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esidents′ satisfaction

검색결과 912건 처리시간 0.027초

개발제한구역 주민지원제도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Green Belt Community Support Program)

  • 이미홍;윤정중;윤인숙
    • 토지주택연구
    • /
    • 제4권4호
    • /
    • pp.317-332
    • /
    • 2013
  •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11년까지 시행된 개발제한구역 주민지원사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주민 공무원 등 관련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향후 구체적인 제도개선 및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통계 자료를 통해 주민지원제도 현황을 연도별, 권역별, 사업유형별로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이해관계자인 주민과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통해 제도개선방안을 도출한다. 지난 10년 동안 주민지원사업은 총 2,007건에 5,839억 원의 국비가 집행되었다. 지원항목 별로는 생활편익사업이 1,949건에 5,646억원으로 96.7%를 차지하고 있으며,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1,879억원(총사업비 3,207억원)으로 전체의 32.5%를 차지하고 있어 지원 사업 유형 및 지역에 다소의 편중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주민 370명, 공무원 6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주민지원 제도에 대한 만족도는 과거보다 증가하였으나, 생활비용 직접지원 확대, 주민 참여의 활성화, 새로운 주민지원사업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도 개선 방안으로는 주민소득 창출을 위한 특성화 마을 조성, 역사와 전통 자원을 활용한 경관보전계획 수립, 인근 도시민과 여가를 같이 할 수 있는 공간 조성, 100세 시대 도래에 따른 노인맞춤형 사업 등이 제안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지역특성화사업은 공모를 통해 차별적으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이와 같은 내용은 개발제한구역 중장기 계획에 반영되어 점차적으로 실현되어야 할 것이다.

스마트관광을 활용한 지역관광 혁신사례 연구: 인천 스마트관광도시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Regional Tourism Innovation through Smart Tourism: Focusing on Incheon Smart Tourism City Project)

  • 한희정;정남호
    • 지식경영연구
    • /
    • 제25권1호
    • /
    • pp.67-88
    • /
    • 2024
  • 스마트관광은 지역의 관광자원 활용을 극대화하고 도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며 관광객과 주민 간의 소통과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기여한다. 따라서 스마트관광은 지역 간의 협력을 강조하며 스마트관광도시는 거주민과 관광객을 모두 고려하는 포괄적 관점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지역 관광 경쟁력 제고를 위한 스마트관광과 지역 간의 상호작용 및 역할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특히, 스마트관광도시의 구성요소인 스마트관광 4대 요소(스마트 경험, 스마트 편의, 스마트 접근성, 스마트 플랫폼)를 지역민, 지역상권, 지역자원, 지역생태계와 접목하여 긍정적 시너지를 위해서 어떻게, 왜 라는 관점에서 서비스 구축 단계부터 활성화 단계까지 심층적으로 살펴보였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제1호 인천 스마트관광도시 사례를 대상으로 단일 사례 연구 디자인 방법을 채택하였다. 연구결과 지역과의 협력적 스마트관광도시 모델은 서비스 만족도를 높이며 지역 관광 경쟁력을 강화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특히, 스마트관광도시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이 지역사회와 상호작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였으며 이는 방문객 증대와 도시 브랜딩 강화로 이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스마트관광도시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스마트 기술과 지역관광의 융합으로 인한 지역 경쟁력 강화 연구로써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치과의료기관 방문시 불만처리서비스에 대한 의료소비자의 평가 (Client Services Evaluation in Dentistry Sector)

  • 한지형;김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209-22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clients who visited dental institutions perceived client services, what sorts of client services were provided to them and to what exten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m. It's ultimately meant to seek ways to enhance and enlarge client services. A survey was conducted on 379 residents who used dental institution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a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64.6 percent of the people investigated weren't aware of client services, and 33.0 percent viewed them as part of medical services. 77.5 percent had grievances about dental institutions they'd ever used. 2. The biggest complaint was that the dental treatments they received weren't covered by the dental insurance. As for how to solve their grievances, the largest group of them told the employees of the dental institutions about their complaints or didn't use them again. When asked whether the dental institutions took any steps to get rid of their grievances, the greatest group replied they had no idea. and the second largest group answered they took no measure. 3. By age and educational level, those who were in their 60s and up and stopped at elementary school were best cognizant of client services. Among client service variables, they were most satisfied with how the employees handled their complaints, and as to overall satisfaction, their willingness to revisit ranked highest. 4. Concerning connections among client service awareness, service variables and overall satisfaction level, their awareness of client services had a positive correlational relationship with every service variable and satisfaction level. Among the service variables, prompt client services and employee attitude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overall satisfaction level, but service procedure, facilities and information services exercised little impact on that. 5. As for what factors affected their content with client services, their client service awareness was identified a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o influence their use of dental institutions, the outcome of their visit and their willingness to revisit.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dental institutions should strengthen publicity activities to inform people of client services, and encourage them to express their grievances. In addition, they should take an immediate action to remove their complaints, and try to get a successful feedback to offer higher-quality medical services and customer-oriented services.

