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ional growth

검색결과 1,318건 처리시간 0.037초

지역균형발전의 의미와 정책 (Balanced Growth among Regional Economies : Its Implications and Polices)

  • 최창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992-1998
    • /
    • 2014
  • 본 연구는 지난 십 여년간 우리 사회에서 중요한 주제로 대두되었던 지역균형발전과 관련하여 그 의미 및 필요성과 방법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전의 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현재의 경제구조의 특징이 지역균형발전에 대하여 의미하는 바를 분석하였다. 최근의 경제구조는 과거의 산업사회와 달리 정보사회, 지식기반경제, 디지털 경제 등으로 정의되고 있으며, 지식 및 아이디어, 인적자본 등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본 고는 그러한 새로운 경제구조에서 지역균형발전의 개념은 이전의 산업사회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역균형발전 조건에 필요한 물적 자본의 효율적 배분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동시에 지역별 인적자본의 효율적 배분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또한 지역의 불균형 발전이 발생시키는 사회적 비용을 추정하기 위하여, 지역들이 균형적으로 발전하는 경우에 비하여 불균형적으로 발전하는 경우에 경제성장률이 감소하게 되는 점을 의태모형실험을 통하여 보였다.

선버들의 생장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Salix nipponica)

  • 이팔홍;손성곤;김철수;오경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11
    • /
    • 2002
  • The morphology, seed germination, and life history of Salix nipponica were investigated in the wetland of the Nam-River, Jinju, Gyeongsangnam-do, Korea from 2000 to 2001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riverine ecosystem restoration through understanding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Salix nipponica. Salix nipponica had stomata on only lower side and stomata type was paracytic. Salix nipponica produced many small and light seeds. The seed number per mature ament was 1599.4, seed mass of 0.04 mg, and fertilization rate of 66.1%. Seed germination was little affected by light. Germination rate was high and mean germination time was short Under flooding condition, seeds were germinated normally and were viable after as much as 14 days of flooding.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under various water depths on germination rates. Tree age was closely correlated with more stem diameter than tree height and there was no difference of growth rate between male and female tree. Growth rate was most rapid for 2 to 3 years after germination, and length growth was almost stopped for more than 11 years even though mass growth was done. Besides even a second-year indivisual was flowered.

  • PDF

서울시 생산성지표의 추정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Producetivity Measure of the City of Seoul)

  • 서승환;이번송;정의철
    • 지역연구
    • /
    • 제11권2호
    • /
    • pp.41-51
    • /
    • 1995
  • It has been estimated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TFP)of the city of Seoul. Average TFP growth rate during 1974-1992 has been estimated as 0.0602. TFP growth rate has been decreased from 0.0804 of 1970's to 0.0561 of 1980 and 1990's Factsro affecting the TFP are found to be core infrastructure, capital stock and land price growth rate. High land price growth rate depresses the TFP growth rate. During 1989, due to the high land price growth rate and extremely low building costruction permit TFP rate has been estimated as negative.

  • PDF

남북통일과 지역균형개발정책 (Korea Reunification and Factor Movement : The Policy for Interregional Balanced Economic Growth)

  • 김홍배;임재영
    • 지역연구
    • /
    • 제14권1호
    • /
    • pp.47-64
    • /
    • 1998
  • This paper attempts to forecast regional economic changes and to analyze government polices for interregional balanced economic growth in case of Korea Reunification. It begins with be reunified at the year 2010. The model is largely neoclassical. Since the future of North Korea is unclear, two possible scenarios are presented. The paper projects economic growth of regions, specifically forecasting growth of regions, specifically forecasting GRDP, the number of migrants and the quantity of moving capital. The results obtained show that spatially unbalanced economic growth will take place in the reunified Korea through factor movement. Two polices including public capital provision policy and income subsidy policy are thus suggested and analyed.

  • PDF

국내 7대 특·광역시 노동시장의 고용성장 요인분해 - 네 변인 다요인분해분석의 적용 - (Decomposition of Employment Growth in Korean Metropolitan Labor Markets: An Application of a Four-way Multifactor Partitioning)

  • 박지한;김동현
    • 지역연구
    • /
    • 제39권4호
    • /
    • pp.53-71
    • /
    • 2023
  • 본 연구는 국내 7대 특·광역시를 대상으로 지난 20년(1996~2016년)간의 고용성장에 대한 요인별 기여도를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사업체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다요인분해(multifactor partitioning, MFP)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기간에 걸친 대도시권의 고용성장에서는 전반적으로 지역효과가 지배적인 영향력을 보이고 있으며, 산업구조효과가 이를 뒤따르고 있다. 동태적 다요인분해분석 결과는 향후 지역 간 고용 격차가 산업구조에 의해 설명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성별과 양질의 일자리구성효과는 지역별 고용성장에 큰 기여를 보이지 않는다. 단, 실질적인 개별 인자들의 기여를 보면 남성-상용근로자의 고용감소와 여성-비상용근로자의 고용성장 패턴을 유추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각 지역 산업의 구조적 전환과 고용안정성이 동반된 질적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고용정책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의미한다.

