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ional resilience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5초

국내 지역안전도 평가의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Plans for Local Safety Assessment in Korea)

  • 김용문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69-80
    • /
    • 2021
  • 본 연구는 매년 실시되는 지역안전도 평가제도중 문제점이나 개선을 요하는 사항들을 발굴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구성 및 내용을 간략하게 소개하면, 서론인 도입부에서는 2020년도에 행정안전부에서 새롭게 적용한 지역안전도 평가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지자체에서 최종 평가받은 지역안전도 등급에 따른 활용 방안도 소개하였다. 본론에서는 지역안전도 관련 선행 연구자들의 다양한 견해를 요약 기술하였다. 또한 지역안전도의 지표구성, 지수 산출 방법, 현행 지표를 적용함에 있어서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재해위험요인 분야의 「사회적 취약성 지표」 "반지하 가구 수"는 "기초생활 수급자 가구 수"로 대체한다. 또한 "비닐하우스 면적"은 "비닐하우스에 거주하는 가구 수, 컨테이너 가구 수, 쪽방촌 가구 수" 등을 합한 자료로 대체하여 평가한다. 둘째, 상습 가뭄재해지역 관리 평가부문은 시군구의 상수도 보급률이 95% 이상인 지자체는 "결측" 처리한다. 수도권 및 도시화가 이루어진 자치단체에는 가뭄재난이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셋째, 방재대책추진 대응분야의 「지역자율방재단 활성화」 평가지표 내용에 지역자율방재단과 더불어 안전보안관, 안전모니터봉사단, 재난안전 실버감시단 등의 활동도 평가에 추가한다. 다만 각 지자체 마다 지역자율 방재조직의 명칭이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재난 예방을 위해 조직되어 활동하는 자율 방재조직이면, 그 활동 실적을 모두 합산하여 평가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넷째, 유엔재해위험경감사무국(UNDRR)에서 사용하고 있는 안전도시 평가도구인 스코어카드 평가 항목 중 자연재난과 연관이 깊은 "자연생태계가 제공하는 보호기능 강화를 위한 자연 완충재 보존"항목을 차용한다. 스코어카드 평가는 UNDRR에서 강조하는 "기후 위기와 재해에 강한 도시 만들기"라는 캠페인을 전개하면서 지자체의 재난 복원력(resilience)을 향상시키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평가 지표이다. 끝으로 "지역안전도"와 "지역안전지수"명칭이 유사하여 지역안전도의 용어를 "자연재난 안전도" 또는 "자연재해 안전도"라는 명칭으로 변경한다. 그래야만 일반인 누구나 지역안전도와 지역안전지수를 구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세안 2017년: 민주주의 위기와 아세안 규범 (ASEAN in 2017 : Democracy in Crisis and ASEAN Norms)

  • 김형종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8권2호
    • /
    • pp.119-145
    • /
    • 2018
  • 2017년 창설 50주년을 맞은 아세안(ASEAN)은 제도적 보완과 기능적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일련의 선언과 행동 계획을 채택했다. 아세안의 '회합력'(convening power)이 아세안 중심성(centrality)과 회복력(resilience)을 촉진하고 있다. 반면 아세안 회원국의 민주주의 후퇴는 전통적 규범의 한계를 심화시키고 아세안의 이행력을 저하시킨다. 이 글은 아세안 주요 쟁점을 고찰하고 전망을 도출하고자 한다. 첫째, 아세안의 제도적 발전과 기능적 협력의 현황을 아세안 공동체 건설의 현황과 쟁점을 중심으로 살피고자 한다. 둘째, 아세안의 대외 관계를 중국, 미국, 한국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피고자 한다. 남중국해 이슈 및 중국의 경제적 영향력 확대는 아세안-중국관계의 복잡성을 심화시키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대 동남아 정책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아세안의 단결이 필요하다. 한국의 신남방정책은 여러 제약에도 불구하고 양자 관계에 있어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대외 환경의 변화 속에 아세안 단결과 중심성의 강화가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접경지역의 지속가능한 보전과 이용을 위한 생태계 건강성 지수 적용 및 평가 (Application and assessment of ecosystem health index for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use of border areas)

