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stance inhibition

검색결과 538건 처리시간 0.034초

3T3-L1세포에서 흑효모 SM-2001 추출물(Polycan®)의 항비만 효과 (The Anti-obesity Effect of Aureobasidium pullulans SM-2001 Extract (Polycan®) on 3T3-L1 Preadipocytes and Adipocytes)

  • 김영숙;임종민;구본화;문승배;조형래;이선민;권정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0호
    • /
    • pp.835-843
    • /
    • 2020
  • 비만은 이제 선진국 뿐만 아니라 개발도상국에서도 가장 문제가 되는 대사성 질환이다. 최근 치료보다는 예방에 중점을 두는 예방의학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인슐린 저항성 비만과 당뇨병 등의 대사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한 천연물들이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베타글루칸은 면역계와 혈중 콜레스테롤 조절에 이로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비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β-1,3/1,6-glucan의 함량이 전체 글루칸 함량의 90% 이상 되는 자체 개발 흑효모 균주 SM-2001 추출물(폴리칸)이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폴리칸은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축적과 GPDH 효소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폴리칸이 세포 내에서 지방의 축적을 조절하는 전사인자인 PPARγ와 C/EBPα의 하향조절과 세포 내 에너지 센서 역할을 하는 AMPK 효소의 인산화를 유도함으로써 항비만 효과를 발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폴리칸의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향후 비만과 대사성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식의약 소재로써 그 활용가치를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ryptic Soy Broth와 생선 Homogenate에 첨가한 Ethanol이 Vibrio parahaemolyticus의 증식과 생존에 미치는 영향 (Inhibi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by Ethanol in Tryptic Soy Broth and Some Fish Homogenates)

  • 박찬성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12
    • /
    • 1996
  • Tryptic soy broth(TSB)와 광어, 굴 homogenate에 ethanol을 함유하지 않은 경우와 5%의 ethanol(v/v)을 함유한 경우에 ethanol이 V. parahaemolyticus의 증식과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이 세균의 최적온도(35$^{\circ}C$)와 저온(-20, 5$^{\circ}C$) 및 고온(45, 5$0^{\circ}C$)에서 검토하였다. 35$^{\circ}C$에서의 V parahaemolyticus의 증식은 TSB와 광어 homogenate에서 빨랐으나 굴 homogenate에서 약간 느렸다. 5%의 ethanol 존재하에서는 TSB와 광어 homogenate에서 긴 유도기를 거친 후에 증식이 시작되었으나 굴 homogenate에서는 저장초기부터 계속 생균수가 감소하였다. 5%의 ethanol을 함유한 것과 ethanol을 함유하지 않은 액체배지에 $10^{6}$-$10^{7}$ cells/ml의 V. parahaemolyticus를 접종하여 저온(5, -2$0^{\circ}C$)과 고온(45, 5$0^{\circ}C$)에 저장하면서 ethanol에 의한 생존억제 작용을 조사하였다. 5$^{\circ}C$에서 ethanol을 함유한 것과 ethanol을 함유하지 않은 액체배지에서 시료간의 생균수는 현저한 차이가 없었으나 -2$0^{\circ}C$에서는 5%의 ethanol 존재하에서 광어와 굴 homogenate에서 V. parahaemolyticus의 생존이 TSB에 비하여 현저히 억제되었다. 45$^{\circ}C$와 5$0^{\circ}C$에서 D-value는 ethanol을 함유하지 않은 경우와 5%의 ethanol을 함유한 경우 모두에서 굴 homogenate가 TSB와 광어 homogenate에 비하여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45$^{\circ}C$와 5$0^{\circ}C$에서 ethanol을 함유하지 않은 각 액체배지에서의 D-value는 5%의 ethanol을 함유한 각각의 액체배지에서의 D-value보다 1.9-3.5배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Sensitivity of Gastric Cancer Cells to Chemotherapy Drugs in Elderly Patients and Its Correlation with Cyclooxygenase-2 Expression

