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rowth

검색결과 393건 처리시간 0.028초

용수중(用水中) 세균계수(細菌計數)를 위한 형광검경법(螢光檢鏡法)의 응용(應用) (Application of Epifluorescence, Microscopy for Measurement of Bacterial Population in Water Supplies)

  • 이영환;신승이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8-52
    • /
    • 1982
  • 수중미생물(水中微生物)의 계수방법(計數方法)은 크게 둘로 나누인다. 첫째 방법(方法)은 replicon개염(槪念)에 기초(基礎)를 둔 것으로 살아있는균(菌)과 죽은 균(菌)을 구별할 수 있으나 사용(使用)되는 배지(培地)가 생리적(生理的)으로 다른 다양(多樣)한 세균(細菌)들로 구성된 수중세균(水中細菌)의 생육(生育)에 적합하지 않아서 전(全) 세균수(細菌數)를 계수(計數)할 수 없다. 둘째 방법(方法)은 직접 검경하여 계수(計數)하는 방법(方法)으로 살아있는 균(菌)과 죽은균(菌), 세균(細菌)과 particle의 구별(區別)이 곤란하다. 그러나 최근 세균염색수(細菌染色術)의 발달(發達)로 수중세균(水中細菌)을 육안(肉眼)으로 쉽게 구별(區別)하여 계수(計數)할 수 있는 방법(方法)이 가능(可能)하게 되었다. 이 방법(方法)은 형광현징경(螢光顯徵鏡)을 사용(使用)하여 acridine orange로 염색(染色)된 수중(水中)의 전세균수(全細菌數)를 측정(測定)하는 방법(方法)이다. 따라서 본(本) 연구(硏究)는 상수도원(上水道源)의 세균오염도(細菌汚染度)를 측정(測定)하는데 새로운 방법(方法)으로서 epifluorcscence microscopy를 제시(提示)하는데 있으며 이의 사용성가능여부(使用性可能與否)를 진단(診斷)하기 위해 chlorine과 chloramine을 시료수(試料水)에 처리(處理)하여 경시적으로 세균수(細菌數)를 조사(調査)하여 평판법(平板法)과 비교(比較)하였다. 시료수(試料水)(sample water)의 전세균수(全細菌數)는 형광검경법(螢光檢鏡法)에 의(依)해 정확(正確)히 측정(測定)되었으며 분리능력(分離能力)(resolution)에 있어서 탁월(卓越)하였고 또한 경제적(經濟的)이고도 간편하였다. 그리고 소독살균제(消毒殺菌劑)로는 chloramine이 감소(監素)보다 수중세균(水中細菌)에 미치는 영향(影響)은 훨씬 컸다.

  • PDF

혈소판유래 성장인자 함유 흡수성 차폐막이 치주조직의 재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loaded bioresorbable membrane on periodontal regeneration)

  • 구영;김정은;한수부;정종평;박윤정;이승진;권영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7권1호
    • /
    • pp.61-78
    • /
    • 1997
  • PDGF-BB has been recognized as a highly potential growth factor for guided tissue regeneration in periodontal defect. This study carried out histologic and histometric evaluation of $200ng/cm^2$ PDGF-BB loaded bioresorbable membrane made from polyglycolic and polylactic acid. It was tested for its biocompatibility, ability to prevent epithelial downgrowth and amount of periodontal regeneration. Without membrane and PDGF-BB unloaded bioresorbable membrane were used as control. Healthy six beagle dogs were used. Each dog was anesthetized and buccal flaps were reflected in the mandibular and maxillary premolar areas. Buccal alveolar bone between the mesiobuccal and distobuccal line angles was surgically removed on the lower 2nd and 4th premolar in mandible, 2nd premolar in maxilla, to a level 4mm apical to the cementoenamel junction with creating a Class II buccal furcation defect for available space. Care was taken not to remove the root cementum layer and rubber impression materials were placed over each surgically created defect. Flaps were repositioned and sutured. Reconstructive surgery was performed 1 month after defect preparation. PDGF-BB loaded membranes and controls were randomly placed on maxillary 2nd premolars and mandibular 2nd and 4th premolars. Plaque control regimen was instituted with daily brushing with a 0.1% chlorhexidine digluconate during experimental periods. The animals were sacrificed 2 and 5 weeks after surgery and undecalcified specimens were prepared for histologic evaluation. The degree of coronal regrowth of new bone, new cementum and the amonut of new bone areas formed on the defected area of the PDGF-BB loaded membrnae turned superior to without membrane and drug unloaded membrane. Experimental membrane could prevent the epithelial downgrowth irrespective of drug loaded or not and showed good biocompatiblity, These results implicated that PDGF-BB loaded bioresorbable membrane could be highly useful tool for guided tissue regeneration of periodontal defects.

