을 관행보다 단축시키면서도 육성기 고영양 사양을 통해 품질은 유지키시는 기술이다. 분석방법은 부분예산법(Partial budget analysis)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증농가는 기술도입 전에 29개월 미만으로 출하한 성적이 0%였으나, 도입 3년차에 51.2%로, 도입 6년차에는 63.6%로 증가하였다. 둘째, 출하월령과 도체중의 연차별 성적에 대해 분산분석을 수행한 결과, 출하월령에 유의수준 0.01을 기준으로 차이가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도체중에서도 유의수준 0.05를 기준으로 도체중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사육기간 단축기술을 부분예산법으로 경제성을 평가한 결과, 자가 TMR 제조·급여 효과와 2개월 기단 단축효과를 합하면 최대 467,990원/두/회 수익이 발생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본 결과는 기술보급사업에서 해당 기술이 우선적으로 보급될 수 있도록 강력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향후 본 기술의 더 많은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시범사업 추진 이후 참여 농가와 미참여 농가를 대상으로 문제점과 한계점, 도입에 대한 장애요인 등을 추가적으로 밝혀야 할 것이다.

기계학습을 통한 토양오염물질 농도 예측 및 분포 매핑 (Predicting Concentrations of Soil Pollutants and Mapping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 강혜원;박상진;이동근
    • 환경영향평가
    • /
    • 제31권4호
    • /
    • pp.214-225
    • /
    • 2022
  • 본 연구는 사업시행이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기 위해 환경영향평가 토양 부문을 강조하였다. 영향평가 절차에 대한 일련의 노력으로서 도시개발사업을 대상으로 하는 국가 인벤토리 기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세 가지 기계학습 모델 성능 평가 및 토양오염물질 농도분포 매핑을 진행하였다. 여기에서,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여준 Random Forest 모델을 사용하여 대한 민국 수도권 지역을 대상 9가지 토양오염물질을 매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화가 가장 활발한 서울지역에서 아연(Zn), 불소(F) 및 카드뮴(Cd) 농도가 상대적으로 우려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수은(Hg)과 크롬(Cr6+)의 경우 농도가 기준 이하로 검출되었는데, 이는 중금속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산업 및 공업단지와 같은 오염원 부족이 원인으로 도출되었다. 토양오염물질 공간분포 매핑을 통해 토양특성 및 토지이용 유형과 오염물질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유추하였다. 이를 통해 사업 현장 위치에 관한 토양오염 최소화 및 계획 결정에 대한 효율적인 토양관리 방안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포유류 종 풍부도 매핑 구축 연구 (Mapping Mammalian Species Richness Using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 김지영;이동근;김은섭;최지영;전윤호
    • 환경영향평가
    • /
    • 제33권2호
    • /
    • pp.53-63
    • /
    • 2024
  • 생물다양성은 환경영향평가 제도의 목표에 중요한 부문으로, 개발대상지 입지 선정, 주변 환경 파악 및 교란으로 인한 생물종 영향 등에서 활용되고 있다. 환경영향평가 분야에서 새로운 기술과 모델을 활용하여 생물다양성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하고 예측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비록 현장, 문헌조사를 통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종 풍부도 지수를 평가하고 있으나, 현장 데이터는 시·공간적으로 미흡하므로 고해상도의 종 풍부도 매핑을 통한 기초자료를 활용함으로서, 모니터링 실효성 문제 해결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 데이터와 환경변수를 바탕으로 Random forest 모델을 활용하여 종 분포모형을 개발하였다. 해당 모델은 24종의 포유류 종 분포 매핑 결과를 species richness index를 활용하여 100m 해상도의 종 풍부도 매핑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종 분포모형은 평균 0.82의 AUC값으로 우수한 예측 정확도를 보였다. 또한, 전국자연환경조사 데이터와 비교결과, 고 해상도의 종 풍부도 매핑 결과의 종 풍부도 분포는 정규분포의 형태를 가지고 있어 환경영향평가에서의 기초자료로 사용함에 있어 신뢰성이 높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추후 도시개발과 사업을 함에 있어 생물다양성 평가, 서식지 보전 등에 새로운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환경 친화적인 간단관개를 통한 논에서의 온실가스 저감 (Greenhouse Gas Reduction from Paddy by Environmentally-Friendly Intermittent Irrigation: A Review)