  • Qiu, Zhen-Qin;Qiu, Zhen-Ro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8호
    • /
    • pp.3447-3450
    • /
    • 2015
  • Objective: To explore the sensitivity of gastric cancer cells to chemotherapy drugs in elderly patients and its correlation with cyclooxygenase-2 (COX-2) expression in cancer tissue. Materials and Methods: Forty-three elderly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observation group) and 31 young patients with gastrointestinal tumors (control group) who were all diagnosed by pathology and underwent surgery in the 89th Hospital of Chinese People's Liberation Army were selected. Drug sensitivity testing of tumor cells in primary culture was carried out in both groups using a methyl thiazolyl tetrazolium (MTT) method, and the expression of COX-2 and the factors related to multi-drug resistance (MDR) in cancer tissue were assessed by immunohistochemistry. Results: The inhibition rates (IR) of vincristine (VCR), 5-fluorouracil (5-FU), oxaliplatin (L-OHP), mitomycin (MMC) and epirubicin (eADM) on tumor cells in the observation group were dramatically lower than in the control group,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or P<0.01). The positive rates of COX-2, glutathione s-transferase-${\pi}$ (GST-${\pi}$) and P glycoprotein (P-gp) expression in cancer tissue in the observation group were all higher than in control group (P<0.05), while that of DNA topoisomerase $II{\alpha}$ ($TopoII{\alpha}$) expression lower than in the control group (P<0.01). In the observation group, COX-2 expression in cancer tissue had a significantly-positive correlation with GST-${\pi}$ and P-gp (r=0.855, P=0.000; r=0.240, P=0.026), but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opoII{\alpha}$ (r=-0.328, P=0.002). In the control group, COX-2 expression in cancer tissue was only correlated with P-gp positively (r=0.320, P=0.011).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displayed that COX-2 expression in cancer tissue in the observation group had a significantly-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IRs of 5-FU, L-OHP, paclitaxel (PTX) and eADM in tumor cells (r=-0.723, P=0.000; r=-0.570, P=0.000; r=-0.919, P=0.000; r=-0.781, P=0.000), but with hydroxycamptothecine (HCPT), VCR and 5-FU in the control group (r=-0.915, P=0.000; r=-0.890, P=0.000; r=-0.949, P=0.000). Conclusions: Gastric cancer cells in elderly patients feature stronger MDR, which may be related to high COX-2 expression.

Efficacy and Safety of Sorafenib for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Wang, Wei-Lan;Tang, Zhi-Hui;Xie, Ting-Ting;Xiao, Bing-Kun;Zhang, Xin-Yu;Guo, Dai-Hong;Wang, Dong-Xiao;Pei, Fei;Si, Hai-Yan;Zhu, M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4호
    • /
    • pp.5691-5696
    • /
    • 2014
  • Background: Many clinical trials have been conducted to evaluate sorafenib for the treatment of advanced NSCLC, but the results for efficacy have been inconsisten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sorafenib in patients with advanced NSCLC in more detail by meta-analysis. Methods: This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was performed after searching PubMed, EMBASE, ASCO Abstracts, ESMO Abstracts, and the proceedings of major conferences for relevant clinical trials. Two reviewers independently assessed the quality of the trials. Outcomes analysis were disease control rate (DCR), progression- free survival (PFS), overall survival (OS) with 95% confidence intervals (CI) and major toxicity. Subgroup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sorafenib monotherapy, in combination with chemotherapy or EGFR-TKI to investigate the preferred therapy strategy. Results: Results reported from 6 RCTs involving 2, 748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Compared to sorafenib-free group, SBT was not associated with higher DCR (RR 1.31 (0.96- 1.79), p=0.09), PFS (HR 0.82 (0.66-1.02), p=0.07) and OS (HR 1.01 (0.92-1.12), p=0.77). In terms of subgroup results, sorafenib monotherapy was associated with significant superior DCR and longer PFS, but failed to show advantage with regard to OS. Grade 3 or greater sorafenib-related adverse events included fatigue, hypertension, diarrhea, oral mucositis, rash and HFSR. Conclusions: SBT was revealed to yield no improvement in DCR, PFS and OS. However, sorafenib as monotherapy showed some activity in NSCLC. Further evaluation may be considered in subsets of patients who may benefit from this treatment. Sorafenib combined inhibition therapy should be limited unless the choice of platinum-doublet regimen, administration sequence or identification of predictive biomarkers are considered to receive better anti-tumor activity and prevention of resistance mechanisms.

국내 고추역병균 Phytophthora capsici 집단의 교배형 분포 특성에 따른 Metalaxyl 감수성 (Metalaxyl Sensitivity Related with Distribution Feature of Mating Type of Phytophthora capsici Population from Red Pepper in Korea)