  • PDF

Assessment of cutting time on nutrient values, in vitro fermentation and methane production among three ryegrass cultivars

  • Wang, Chunmei;Hou, Fujiang;Wanapat, Metha;Yan, Tianhai;Kim, Eun Joong;Scollan, Nigel Davi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8호
    • /
    • pp.1242-1251
    • /
    • 2020
  • Objective: The 3×3 factorial arrangement was used to investigate if either high water-soluble carbohydrates (WSC) cultivars or suitable time of day that the grass cut could improve nutrient values and in vitro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Methods: The 3 cultivars were mowed at 3 diurnal time points and included a benchmark WSC ryegrass cultivar 'Premium', and 2 high WSC cultivars AberAvon and AberMagic, which contained, on average, 157, 173, and 193 g/kg dry matter (DM) of WSC, and 36.0, 36.5, and 34.1 g/kg DM of N during 7th regrowth stage, respectively. The fermentation jars were run at 39℃ with gas production recorded and sampled at 2, 5, 8, 11, 14, 17, 22, 28, 36, and 48 h. The rumen liquid was collected from 3 rumen fistulated cows grazing on ryegrass pasture. Results: High WSC cultivars had significantly greater WSC content, in vitro DM digestibility (IVDMD) and total gas production (TGP), and lower lag time than Premium cultivar. Methane production for AberMagic cultivar containing lower N concentration was marginally lower than that for AberAvon and Premium cultivars. Grass cut at Noon or PM contained greater WSC concentration, IVDMD and TGP, and lower N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contents, but CH4 production was also increased, compared to grass cut in AM. Meanwhile, the effects of diurnal cutting time were influenced by cultivars, such as in vitro CH4 production for AberMagic was not affected by cutting time. The IVDMD and gas production per unit of DM incubated were positively related to WSC concentration, WSC/N and WSC/NDF, respectively, and negatively related to N and NDF concentrations. Conclusion: These results imply either grass cut in Noon or PM or high WSC cultivars could improve nutrient values, IVDMD and in vitro TGP, and that AberMagic cultivar has a slightly lower CH4 production compared to AberAvon and Premium.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the increase of CH4 production response incurred by shifting from AM cutting to Noon and/or PM cutting could be compensated for by high daily gain from increased WSC concentration and DM digestibility.

알레르기성 비염 동물 모델에서 截敏蜜梅湯이 비염치료에 미치는 영향 (Therapeutic Effects of Jeulminmilmae-tang on an Animal Model with Allergic Rhinitis)

  • 황학수;최인화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16-128
    • /
    • 2003
  • Objectives : The incidence of allergic rhinitis has increased but treatment in most cases has only dealt with the symptoms. Medicine has been developed that shows fewer side effects. However, some side effects and the psychological stress over taking medicine has remained. There have been no studies so far performed on the effect of this Jeulminmilmae-tang's use, on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ind out the therapeutic effects of its exclusive use on an Animal Model with Allergic Rhinitis. Methods : Thirty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 : normal group, control group and sample group. To induce the allergic rhinitis in control group and sample group, rats were sensitized intraperitoneally with 0.1$\%$ ovalumin solution 3 times at intervals of 1 week. Then intranasal sensitization was performed by diffusing 0.1$\%$ ovalumin solution 3 times at intervals of 2 days. After that time, rats in the sample group were oral administration treated by Jeulminmilmae-tang for 28 days. Compared with the sample group, rats in the control group were oral administration treated by normal saline for 28 days. We observed changes in nasal mucosa and submucosa; also changes in the segment of neutrophil, eosinophil, Iympocyte and monocyte in blood. We used the statistical methods of student t-test(p 〈0.05). And we observed the changes of AST, ALT of three groups and used anova test statistically. Results : The segment of eosinophi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reated group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p 〈0.05). The segment of neutrophil. in blood were decreased in the treated group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but. that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p 〈0.05). There were some regrowth of the cilium in the treated group. Histologic changes showed edema congestion and expantion of grandular cells in nasal submucosa and hypertrophy of epithelium ill nasal mucosa were decreased in treated group when compared with control group. Effects of Jeulminmilmae-tang on the liver function were also studies in rats. Treatment of Jeulminmilmae-tang did not affected on AST and ALT. Conclusions : The results may suggest that oral administration treatment using Jeulminmilmae-tang decreases the inflammatory response on an Animal Model with Allergic Rhinitis.