  • PDF

문화관광축제 참가자 만족도 연구-난계국악축제 사례('2003/2004) (Visitors' Satisfaction about the Cultural Tourism Festival : The Mange Traditional Music Festival 2003/2004)

  • 정강환;최승국;노용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5호
    • /
    • pp.191-201
    • /
    • 2005
  • 본 연구는 국내의 유일한 국가지정(문화관광부) 문화관광축제중에서 유일한 국악축제인 난계 국악축제의 2003년과 그리고 2004년 축제방문자를 대상으로, 축제 방문객의 프로그램 만족도를 조사하여 국악 축제만족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연구 되었다. 세부적으로, 축제를 방문한 지역민과 국내 축제 방문객간의 만족을 비교하였고, 인기 있는 국악 악기의 종류와 그 원인을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난계 국악 축제의 만족도 향상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축제 조직자들에게 실무적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축제 프로그램에 관한 지역민들의 만족도는 국내 방문객들보다 높았다. 둘째, 방문객들은 장고와 대금같이 익숙하고 배우기 쉬운 국악악기를 선호 하였다. 셋째, 방문객들은 체험중심의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된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중심으로 난계 국악축제 조직자들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으로 첫째, 더욱 많은 체험 프로그램의 도입의 필요성이 지적되었다. 둘째, 다른 국악기들간의 소리 방해 문제는 방문자들의 만족도를 떨어뜨리는바 분리된 악기 체험실이 필요하다. 셋째, 축제프로그램에 대해 더욱 적극적인 대외적 안내활동이 필요하다. 넷째, 전통국악 악기와 전통음악에 대한 일정수준의 지식을 가진 가이드에 의한 축제 프로그램 해설이 필요하다. 또한 축제 방문 외국인을 위해서, 외국어에 능통하면서도 전통국악기에 대한 지식이 풍부한 해설사의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 PDF

전통시장 융합을 위한 지역 방송 프로그램 요인이 공중관계성에 미치는 영향: 광주방송<시장이 좋다>를 중심으로 (Regional Broadcasting Program Factors Influence Public Relations for The Traditional Market Unity: Focused on )

  • 신일기;최윤슬;신현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7호
    • /
    • pp.1-8
    • /
    • 2015
  • 지방자치제 시행과 함께 지역방송의 영향력이 중요해지고 있다. 지역방송사는 본 연구는 광주지역방송사 프로그램의 '시장이 좋다'의 만족도와 시장 활성화 여부가 시장 상인들의 공중관계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상인들 25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 만족도와 프로그램을 통한 시장 활성화 여부는 모두 공중관계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지역 방송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 만족도는 헌신성, 관계성, 신뢰성의 순으로 영향력이 나타났으며, 시장 활성화 여부는 관계성, 신뢰성, 헌신성 순으로 모두 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주민을 위한 양질의 프로그램 개발이 지역방송 융합과 함께 방송사 브랜드 이미지에도 중요한 역할을 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향 후 프로그램을 활용한 지역방송 프로그램 구성에 있어서 지역 활성화를 통한 긍정적 상호관계성이 지역방송 정책에 있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일하는 방식의 변화와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의 탐색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에 실시된 일본 내각부 조사자료를 중심으로- (Changes in the work arrangements and new lifestyles after the COVID-19 pandemic: Evidence based on survey data from the Japanese Cabinet Office)

  • 이수진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6권3호
    • /
    • pp.87-106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의 두 시기(코로나19 팬데믹 직후와 코로나19 팬데믹 2년 후)의 일하는 방식, 지방 이주에 대한 관심, 생활만족도 등의 비교를 통해, 코로나19 팬데믹이 장기화되는 과정에서 사람들이 추구하는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자료는 일본 내각부에서 코로나19 팬데믹 확산 직후(2020년 5월)부터 4차례에 걸쳐 실시한 『코로나19 영향에 의한 생활의식 및 행동의 변화에 관한 조사』 데이터이다. 제1회 조사 및 제4회 조사에 모두 응답한 응답자 중에서 20세 이상의 취업자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경권 거주자가 코로나19 팬데믹 직후에 '텔레워크 중심' 일하는 방식을 경험한 비율은 36.1%로 전국의 응답과 비교해서 높다. 둘째, 이들은 텔레워크 중심의 일하는 방식을 경험한 사람과 유연근무를 경험한 사람이 지방 이주에 대해 매우 관심이 있다는 응답이 출근 중심으로 일한 사람보다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텔레워크 경험자의 경우, 생활만족도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에 비해서 코로나19 팬데믹 직후에 감소했다가 코로나19 팬데믹 2년 후에는 코로나19 확산 이전보다도 높은 수준으로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일하는 방식의 변화는 지방 이주를 촉진하면서 지역 활성화와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을 모색하는 돌파구로서 역할을 기대해 볼 수 있다.

