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itors' Satisfaction about the Cultural Tourism Festival : The Mange Traditional Music Festival 2003/2004

문화관광축제 참가자 만족도 연구-난계국악축제 사례('2003/2004)

  • Published : 2005.10.01

Abstract

Traditional music not only reveals Korean culture to foreigners but also it enhances the pride of national identity for Koreans themselves.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how can we encourage and appreciate traditional music to ordinary visitors (non-musicians). Music festivals could be a means to educate and captivate them towards the appreci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hecked the satisfaction level between local residents and domestic visitors(including foreigners) concerning music festival programs, and also proposed a practical implications to traditional music organizers. According to the result, local visitors' satisfaction level were higher than other domestic visitors. Visitors showed higher interest in the music instruments like a 'Gayageum' they are able to relate to, rather than with other traditional unfamiliar musical instruments. It is thus crucial to encourage students and ordinary citizens to interact with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so as to enhance the satisfaction levels of domestic visitors. Som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raditional music organizers are that it is recommendable to have more guides who have thorough knowledge of traditional Korean music and who is able to interpret festival programs in foreign languages for foreign visitors.

본 연구는 국내의 유일한 국가지정(문화관광부) 문화관광축제중에서 유일한 국악축제인 난계 국악축제의 2003년과 그리고 2004년 축제방문자를 대상으로, 축제 방문객의 프로그램 만족도를 조사하여 국악 축제만족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연구 되었다. 세부적으로, 축제를 방문한 지역민과 국내 축제 방문객간의 만족을 비교하였고, 인기 있는 국악 악기의 종류와 그 원인을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난계 국악 축제의 만족도 향상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축제 조직자들에게 실무적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축제 프로그램에 관한 지역민들의 만족도는 국내 방문객들보다 높았다. 둘째, 방문객들은 장고와 대금같이 익숙하고 배우기 쉬운 국악악기를 선호 하였다. 셋째, 방문객들은 체험중심의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된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중심으로 난계 국악축제 조직자들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으로 첫째, 더욱 많은 체험 프로그램의 도입의 필요성이 지적되었다. 둘째, 다른 국악기들간의 소리 방해 문제는 방문자들의 만족도를 떨어뜨리는바 분리된 악기 체험실이 필요하다. 셋째, 축제프로그램에 대해 더욱 적극적인 대외적 안내활동이 필요하다. 넷째, 전통국악 악기와 전통음악에 대한 일정수준의 지식을 가진 가이드에 의한 축제 프로그램 해설이 필요하다. 또한 축제 방문 외국인을 위해서, 외국어에 능통하면서도 전통국악기에 대한 지식이 풍부한 해설사의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