  • 김정인;고하정;권혁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117-133
    • /
    • 2023
  • This study assessed the ecological health of border areas using the ecological health index and suggested Indicators for maintaining and promoting ecological values. We analyzed the change trends, pressures, and resilience of ecosystems and services in border areas, and identified their current status and sustainability. The main findings were: (1) ecological assets and ecosystem services in border areas could be compared through ecosystem health assessment; (2) it can be used to set priorities for management and conservation by identifying the relative importance and vulnerability of ecosystems and ecosystem services in each border area; and (3) the index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judged to have explanatory power for the characteristics of border areas and ecosystem health when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Limitations of this study include the lack of literature and statistical data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and the resulting limited application of evaluation methods, which limited direct regional comparisons. To overcome the research limitations, further studies are needed, such as establishing ecological information in border areas, mapping and assessment of ecosystem services, and developing and applying assessments that reflect the opinions and participation of various stakeholders. This study was the first attempt to assess the health of ecosystems and ecosystem services in border areas and provided an important baseline for future changes in border areas. In the future, it will be helpful in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policies and ecological assetecosystem management by supplementing insufficient information and presenting clear goals.

환경오염 정화 과정에 나타난 지역공동체 회복력 영향 요인: 장항제련소 토양오염 복구를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Community Resilience in the Process of Environmental Pollution Purification: Focusing on the Restoration of Soil Pollution around the Janghang Smelter)

  • 이진욱
    • 지역연구
    • /
    • 제37권4호
    • /
    • pp.61-74
    • /
    • 2021
  • 이 연구는 공동체의 환경오염 복구 과정을 탐색하여 공동체 회복에 영향을 미친 공동체의 역량 및 저해요인 등을 탐색하는 것이다. 서천군 구 장항제련소에서 발생한 오염 복구와 관련한 공동체 활동을 사례로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공동체의 회복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요인은 리더, 협력 자원, 언론 등의 요소가 있었다. 공동체 회복을 위한 원동력에는 이해관계가 적은 리더의 존재가 있었으며, 공동체 회복을 지속하는 데에는 주변 지역의 단체와 지역 주민들의 지속적인 관심 등의 협력이 필요했다. 무엇보다, 언론은 사건을 외부로 공론화하고 구성원의 활동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한편, 오염정화 과정에서 단체 내부의 갈등, 주민과 활동 단체와의 갈등, 정부와의 갈등 등 공동체의 회복을 저해하는 요소가 존재했다. 공동체 회복 과정에서 보인 활동들은 연합된 거버넌스의 모습을 보였으며, 초기엔 '지원적'인 성격에서 이후 '저항적'이고 '방어적' 활동으로, 그리고 '주체적'이고 '창조적'인 모습으로 변화하였다.

Implications of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Forest Product Flows and Forest Dependent Communities in the Western Ghats, India

  • Murthy, Indu K.;Bhat, Savithri;Sathyanarayan, Vani;Patgar, Sridhar;M., Beerappa;Bhat, P.R.;Bhat, D.M.;Gopalakrishnan, Ranjith;Jayaraman, Mathangi;Munsi, Madhushree;N.H., Ravindranath;M.A., Khalid;M., Prashant;Iyer, Sudha;Saxena, Raghuvansh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0권2호
    • /
    • pp.189-200
    • /
    • 2014
  • The tropical wet evergreen, tropical semi evergreen and moist deciduous forest types are projected to be impacted by climate change. In the Western Ghats region, a biodiversity hotspot, evergreen forests including semi evergreen account for 30% of the forest area and according to climate change impact model projections, nearly a third of these forest types are likely to undergo vegetation type change. Similarly, tropical moist deciduous forests which account for about 28% of the forest area are likely to experience change in about 20% of the area. Thus climate change could adversely impact forest biodiversity and product flow to the forest dependent households and communities in Uttara Kannada district of the Western Ghats. This study analyses the distribution of non-timber forest product yielding tree species through a network of twelve 1-ha permanent plots established in the district. Further, the extent of dependence of communities on forests is ascertain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s. On an average 21% and 28% of the tree species in evergreen and deciduous forest types, respectively are, non-timber forest product yielding tree species, indicating potential high levels of supply of products to communities. Community dependence on non-timber forest products is significant, and it contributes to Rs. 1199 and Rs. 3561/household in the evergreen and deciduous zones, respectively. Given that the bulk of the forest grids in Uttara Kannada district are projected to undergo change, bulk of the species which provide multiple forest products are projected to experience die back and even mortality. Incorporation of climate change projections and impacts in forest planning and management is necessary to enable forest ecosystems to enhance resilience.