기능적 상호작용에 따른 도시권 설정과 성장관계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Delineation of City-Regions Based on Functional Interdependence and Its Relationships with Urban Growth)

  • 김도형;우명제
    • 국토계획
    • /
    • 제54권7호
    • /
    • pp.5-23
    • /
    • 2019
  • The central government has implemented policie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for balanced development at the national scale. However, since it is often difficult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through partial projects of each jurisdiction, many local governments collaborate at the regional scale. This suggests that a regional approach is important for the management of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On the one hand, the concept of network city suggests that various functional networks can affect the growth of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Given this background,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lineate regional boundaries at national scale and identify their relations of growth by using functional network and Moran's I index. The study uses the Markov-chain model and cluster analysis to delineate the regions, and Moran's I is employed to identify the relations of growth. The results show that interactions between jurisdictions through networks could be crucial factors for growth of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while the networks based on passenger travel and freight movement have different implica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policy makers should not only consider local level investments, but also take the characteristics of networks between cities into account for achieving balanced development and developing regeneration policies.

지역 축제의 경제성장 효과에 관한 실증분석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Local Festivals on Economic Growth)

  • 김영덕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 /
    • 제20권6호
    • /
    • pp.2981-2991
    • /
    • 2018
  • 본고에서는 축제-지역경제성장 관계의 실증분석을 통해, 지역축제가 지역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론적으로 축제가 경제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경로에 대해서는 창조경제론이 논의의 중심에 있다. 축제의 지역경제성장에 대한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지역의 소득수렴식을 이용하였고, 추정방법으로는 pooled OLS, 고정효과모형, GMM 추정방법을 사용하였다. 축제변수가 생산성에 영향을 주어 지역의 경제성장률에 영향을 주는 모형을 설정하여 이를 실증분석 하였다. 실증적 분석에 따르면, 축제의 수나 기간 등의 축제변수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지금까지는 유의적이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축제변수로는 축제의 수와 축제기간을 이용하였다. 축제변수가 선형적이든 비선형적이든 소득수렴식에서 성장률에 유의적으로 영향을 주지는 않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축제가 생산성이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이 지금까지는 존재하지 않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는 지역축제가 창조경제를 자극하여 지역의 경제성장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창조경제론이 지역축제에서는 작동하지 않았음을 제시하는 것이다.

수도권 신성장산업 창업 사업체의 지역 간 유출입 네트워크 및 영향 요인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Regional Networks of Start-ups in New Growth Industries in the Capital Region)

  • 송창현;김주영;임업
    • 지역연구
    • /
    • 제38권1호
    • /
    • pp.3-20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수도권을 분석의 공간적 범위로 설정하여 2010년부터 2019년까지의 신성장산업의 창업 사업체 및 종사자 이전 패턴을 탐색적으로 분석하고, 신성장산업 창업 사업체의 유입 및 유출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 수준 요인을 밝히는 데에 있다. 분석을 위한 자료로는 「전국사업체조사」원자료를 이용했으며, 신성장산업 사업체 및 종사자 수 유입 및 유출 자료를 바탕으로 시군구 수준 공간 자료를 구축했다. 분석을 위해 지역별 유출 유입에 대한 연결정도 중심성을 산출했으며, 음이항 회귀모형을 응용해 신성장산업의 유입 및 유출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 수준 요인에 대한 실증 분석을 수행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신성장산업 제조업 부문은 경기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신성장산업 서비스업 부문은 강남 및 구로-금천구 일대를 중심으로 활발한 입지 이전이 발생하고 있었으며, 지역 수준 요인들이 신성장산업 창업 사업체의 유입 및 유출에 미치는 영향은 업종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최근 정책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신성장산업에 대한 공간 이전 패턴을 파악하고, 영향 요인을 밝혀내기 위해 실증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신성장산업 유치를 통해 지역 경제의 경쟁력 향상을 달성하고자 하는 지역산업정책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했다.

승수이론을 이용한 지속가능한 지역경제성장모델의 개발 (Development of a Sustainable Regional Economic Growth Model (SREG) Using Multiplier Theory)

  • 정남수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9권1호
    • /
    • pp.35-42
    • /
    • 2007
  • This paper develops a Sustainable Regional Economic Growth Model (SREG) which estimates the relation of labor population change and employment increase in each occupation and maximum limits and minimum requirements of employment increase by labor population change in a specified region using multiplier theory. To develop the proposed model, sustainable regional economic growth is defined as a steady increase of labor population over a long term period and the limit of employment increase is defined as the estimated labor population change in the region with no need for commutation from the surrounded areas. Developed model was applied to 67 county in Pennsylvania State an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investment in infrastructure occupations, such as transportation, warehousing, utilities,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other public utilities, maximizes the effects for increasing employment, whereas finance, insurance, and real estate occupations have minimum effects for increasing employment. Calculated minimum requirements of occupations show that infra-structure occupations is a critical factor for labor population change and maximum limits of occupations show that agriculture and finance occupations are difficult to increase independently.

STEM Education and Sustainable Growth in Regions: Lessons Learned from the U.S. WIRED Program Evaluation

  • Jung, Yu Jin
    • World Technopolis Review
    • /
    • 제3권3호
    • /
    • pp.153-164
    • /
    • 2014
  • It is recent that STE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education emerged as a great concern of the U.S. policy makers in terms of securing national and regional competitiveness. However, few attempts to embrace STEM education as a source for sustainable regional growth have been made mainly due to methodological challenge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ole of STEM education in achieving sustainable economic growth. For the purpose of the paper, a U.S. federal workforce development program named Workforce Innovation in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WIRED) in Southeastern Virginia that was implemented between 2007 and 2010 is selected and evaluated qualitatively. By identifying three themes as a result of three-stage coding methods, the evaluation results call for particular attention of local policy makers and key stakeholders to STEM education as a source of sustainable long-term economic growth in reg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