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ulatory impact analysis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25초

융합산업 규제영향분석 프레임워크 개발: 신산업 분야별 규제이슈 사례 연구 (Development of the Regulatory Impact Analysis Framework for the Convergence Industry: Case Study on Regulatory Issues by Emerging Industry)

  • 송혜림;서봉군;조성민
    • 지능정보연구
    • /
    • 제27권3호
    • /
    • pp.199-230
    • /
    • 2021
  •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술의 개발 및 사업화와 함께 관련된 규제·애로를 발굴하고, 적기(適期)에 대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현 정부에서는 이러한 산업적 변화에 대응하여 신산업에 대한 투자 확대와 함께 해당 산업 분야에 적용되고 있는 기존 규제메커니즘의 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정부 정책방향에 맞춰, 본 연구는 신산업 분야에서 발생될 규제이슈를 선제적으로 예측하기 위해, 신제품 및 서비스의 시장진출에 있어서 걸림돌이 되는 기존 규제 제도를 발굴하고, 적정성 평가 및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규제영향분석 체계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로, 본 연구에서는 규제영향분석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으며, 실제 규제이슈 사례를 적용하여, 분석하고 개선안을 도출하는 전반적인 과정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18년도에 정부에서 집중적으로 투자를 진행했던 융합 신산업 분야의 제품 및 서비스를 대상으로 하여, 기획(R&D)단계부터 상용화 되기까지의 일련의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규제들을 사전적으로 검토하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규제영향분석 프레임워크를 통해 도출된 규제 개선안은 소관 부처에 건의되어, 실제로 법령이 개정되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실무적 및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 개발한 규제영향분석 프레임워크는 향후 신산업 분야에서 나타날 수 있는 규제 이슈들을 해결하는 것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AI·DATA 서비스 분야 정부 규제혁신 노력 및 규제 불합리 인식이 기업들의 사업 지속을 위한 규제대응 노력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impact of government regulatory innovation efforts and regulatory irrationality perceptions in AI and DATA services on companies' regulatory response efforts to continue their businesses)

  • 송혜림;정명석;이주연
    •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 /
    • 제20권1호
    • /
    • pp.1-15
    • /
    • 2024
  •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whether the government's regulatory innovation efforts affect the continued operation of new products and new service-based businesses, such as regulatory compliance and response efforts, despite the perception of regulatory difficulties as business barriers for firms in new industries. Previous studies on the impact of regulations on companies in new industries were a limit to obtaining implications for regulatory issue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field due to the simplification of regulatory indicators and the establishment of field integration. To compensate for this, this study focused on the field of AI and DATA services, and subdivided regulatory issues to indicate practical inconvenience as variables, and model fit and hypothesis verification were performed by apply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of related companies. As a result, in the field of AI and DATA services, "Perceived regulatory irrationality" and "Perceived government regulatory innovation efforts" significantly affect the "Regulatory environment satisfaction" of the regulated, and "Perceived regulatory irrationality" and "Regulatory environment satisfaction" affect "Regulatory response efforts for companies in new industries to continue their business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conducted research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continuity of business of companies in the AI and DATA service sector by linking the analysis of the impact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which have been mainly used in the "Policy Acceptance Model" and "IT service sector," to "efforts for companies to continue their business in a new industrial regulatory environment." In addition, by presenting a new empirical model for new industry regulations, it is expected to be meaningful as it can provide a research foundation that can obtain practical implications in related fields.

한국 환경 영향평가제도의 변천 (Regulatory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 Korea)

  • 장준기;이재운;권명희;정동환
    • 환경영향평가
    • /
    • 제2권2호
    • /
    • pp.95-103
    • /
    • 1993
  • EIA has been introduced as a tool for environment protection into promulgation of the Environment Preservation Act in 1977, which replaced the Pollution Control Act in Korea. EIA system has been improved with the enlargement of project type, public participation, guideline improvement, and regulatory development. Recently,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Act will have an important rol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article deals with regulatory development, implementation order, EIA project type, and EIS preparation guidelines by Act promulgated and amended, also it explains comparison analysis of Environmental Policy Act and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Act Major results are summarized in the table.