  • 최중대;노만 우포프;김종건;이수인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3-56
    • /
    • 2019
  • 관개 및 담수 논은 온실가스 배출에 기여를 하고 있으며 이는 기후에도 영향을 미친다. 관개 및 담수는 벼 생산을 위해 필요로 하는 수분의 공급과 안전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현재 벼 생산 방법(담수재배)은 여러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시간이 지날수록 지속 가능성이 낮아 질 것이다. 이에 담수 논의 지역적 특성에 따라 지구온난화를 29% ~ 90%까지 줄이기 위해 SRI(system of rice intensification)와 AWD(alternate wetting and drying) 방법을 적용한 간단관개 방식이 검토되고 있으며, 점차 제한된 자원인 물을 절약하기 위한 방법으로 알려지고 있다. SRI/AWD 적용에 따른 긍정적인 측면으로는 논에서의 유출로 인한 수질악화를 줄이고 곡물에 비소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SRI/AWD와 같이 간단관개 방법의 적용 및 확장을 위해서는 정밀 관개 조절을 할 수 있는 관개 인프라 구축에 대한 공공 및 민간에서의 비용적인 투자가 필요하며, 관리 능력 향상을 위해 물 관리 기관 및 농민의 노력이 요구된다. 산업분야에서 SRI/AWD와 함께 청정개발체제(CDM, clean-development mechanism) 하에서 탄소 배출권을 얻는 수단으로서의 민간 공공 협력은 간단관개 방식의 적용과 농촌지역 투자 및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청정개발체제 하에서 설계된 프로그램 또는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프로젝트에 SRI/AWD가 포함된다면 기후변화 완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고, UN의 지속 가능한 발전 목표(SDGs)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서식지 적합성 평가를 이용한 수변지역 핵심 보전지역 선정 - 수달을 대상으로 - (Selecting Core Areas for Conserving Riparian Habitat Using Habitat Suitability Assessment for Eurasian Otter)

  • 정승규;박종화;우동걸;이동근;서창완;김호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9-32
    • /
    • 2015
  • In Korea, significant riparian areas have been developed due to river maintenance projects. Introduction of new riparian facilities can negatively affect wildlife in the riparian areas. This study focuses on selecting core conservation areas for Eurasian Otter(Lutra lutra) to support decision making process for development of riparian areas. For the study, first of all, field data of study site were collected by field surveys. Secondly, stream naturalness was assessed to understand physical environments of the study sites. Thirdly, habitat suitability was assessed using occurrence data of Eurasian Otter and environmental data. Lastly, core areas for conservation was selected by comparing and synthesizing stream naturalness map and habitat suitability map. The selected core areas showed several characteristics. The number of artificial facilities is low in the core areas. Rocks which are preferred by Eurasian Otter to eat and excrete are plentiful in the core areas. Also, the ratio of adjacent farmland is high. Based on the analys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decision making process for environmental spatial plans to better conserve habitats of Eurasian Otter.

농작업 유해요인 노출평가를 위한 작목 및 작업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ategorization of Farm Types and Crops for Exposure Assessment in Agriculture)

  • 신소정;김효철;허진영;안민지;김경란;김경수;이민지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00-507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farm types and analyze the cultivated area and labor input time for each crop over a year in order to decide farm type conducting for the hazard exposure assessment. Methods: Crops ranked within the top 45 by cultivated area in Korea were selected and 15 target crops that exposure assessment had been conducted for through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pilot research projects were selected. Labor input time was based on data investigated through RDA research surveillance. If there was no data, data from Statistics Korea was used. Data from Statistics Korea was used for total cultivated area. Results: Crops were divided into 5 types: open field crops(Chinese cabbage, Corn, Ginger, Potato), fruits (Mandarin, Pear), green house crops(Cucumber, Lily, Oriental melon, Pumpkin, Tomato), livestock(Poultry), specialty crops(Ginseng, Oyster mushroom, Tobacco). The cultivated area for potato was the largest, and lily was the smallest among the crops. Labor input time over a year was the highest with oyster mushroom and the lowest with pear. Total labor input time by crops was the highest with mandarin and the lowest with Chinese cabbage. Conclusions: To evaluate hazard factors of farm work, it's essential that crops and tasks be classified based on the size of farmers and working hours by farm type. Therefore, the priority of management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e cultivated area and total labor time, but the characteristics of tasks in each crop should also be consid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