  • PDF

LEC법 GaAs 단결정의 종단쌍정 발생 (Generation of Longitudinal Twin of GaAs Single Crystal by LEC Method)

  • 강진기;유학도;박종목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11
    • /
    • 1991
  • GaAs 단결정을 LEC법으로 성장시킬 때 종단쌍정이 자주 발생하여 문제가 된다. 종단쌍정이 발생 하면 (100) 방향의 성장축이 (221)로 바뀐다. 본 실 험에서는 (100) 방향의 성장축으로 직경 3 inch의 CaAs 단결정을 LEC법에 의해 성장시키고, SPW photo-etching법에 의해 GaAs 단결정성장에서 생성 된 striation과 edge facet를 관찰하여 상호관계를 연 구하였다. 이들의 불안정한 생성이 종단방정 발생의 원 인 이었다. Striation의 형태는 결정직경, 융액량등의 성장조건에 따라 변화하였다. 결정주변부에서는 미시적인 striation 형태의 변화가 있었는데, 이는 용액대류의 불안정에 기인한 것이었다. {lll} 면으로 구성된 edge facet은 결정주변부에서 striation의 형태가 볼록 해질 때 잘 생성되었다. 이것은 striation과 {lll} edgp facet이 이루는 각도가 작아지기 때문이었다. 종단방정은 결정축에 수직한 (110) 방향의 결정 표면에서 발생하였다. 이들은 불안정한 융액대류에 의해 생성되어 결정이 성장함에 따라 결정속으로 전파되었다. 종단방정은 {lll} edge facet의 재용융 후 재성장의 성장속도가 매우 빠를 때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종단쌍정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 는 고액계면에서의 급격한 융액대류의 변화가 생기 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 PDF

척수타박손상 후 트레드밀운동이 근 위축지연과 기능적 회복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readmill Exercise on Inhibition of Soleus Muscle Atrophy and Improvement Functional Recovery after Spinal Cord Contusion in the Rats)

  • 오명진;장문녀;서태범;김종오;변재종;윤진환;정일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1호
    • /
    • pp.1651-1657
    • /
    • 2009
  • 본 연구는 흰쥐의 흉추 9번을 타박 손상시키고 1주간의 휴식 후 스트레스를 유발하지 않는 저강도 트레드밀운동을 7주동안 수행하여, 가자미근 위축지연 변화를 western blotting과 H&E 염색 그리고 면역형광염색법으로 관찰하였으며, BBB-검사를 이용하여 기능적 회복을 관찰하였다. 형태학적 변화의 결과 척수손상 후 트레드밀 운동에 의해 하지부위 가자미 근과 근섬유의 횡단면 크기가 증가하였으며, 근섬유 세포에서 IGF-I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였다. 또한 생화학적인 결과 척수손상 후 트레드밀 운동에 의해 하지부위 골격근 IGF-I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행동학적 검사를 통해 트레드밀 운동그룹이 비 운동그룹보다 기능적 회복이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근 비대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IGF-I 단백질 발현량이 운동에 의해 증가하여 가자미근크기 증가와 같은 근 위축 지연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변화를 통해 기능적 회복에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운동은 척수손상 환자에게 효과적인 기능재활 치료방법이 될 수 있으며, 장애를 최소화하여 자발적인 일상생활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정수의 pH 및 알칼리도 동시 조절이 상수도관의 내부부식 제어 및 수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H and Alkalinity Adjustment on Internal Corrosion Control and Water Quality in Drinking Water Pipelines)

  • 이현동;정해룡;곽필재;정원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61-669
    • /
    • 2000
  • 본 연구는 6개 관종으로 구성된 모의순환관로시스템에서 정수의 부식성을 조절하여 관로내의 부식을 저감시킬 목적으로 pH 및 알칼리도 조절 수질제어시스템을 운전하여 관로의 금속용출 저감 및 부식성 지수의 변화를 파악하고, 수질제어에 따른 다른 수질인자들 즉, 미생물, 잔류염소농도, 그리고 소독부산물(THMs) 및 이온류 등의 농도 변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pH 및 알칼리도 조절을 통한 수질제어시스템은 부식성 지수의 변화와 함께 금속의 용출율이 감소하였으며, 소독부산물(THMs)의 형성 및 미생물의 재성장에도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수질제어에 따라 관 표면에 형성된 탄산칼슘 피막은 부식저감과 함께 관로내 수질의 안정화를 가져오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pH 및 알칼리도 동시 조절을 통한 부식성 수질 제어시스템은 고형물의 침전 및 용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pH 및 TIC 등 수질인자들을 안정화시켜 전체적인 수돗물의 수질관리에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고도정수처리 공정에서 DOC 분획 특성 및 AOX(FP)와의 관계 (Fractionation of DOC and its Correlation to AOX(FP) in the Advanced ater Treatment Process)