노인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노인복지관에 대한 만족도 연구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Senior Welfare Centers by Senior's Lifestyle)

  • 이송현;어성신;황연숙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5권3호
    • /
    • pp.171-186
    • /
    • 2016
  • 지속적인 노인인구의 증가와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지역 내 노인복지관은 지역주민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대표적인 서비스 공간으로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과거세대에 비해 높은 학력수준, 경제능력의 향상,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이 변화됨에 따라 이전 세대와는 다르게 양질의 서비스를 추구하는 성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 연륜적 특성 지표인 라이프스타일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노인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노인복지관의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에 위치한 7곳의 노인복지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군집분석을 통해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독립활동형, 보호활동형, 적극도전형, 소극도전형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노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노인복지관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보호활동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소극도전형, 적극도전형, 독립활동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라이프스타일 유형별로 노인복지관의 공간특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독립활동형과 소극도전형은 친밀성, 보호활동형은 쾌적성, 적극도전형은 편의성이 가장 영향력이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농촌지역 일차건강관리 기관의 고혈압환자 관리실태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The control of the hypertension in rural primary health care settings in Korea)

  • 정영해;강혜영;정미영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62-180
    • /
    • 1994
  • The control of the chronic degenerative diseases becomes a challenge in Korea as the aging of the population progresses. Accordingly, the importance of the control of the hypertension, one of the major chronic degenerative diseases, in the primary health care settings increases. However, such control activities are still minimal. This study gives brief description of how the rural residents who are currently registered for the control of the hypertension feel about the activities of the health centers, subcenters and the CHP posts, in relation to the control of the hypertension. We also describe the knowledge and practice of the registered hypertensive. In general, the knowledge, the acceptance and the satisfaction of the respondents about the hypertension control activities were not very high. Respondents being managed by the health center showed the highest knowledge, acceptance and satisfaction, and those being managed by the subcenters ranked lowest. The knowledge about the hypertension was not satisfactory. There were great variations among the items in terms of the proportion answered correctly. As many as 60% of the respondents take medication regularly but only 4.5% were practicing weight control regularly. Despite some limitations of the study, the results can be very useful for those planning hypertension control programs. The educational materials and the dietary protocols need to be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regional social and food pattern, so that they can be utilized with minimal modification for each beneficiary. We also suggest to minimize the area a health personnel covers. In other word, running several small health posts at village level would be more effective than running a subcenter at the township level, in terms of the hypertension control.

  • PDF

취약계층 노인의 우울예방을 위한 지역사회기반의 통합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A Community-Based Integrated Preventive Program of Depression and Its Effectiveness in Caring for Vulnerable Elderly)

  • 안양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87-298
    • /
    • 2003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n integrated prevention program to strengthen elders self-care capability and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on their psychological condition. This study used one group pre- and post-test design. Subjects were 85 elderly residents (over 65 years of age) who lived alone, and received free basic medical care and social welfare services in a rural community in Korea. Subject eligibility criteria for this study were to an elders who 1) is not currently taking any anti-depressant medication 2) is able to communicate, and 3) agrees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integrated program was composed of horticulture, reminiscence, and friendship activities. Twelve sessions were provided for 12 weeks in community-based partnerships to achieve better outcomes. The intervention was case-managed by a public health nurse and aided by six volunteers. The main outcome variable was depression, which was assessed by using 15 items selected from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short form Korean versi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functional status, and satisfaction with social support were used as covariates.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vention effect at post-intervention time point compared to pre-intervention time point(E.S. 0.94).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intervention and satisfaction with social support. These findings must be interpreted within the context that an effects of an integrated program could be more synergistically increased when social support factor is considered in the program. A community-based integrated prevention program of depression is effective for vulnerable rural elderly. It is suggested that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ithin community setting for better methodological strength as well as multi-level outcomes on community need to be conducted in future.

  • PDF

농촌마을내부도로 수행가능 이용실태 분석 (Analysis on the Residents' Attitude to Rural Village Road's Functions)

  • 조은정;최수명;양소열;양원식;박용진
    • 농촌계획
    • /
    • 제16권3호
    • /
    • pp.131-141
    • /
    • 2010
  • As a basic life-supporting infra in modem life, road should carry out various functions; transport, public linear network service, open activity space. Case study villages were divided into plan-based improved one(3 subtypes) and not one(4 subtypes). On total 21 case study villages($3{\times}7$ subtypes), questionnaire surveys were performed. Villagers' satisfaction level to road conditions in the plan-based improved villages showed much higher than not improved ones, which means that improvement of village roads be a vital subject in level-up of quality of rural life. Traffic function of village roads was responded as a principal one, while other various functions as between-villagers communication, car-parking and accommodation of public utilities were also required. In this viewpoint, village roads should be multi-purposedly developed in future. So, it was concluded that the road improvement strength would vary with geographical and topographical conditions of each village. Although villagers' unsatisfaction level on road service was very high, their demand level of and supporting will toward road improvement works have continuously increased, so, it would be considered to be the very time that full-fledged village road improvement policy be initi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