  • PDF

기술규제 규제영향분석의 적절성에 대한 연구: 기술규제영향평가 차원에서 (A Study on the Appropriateness of Regulatory Impact Analysis(RIA) on Technological Regulation: With the Focus on the Technological Regulation Impact Assessment)

  • 이지은;김태윤
    • 기술혁신연구
    • /
    • 제25권3호
    • /
    • pp.233-263
    • /
    • 2017
  • 본 연구는 한국의 현행 규제영향분석과정이 기술규제의 중요한 특성들을 반영하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기술규제영향평가 차원에서 규제영향분석의 적절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기술규제에 대한 분석 틀을 도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정부부처가 제출한 규제영향분석서의 적절성에 대한 분석 평가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규제의 기술적 타당성], [국내 기술규범 부합성], [국제 기술규범 부합성], [적합성평가의 타당성]의 관점에서 각 부처가 현행 규제영향분석서에 기재한 사항을 객관적 사실, 대체분석 가능, 전문가적 판단가능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다고 판단된 경우는 23.4%에 불과하였고, 각 부처별로도 특별한 차별성은 없었다. 규제 속성에 따른 규제영향분석서의 적절성을 검토해 본 결과, 사회적 규제와 간접적 규제들의 속성을 갖고 있는 기술규제에 대한 규제영향분석서의 적절성이 다소 높았다. 종합하면 실질적 의미의 기술규제영향평가를 수행하기에 현재 우리나라 규제영향분석서 수준은 상당히 미흡한 편으로 나타났다. 즉, 각 부처가 기술규제를 도입하면서, 해당 규제의 기술적 속성에 대한 이해가 완전하지 않은 것일 수 있다는 것이다. 과학기술적 근거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규제영향분석서는 해당 기술규제에 대한 타당성을 과장하여 여타의 규제 대안에 대한 진지한 검토를 저해하는 한편, 글로벌 경쟁체제에서 기업과 국민의 경쟁력 확보를 방해하는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을 것이다.

Regulatory Sentiment and Economic Performance

  • JUNGWOOK KIM;JINKYEONG KIM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45권1호
    • /
    • pp.69-86
    • /
    • 2023
  • Regulatory sentiment refers to the market's subjective evaluation of regulatory reform and is one of the most widely adopted indicators to those charged with implementing and diagnosing regulatory policies. The use of regulatory sentiment in advanced analysis has become universal, albeit it is often limited due to difficulties in articulating consistent and objective quantitative indicators that can meticulously reflect market sentiment overall. Thus, despite ample effort by scholars to read the economic impact of regulatory sentiment in the real economy, causal links are difficult to spot. To fill this gap in the literature, this study analyzes a regulatory sentiment index and economic performance indicators through a text analysis approach and by inspecting diverse tones in media articles. Using different stages of tests, the paper identifie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regulatory sentiment and actual economic activities as measured by private consumption, facility investment, construction investment, gross domestic investment, and employment. Addition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one-unit impulse of regulatory perception, the initial impact on economic growth and private investment was found to be negligible; this was followed by a positive (+) response, after which it converged to zero. Construction investment showed a positive (+) response initially, which then rapidly changed to a negative (-) response and then converged to zero. Gross domestic investment as the initial effect was negligible after showing a positive (+) reaction. Unfortunately, the facility investment outcome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 in the impulse response test. Nevertheless, it can be concluded that it is necessary and important to increase the sensitivity to regulations to promote the economic effectiveness of regulatory reforms. Thus, instead of dealing with policies with the vague goal of merely improving regulatory sentiment, using regulatory sentiment as an indicator of major policies could be an effective approach.

Economic Effects of Regulatory Reform in Korea

  • KIM, JUNGWOOK;CHAE, SU BOK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9권4호
    • /
    • pp.51-68
    • /
    • 2017
  • This paper adapts the World Bank Regulatory Quality Index (RQI), which is produced annually to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regulatory reforms, instead of the Production Market Regulation (PMR) indicators, which are published every five years. We find that 9.9 to 36.0 billion USD worth of regulatory cost could be reduced if the regulatory quality in Korea improves to the level of the OECD average considering that the total burden of regulation in Korea is estimated to range from 2.2 to 357.4 billion USD. The estimated reduction in the regulatory cost accounts for roughly 0.76 to 2.47% of Korea's GDP in 2013, underscoring the importance of regulatory reforms for the Korean economy. This paper introduces a new method with which to examine the distribution of regulatory costs across different industries and firm sizes. This alternative method is largely consistent with the conclusions reached by other studies, specifically that small firms typically bear a disproportionate regulatory burden.