  • 송정영;유성준;이윤수;김병섭;김홍기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98-102
    • /
    • 2003
  • 1995년부터 1998년까지 75곳의 국내 고추포장들로부터 수집된 433개의 고추역병균 Phytophthora capsici 집단의 교배형 분포 특성에 따른 metalaxyl 감수성을 분석하였다. Metalaxyl $2{\mu}g/ml$ 농도에서 P. capsici 집단의 평균 균사생장 저해율은 68.2%였으며, 저항성균의 발생율은 평균 28.6%였다. 포장단위별로 metalaxyl에 대한 반응을 조사한 결과 A1형 또는 A2형 단일 교배형만 출현한 포장들의 균주들은 서로 비슷한 수준의 감수성을 나타냈으며, 대부분 포장단위별로 약제 감수성이나 저항성 중의 하나로 구분됐다. 그러나 교배형이 혼재하여 분포하는 각 포장단위별 균주들간의 약제에 대한 반응은 단일교배형 포장균주들에 비해 매우 다양했으며, 포장별로 저항성균의 발생비율도 다양했다. 이러한 결과들은 국내에 분포하는 고추역병균 P. capsici 집단의 metalaxyl 약제에 대한 다양한 감수성이 각 포장단위별 A1 : A2교배형 발생비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세포벽 (1,3)-${\beta}$-D-Glucan Polymer 합성의 저해로 인한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의 항바이오필름 활성 (Antibiofilm Activity of Scutellaria baicalensis through the Inhibition of Synthesis of the Cell Wall (1, 3)-${\beta}$-D-Glucan Polymer)

  • 김연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88-95
    • /
    • 2013
  • Candida 바이오필름은 숙주조직과 의료기기의 표면에 자라는 자가-조직화된 미생물의 군락으로 전통적인 항진균제에 대한 저항성이 높게 나타난다.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의 뿌리는 극동지방에서 의료용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10 C. albicans 임상 분리균주에 의해 형성된 바이오필름에 대한 황금의 수용성 추출물의 효과를 평가하고, 항바이오필름 활성에 대한 메커니즘을 알아보는 것이다. 바이오필름에 대한 효과는 XTT 환원분석법을 사용하였으며, 조사된 모든 균주에 대한 대사활성은 MIC에서 유의하게 감소($57.7{\pm}17.3$%)하였다. 황금추출물은 (1,3)-${\beta}$-D-글루칸 합성효소의 활성을 저해하였고 C. albicans의 형태에 대한 황금의 효과는 글루칸 합성의 억제로 인한 생장의 변화와 관련이 있었다: 대부분의 세포는 둥글고 팽창되었으며 세포벽이 진하게 염색되거나 파열되었다. 항캔디다 활성은 살진균성이었고, 황금은 C. albicans를 $G_0/G_1$기에 머물게 했다. 데이터는 황금이 목표가 되는 균류에 다중의 치명적인 효과를 내며, (1,3)-${\beta}$-D-글루칸 합성효소의 활성을 저해함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세포벽의 파열과 죽음에 이르게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황금은 바이오필름과 관련된 캔디다의 감염을 치료하고 제거하기 위한 항진균제 개발 후보 물질로서의 가능성을 가진다.

감나무 탄저병균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의 Benzimidazole계 살균제, Mancozeb 및 Propineb에 대한 감수성 (Sensitivity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Isolated from Persimmon to Benzimidazoles, Mancozeb and Propineb)

  • 임태헌;최용화;이동운;한상섭;차병진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05-110
    • /
    • 2009
  • 감 과수원으로부터 분리한 탄저병균(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에 대한 carbendazim, thiophanate-methyl, mancozedb 및 propineb 등 총 4종의 살균제의 약제반응을 조사하였다. Carbendazim($415{\mu}g/m{\ell}$)과 thiophanate-methyl($750{\mu}g/m{\ell}$)에 대하여 90%이상의 균사생육 억제율을 보이는 균주의 비율은 각각 68.2와 35.5%로 나타났으며 두 약제 사이의 교차 저항성을 조사한 결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2=0.7862$). Mancozeb와 propineb에 대하여 91%이상의 균사생육 억제율을 보인 균주의 비율은 각각 90%과 53.6%이상으로 조사되었으며, 두 약제가 교차 저항성의 위험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r^2=0.0174$). 시험에 사용한 두 종의 benzimidazole계 살균제와 mancozeb와 propineb 사이의 교차 저항성은 조사한 결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폴리염화비페닐류의 생분해 우수 백색부후균 선발 및 분해율 분석 (Selection of White Rot Fungi for Biodegradation of Polychlorinated Biphenyl, and Analysis of Its Biodegradation Rate)

  • 홍창영;곽기섭;이수연;김선홍;최인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8권6호
    • /
    • pp.568-57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목재부후균의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 생분해 가능성을 구명하고자 7종의 백색부후균을 이용하여 PCB 혼합물 중 가장 분해가 어렵다고 알려진 Aroclor 1254와 1260을 대상으로 분해력이 우수한 목재부후균을 선발하였다. 그리고 선발된 목재부후균을 이용하여 GC 분석을 통해 Aroclor 1254, 1260의 분해율을 조사하였다. 고체배지 저항성 테스트를 통해 우수분해 균주로 선발된 Cystidodontia isubellina 는 다른 균주에 비해 균사생장량의 억제가 가장 적었으며 상대적으로 생장속도도 빠른 특징을 나타냈다. 선발된 C. isubellina에 의한 Aroclor 1254와 1260의 분해율 분석 결과, Aroclor 1254배양 13일째 57.57%로 가장 높은 분해율을 나타냈다. Aroclor 1260 역시 배양일수가 증가함에 따라 분해율 역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배양 13일째 49.43%로, 두 혼합물 모두 기존의 다른 연구에서보다 높은 분해율을 나타냈다.