클러스터 적응주기 모델에 대한 비판적 검토 (Critical Review on the Cluster Adaptive Cycle Model)

  • 전지혜;이철우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89-213
    • /
    • 2017
  • 본 연구는 클러스터 진화의 분석에 있어서 클러스터 적응주기 모델의 의의와 한계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클러스터 진화 분석을 위한 연구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1980년대 이전까지 클러스터를 비롯한 산업집적지 연구는 특정 시점에서 경제 공간의 양상에 주목하는 '정태적 관점'을 기초로 이루어졌지만, 최근에는 '복잡적 응계'의 '진화'에 주목하는 '동태적 연구'로 패러다임이 전환되었다. 이에 역동적 지속적으로 진화하는 클러스터에 적절한 분석도구로 적응주기 모델이 주목받게 되었으나, 클러스터 및 그 진화의 속성에 맞게 수정 및 보완되어 클러스터 적응주기 모델이 등장하게 되었다. 클러스터 적응주기 모델은 자원축적, 상호의존성 그리고 회복력의 측면에서 클러스터 진화의 특성을 규명하고, 클러스터 진화 경로를 6가지로 구분하여 살펴 볼 수 있는 포괄적인 분석틀이지만, 모델의 확대 및 심화를 위해서 이론적 경험적 연구 측면에서 더욱 활발한 논의와 보완이 요구된다. 따라서 향후 클러스터 진화 분석에 있어서의 연구 과제로는 클러스터 진화 모델의 구체화 및 정교화, 회복력 개념의 강조 그리고 경험적 연구를 통한 모델의 적용가능성과 유용성의 검증을 제시하고자 한다.

미국 수도권 IT서비스산업 집적지의 진화: 페어팩스 카운티를 사례로 (The Evolution of the IT Service Industry in the U.S. National Capital Region: The Case of Fairfax County)

  • 허동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67-584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클러스터 적응주기모델을 토대로 미국 수도권지역에 위치한 페어팩스 카운티 IT서비스산업의 진화경로를 탐색하는 것이다.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 지역 IT서비스산업에 대한 문헌, 업체 및 고용수, 인터뷰자료를 이용하여 시기별 특성을 분석하였고, 1990~2011년 기간 동안 지역산업의 성장요인을 알기 위해 변이할당분석을 시행하였다. 적응주기모델에 따르면 페어팩스 카운티의 IT서비스산업은 클러스터 변화지속형 궤적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역산업은 국방성과의 지리적 근접성, 수도권이라는 지역적 특수성으로 인해 정부정책의 영향을 많이 받아왔다. 2000년대 후반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지역 회복력이 높아 끊임없이 변모하는 클러스터 유형을 보이는 데에는 정부의 안정적인 수요와 기업의 역량강화, 지원부문과 기업 등 행위주체의 긴밀한 연계로 인해 충격으로부터 회복력이 높았다는 점과 지식기반서비스업이 정책변화나 경제, 산업기술적환경의 변화에 보다 유연적으로 적응하였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 PDF