  • 이병천;최경희;최자윤;이철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10호
    • /
    • pp.909-918
    • /
    • 2009
  • 급수시스템에서 박테리아 재성장의 영양원이 되는 DOC를 정수처리 공정에서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하여 생분해와 흡착으로 구분하여 네 종류의 DOC로 분획하였고 각각의 제거특성을 연구하였다. 네 종류의 분획 DOC는 흡착성을 가지면서 생분해성이 없는 AnBDOC, 흡착성이 없고 생분해성만이 있는 nABDOC, 흡착과 생분해성을 동시에 나타내는 ABDOC, 흡착과 생분해가 되지 않는 nAnBDOC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낙동강 중류에 위치한 정수처리장 원수의 조사결과, ADOC가 BDOC보다 약간 높은 비율로 존재하고 있으며, 오존산화 후에는 분획 DOC 중에서 AnBDOC 농도가 가장 많이 제거되었으며, 제거율은 nAnBDOC가 49.5%로 가장 높았다. BAC 공정으로 제거된 분획 DOC 중에는 ADOC가 약 91%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흡착에 의한 제거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잔류하는 TDOC 0.50 mg/L 중에는 ADOC가 0.46 mg/L(67.7%)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배수관내 미생물 증식 및 소독부생성물의 생성 방지를 위하여 BAC 공정상에서 EBCT증가, 재생주기 등의 운전조건을 개선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수처리 공정에서 DOC분획 결과로부터 흡착이나 생분해 등으로 제거 가능량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정수처리 공정에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염소처리하는 정수처리 공정에서 DOC분획 농도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AOX의 분석결과, AOX 7.1 ${\mu}g$/L은 오존산화와 활성탄흡착 공정으로 0.51 ${\mu}g$/L까지 충분히 제거되었다.

저온처리에 따른 국내 상록활엽수종의 내한성 비교 평가 (The Comparative Assessment of Cold Tolerance of Broad-leaved Evergreen Trees by Low Temperature Treatment)

  • 진언주;윤준혁;배은지;최명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4호
    • /
    • pp.484-492
    • /
    • 2019
  •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광범위한 지역에서 가로수 식재에 활용 가능한 상록활엽수를 선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국내 남부지역에서 생육하는 굴거리나무, 녹나무, 동백나무, 다정큼나무, 종가시나무, 후박나무, 황칠나무 등 7수종에 대하여 내한성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저온처리에 따른 7종 상록활엽수의 전해질 용출을 측정한 결과 처리 온도가 낮아질수록 값이 증가하였고, 전해질 용출량과 처리 온도와의 관계를 비선형회귀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 도출된 함수들은 S자 반응곡선의 형태로 나타났다. 예측치사 온도를 통하여 수종별 내한성을 분석한 결과 동백나무(-11.586℃)> 다정큼나무(-9.348℃)> 종가시나무(-8.719℃)> 후박나무(-8.090℃)> 굴거리나무(-7.409℃)> 황칠나무(-7.085℃)> 녹나무(-6.995℃) 순으로 조사되었다. 앞서 평가한 것처럼 국내 남부지역의 동일한 지역에서 생육하는 7종 상록활엽수들 중에서도 상대적 내한성 차이가 5℃ 이상을 나타냈고 동일한 과에 속하는 종간에서도 녹나무과는 내한성 차이가 2℃ 이상을 나타냈다. 내한성이 강한 우수 수종을 분석한 결과 종가시나무, 동백나무, 다정큼나무이며 이들은 중부지역 도시들에서 외부 온도 조건으로 생존 가능성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온도별 암하생장시 인삼의 생장효율과 열장애 (Growth Efficiency and Thermal Stress in Panax ginseng Grown at Various Temperatures under Dark)

  • 박훈;유기중;최병주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1-10
    • /
    • 1988
  • 인삼을 $15^{\circ}C$에서 $30^{\circ}C$까지 $5^{\circ}C$ 차이로 구분하여 일중 온도변이를 두어 19일간 암하에서 길러 지상부 재생장효율을 조사하였으며 생육적온 $15^{\circ}C$를 제한 온도를 적산한 6개 열장해지수와 5개의 생장효율과의 직선상관을 조사하였다. 총생산효율(지상부건중/근중감소량)은 최적온인 $15^{\circ}C$ / $15^{\circ}C$에서 37.5%이고 최고온인 30/$30^{\circ}C$에서 12.3%였다. 유지호흡을 보정한 순생산효율{(지상부중+지상부유지호흡량)/(근중감량-유지호흡량)}은 각기 39.6%와 16.7%였다. 모든 열장해지수는 모든 생장효율과 부상관(p=0.001)을 보였으며 온도차가 없는 경우와 너무 큰 경우를 보정한 열장해지수가 가장 큰 상관계수를 보였다. 열장해지수는 근중감소량과 유의 부상관, 유지호흡량과는 유의 정상관을 보였다. 지상부 생장량은 생장효율 및 근중감소량과 유의 정상관, 열장해지수와는 부상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열장해는 호흡소모가 아니고 재생장에 필요한 기질공급의 저해이며 그로 인해 생장효율이 저하되는 것으로 보인다. 생육적온에서도 재생장효율은 심히 적었으며 생육부진의 원인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