주요 임상 내성균에 대한 어성초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Houttuynia cordata Ethanol Extract against Major Clinical Resistant Microorganisms)

  • 홍승복;이천휘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40-146
    • /
    • 2015
  • 다제내성균의 증가는 사용할 항생제가 적거나 심지어 선택할 항생제가 없기 때문에 감염환자의 치료에 커다란 위협이 되고 있다. 최근 다양한 천연 추출물이 내성세균에서 항균효과 및 상승효과를 보인다는 보고가 많다. 어성초(Houttuynia cordata)는 항균, 항바이러스 및 항산화 효과를 보이는 전통적 약초이다. 이에 저자들은 임상의 주요 내성균에 대한 어성초의 항균효과를 알아보고, 이들의 적절한 항균효과 측정방법을 평가하고자 한다. 우선 현재 가장 많은 문제를 야기하는 주요 내성균인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faecium (VRE), carbepenem-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CRAB) 각각 10 균주를 선택하여, CLSI 기준으로 디스크 확산법 및 미량액체배지희석법으로 감수성 시험을 하였다. CLSI 기준으로 시행한 디스크 확산법에서 $4,096{\mu}g/mL$에서 $30,000{\mu}g/mL$ 까지의 농도에서 모든 균의 억제대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액체배지 희석법에서는 MRSA, VRE, CRAB의 $MIC_{90}$이 각각 $4,096{\mu}g/mL$, $8,192{\mu}g/mL$, $4,096{\mu}g/mL$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어성초는 MRSA, VRE, CRAB 등 주요 임상 내성균에서 우수한 항균효과를 보이며 천연물의 항균효과를 평가에 디스크 확산법보다 액체배지 희석법이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만약 디스크 확산법으로 항균효과를 측정하려면 천연물에 대한 균 접종 농도의 변경 등 새로운 기준이 요구된다.

다슬기 protamex 가수분해물(MPH)의 항당뇨 기작 연구 (Anti-diabetic mechanism of melania snail (Semisulcospira libertina) protamex hydrolysates)

  • 표상은;최재석;김미령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1007-1016
    • /
    • 2017
  • 다슬기는 예로부터 간염, 간경화, 지방간 등의 치료 및 개선에 이용되어 왔으며, 특히 소변불통, 소갈증(당뇨) 등의 약용으로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슬기를 대상으로 항당뇨에 대한 효능을 과학적으로 검증하고 그 기작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다슬기의 생물학적 기능성을 높이기 위해 효소 가수분해를 실시하였으며, protamex에 의한 가수분해도는 10시간 후 약 43% 수준을 나타내었다. PTP1B는 인슐린 신호전달기전에서 IRS-1의 인산화를 방해하여 인슐린 민감성을 저해시키는 효소이다. protamex를 이용한 다슬기 가수분해물(MPH)의 PTP1B에 대한 저해활성은 $15.42{\pm}1.1{\mu}g/mL$$IC_{50}$ 값을 나타내어 양성대조군 ursolic acid의 $16.7{\mu}g/mL$ 보다 높은 저해활성을 보이면서 강한 항당뇨 활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보였다. 이에 따라 유리지방산을 이용하여 C2C12 myoblast에서 인슐린 저항성을 유도하고, MPH에 의한 포도당 흡수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1 mM PA 처리에 의해 약 32% 수준으로 떨어진 포도당 흡수율은 MPH 처리에 의해 약 199%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장기간 고농도의 포도당(30 mM)에 의해 유도된 당독성 조건에서 MPH는 췌장의 베타세포 INS-1 세포의 생존율을 증가시키고, 대조군에 비해 약 160% 인슐린 mRNA 발현량을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에서 MPH는 PTP1B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인슐린 신호전달 기작을 활성화하고, 인슐린저항성 환경에서 포도당 흡수를 증진시켜 인슐린저항성을 개선하며, 나아가 고농도 포도당에 의해 유도되는 당독성환경에서 췌장 베타세포를 보호하고 인슐린 mRNA발현량을 정상화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