북한이탈주민의 삶의 만족도와 정신 건강 실태 변화에 대한 2년간 추적 연구 (Two-Year Follow Up Study of Change in Satisfaction Level and Mental Health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 이혜린;안지현;윤세창;정서현;장혜인;홍진표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9-114
    • /
    • 2019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satisfaction levels and mental health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over two years. Methods :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the subjects were comprised of 300 North Korean defectors registered with a regional adaptation center (the Hana Center) in South Korea. Participants reported self-questionnaires including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self-rating scales for satisfaction levels, depression symptoms, trauma-related symptoms, resilience and alcohol use behavior. In the follow up study after two years, 189 North Korean defectors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responding to the same questionnaires as at baseline. Results : The self-rated scores for satisfaction with one's overall life (p=0.008), sense of autonomy (p=0.001), sense of physical health (p<0.001), and expected life satisfaction five years later (p<0.001) had all decreased significantly at follow-up after two years. Depression symptoms (p<0.01) and trauma-related symptoms (p<0.001) increased significantly over two years, and the resilience score (p<0.01) de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same perio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cohol use behavior (p=0.059) were observed at follow-up. Conclusion : Satisfaction levels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gradually decreased over the follow-up period, and this may be due to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in the process of assimilating to daily life in South Korea. Economic, medical, and psychological support is needed for successful assimil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양측 천외음부동맥 천공지 피판을 이용한 음경둘레 연조직 결손의 재건 (Reconstruction of a Circumferential Penile Shaft Defect Using Bilateral Superficial External Pudendal Artery Perforator Flaps)

  • 박종옥;신동혁;최현곤;김지남;이명철
    • Archives of Hand and Microsurgery
    • /
    • 제23권4호
    • /
    • pp.296-300
    • /
    • 2018
  • 음경 둘레 연조직 결손은 다양한 공여부를 이용하여 재건할 수 있으며, 유리피판술 및 국소피판술을 응용할 수 있다. 유리피판술의 경우 성공적인 결과를 위해 수술 과정 및 술 후 관리에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으며, 기존 국소피판술은 결손 부위의 크기나 모양에 제약이 따르게 된다. 이에 양측 천외음부동맥 천공지피판을 이용한 음경둘레 연조직 결손 재건의 성공적인 사례를 발표하고자 한다. 음경 둘레 연조직 결손은 음낭근막까지 관찰되었으며, 변연절제술 시행 이후 심부근막과 해면체는 보존하였다. 이후 양측 천외음부동맥 천공지 피판을 이용하여 음경 전체 둘레연조직 결손 부위를 재건하였다. 27개월의 추적 관찰 기간 동안 음경의 형태와 기능은 보존되었으며, 창상치유와 연관된 문제는 관찰되지 않았다.

지역별 메가가뭄 복원력 정량화를 위한 AHP기반 인자 가중치 결정 (Determination of AHP-based factor weights for quantification of regional mega-drought resilience)

  • 이찬욱;문기훈;유도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361-361
    • /
    • 2021
  • 가뭄의 경우 타 자연재난에 비해 발생경로, 피해범위, 발생기간 등이 매우 다양해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극한가뭄에 대비한 지자체별 가뭄 역량 평가를 수행하는 것은 재난관리에 있어서 최우선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국내외적으로 가뭄과 관련된 지역적 복원력을 평가한 사례는 매우 적다. 가뭄은 지진, 홍수 등과 같은 타 자연재난에 비하여 지속기간이 길고, 그 지속기간에 따라 피해의 영향 또한 파급력이 달라지므로 복원력 산정을 위한 항목, 복원력 곡선의 저하 형태 및 양상 역시 가뭄의 특성에 맞춰 도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별 극한가뭄에 대한 복원력 정량화를 위하여 가뭄과 관련된 내구성, 대체성, 신속성, 자원동원력의 세부인자를 정성인자와 정량인자로 구분하여 총 18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구성된 18가지 항목이 정량인자 뿐만 아니라 정성인자로 구성됨에 따라, 모든 인자를 동일한 가중치로 평가할 경우 최종결과가 상대적 중요도의 미 고려로 인해 왜곡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계층적분석기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통해 내구성, 대체성, 신속성, 그리고 자원동원력에 대한 가중치와 내구성, 대체성, 그리고 신속성에 대한 세부 지표별 가중치를 도출하여 지역별 메가가뭄 복원력을 정량화 하였다. 분석결과를 동일한 가중치를 적용한 결과와 비교분석하였으며, 과거 가뭄사례를 통해 검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