전자신분증에 대한 수용의도에 관한 연구: 향상초점, 예방초점과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Acceptance Intention and Use of Electronic ID: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Promotion Focus, Prevention Focus and Gender)

  • 김민주;김민균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0권3호
    • /
    • pp.137-158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ich factors have impact on the acceptance intention of new electronic ID.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utilized PLS-SEM after collecting 385 survey data, and analyzed relations between each factors.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made a design of the research model by integrating the factors deducted from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with the factors deducted from the Risk Factors. Finding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of the UTAUT factors,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and Social Influence and has positive impact on Acceptance Intention, but Facilitating Conditions doesn't have meaningful impact on Acceptance Intention. Second, of the Risk factors, Innovation Resistance has negative impact on Acceptance Intention, but Perceived Risk dose not have meaningful impact on Acceptance Intention. Finally, regulatory effect of the Promotion Focus, Prevention Focus and Gender has regulatory impact to Acceptance intention. It is expected tha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enables government effectively to offer new electronic ID.

해운 . 항만 분야의 규제 품질 개선 방향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Regulatory System of the Shipping and Port Industry)

  • 신승식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8
    • /
    • 200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해운 ㆍ항만 분야에 등록된 341개의 규제를 대상으로 보다 바람직한 규제체계의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 해운 ㆍ항만분야의 규제 수준이 OECD가 규정한 규제 3단계 가운데 초기수준인 규제 1단께에 있음을 지적하고, 규제의 복잡성등 OECD(1993)가 제시한 제 8조 규제순응 저하요인을 적용한 2단계 조사기준에 따라 우선순위를 선정하였다. 이 결과에 따르면 314개의 등록규제 가운데 규제순응도 조사가 필요한 28개 규제하였으며, 완화 또는 폐지해야할 규제는 9개, 새로운 규제로 바뀌어야 할 규제는 5개인 것으로 밝혀졌다.

식품안전분야 규제영향분석제도의 의의와 식품 산업의 역할 (Significance of regulatory impact analysis(ria) system on food safety regulation and role of food industry)

  • 고효진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1권3호
    • /
    • pp.174-184
    • /
    • 2018
  • 규제란 국가가 특정한 행정목적의 실현을 위해 국민의 권리를 제한하거나 의무를 부과하는 것으로서 법령에 규정되는 사항을 의미한다. 산업 활동에 있어 정부의 규제는 중요한 영향력을 끼친다. 매정부마다 정부의 규제를 산업활동에 저해를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보고, 규제 개혁을 중요 정책 과업으로 삼는 것에서도 이러한 경향을 엿볼 수 있다. 그러나 식품안전과 같은 '안전'과 관련된 규제는 규제 개혁이나 규제 완화의 기치에서는 약간 벗어나 있다.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향상시킨다는 중대한 목적 하에서는 규제가 조금 불합리하거나 피규제자(주로 산업)에 많은 부담이 주어진다 하더라도 쉽게 용인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안전과 관련된 규제는 지속적으로 규제강화의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규제는 피규제자의 행위교정을 통해 정책의 목적을 달성하게 되므로, 식품안전규제의 피규제자인 식품 산업은 규제이행을 위한 많은 의무와 비용을 부담하여야 한다. 이에 정부는 규제의 신설 강화시에 규제영향분석서를 작성하고 그 과정에서 규제로 인해 발생될 비용과 편익을 분석한다. 규제로 인하여 국민의 일상생활과 사회 경제 행정 등에 미치는 여러 가지 영향을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미리 예측 분석함으로써 규제의 타당성을 판단하는 기준 근거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비록 규제영향분석 및 규제비용편익분석의 주체는 정부이지만, 실제로 행위의무와 규제이행 비용을 부담하게 되는 산업체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규제 행위의무 이행을 위해 소요되는 인력규모와 인건비, 규제제약으로 인해 발생되는 기회비용, 규제의무 이행을 위해 소요되는 실제 비용단가 등을 정확하게 산출해 낼 수 있는 것은 행위의 주체인 산업체이기 때문이다. 식품산업은 이러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수집 축적공개하여 규제로 인해 자신들이 부담해야 하는 비용과 부담의 규모를 알리고, 이러한 객관적이고 실제적인 정보가 정부의 합리적인 정책결정에 고려될 수 있게끔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