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egional cultural resource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6초

정선 폐광지역 주요 관광자원 중요도 평가 연구 - 전문가와 지역주민 평가를 중심으로 - (A Study of Important Perception on the Main Tourist Resource of closed Mine Area in Jeong-Seon - The Case of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s and Local Residents -)

  • 문정홍;이주형;홍장표
    • KIEAE Journal
    • /
    • 제9권5호
    • /
    • pp.77-84
    • /
    • 2009
  • This study was initiated by the fact that Kangwon Land and large sized resorts was failed the financial benefit to the local residents. This research analyzed the best important tourist resource among the main tourist resource by perception interviewing local residents and related professionals. This study shows that the leisure resource was most important resource field in Jeong-Seon. So more attention to the leisure resources and investment them. Among natural attraction resources 'Hwa-Ahm cave and Hwa-Ahm mineral water' is estimated to have most potential for the strategic financial support. In leisure sector 'High One resort' is judged to be more important attraction resource by professionals but a case of local residents 'Dong-gang Rafting' and 'Rail Bike' were estimated more important resources rather than 'High One resort;. Lastly, in cultural resources, although the importance is a bit behind natural attraction and leisure resources, 'Jeong-Seon 5th day market' and 'Araree village' should be the core linking other related cultural resources. In order to activate tour industry and development of Jeong-Seon area, it is necessary to find identify of regional owned attraction resources and to build tourist attraction infra structure by selecting core bases of existing major attraction points and linking other various resources to those core bases.

고령군 관광자원의 이용 및 개발 (U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Tourism Resources in Goryeong)

  • 최정수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80-697
    • /
    • 2008
  • 고령군은 대가야역사문화의 중심지로써 관광개발은 대가야 역사문화자원에 치중하여 이루어졌다. 고령군에 대한 관광객 인지도는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고령군의 관광객 수는 경북 관광객수의 증가추세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있다. 그러나 고령군은 다양한 문화관광자원을 보유하고 있고, 대도시 주변 농촌지역으로 대도시 관광시장을 유인할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가야 문화권의 중심지적 위상을 보지(保持)하되, 대도시주변 농촌지역이라는 고령군의 특색에 맞는 관광정책 개선방안 및 관광자원 개발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관광정책 개선방안으로는 관광사업체나 관련 기관 등에서 지속적인 상품혁신을 도모하면서 통합적인 관광정보를 발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관광자원 개발방안으로는 기존 관광자원의 재활성화와 새로운 관광자원의 개발을 제시하였다. 우선, 기존 관광자원의 재활성화를 위해 대가야박물간의 재방문율 제고, 대가야박물관과 지산동고분군 이외의 다양한 관광자원에 대한 인지도 제고, 대가야 중심의 관광코스를 관광객 중심의 관광코스로의 재편, 회원제 농촌민박이나 체재형 시민농원 등을 활용한 농촌관광 활성화를 추진해야 한다. 그리고 새로운 관광자원의 개발을 위해 고령의 대표적 특산물을 활용한 테마관광상품 개발 및 테마파크와 캐릭터산업과의 연계, 스토리에 기반한 관광상품 개발 및 이벤트화, 고령군만의 이미지를 활용한 차별화된 특색관광상품 개발, 지역주민이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관광자원개발, 시군간 연계협력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와 함께 지역간 연계를 통한 관광활성화 도로를 추진해야 한다.

  • PDF

문화도시조성사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regional economy of cultural city development industry)

  • 최지연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365-373
    • /
    • 2012
  • 문화는 도시경쟁력의 원천과 시민의 삶의 질 향상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현대사회는 지속적 경제성장과 도시재생을 위한 목적으로 문화산업과 결합하여 좀 더 지역적이고 창의성이 발현될 수 있는 도시를 만들고자 한다. 이러한 문화도시조성사업은 기반시설 건설 운영으로 인하여 생산, 고용, 그리고 소득의 인프라를 구축하였고, 역사 문화재에 대한 시민의식을 고취시켰다. 또한, 민족 문화 정체성 및 가치를 향상시켜 국가적 측면에서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경북 문화산업의 가치사슬 특성 (The Value Chain of Cultural Industry in Gyeongbuk)

  • 최정수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9-60
    • /
    • 2006
  • 가치사슬 분석은 기존의 정량적 산업분석과는 다르게 분석의 초점이 단순 제조에서부터 제품과 서비스를 소비자에 공급하는 활동에까지 맞추어지기 때문에, 오늘날과 같이 경제의 서비스화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 하에서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경계가 불분명한 문화산업을 분석하는데 매우 유용한 분석틀이다. 본 연구는 경북 문화산업의 가치사슬을 분석하여 경북 문화산업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나아가 가치사슬내 활동을 통한 혁신창출메카니즘의 이해를 통해 문화산업역랑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고부가가치단계이자 상대적으로 저학력 인력을 필요로 하는 유통 배급 및 홍보 마케팅 업체의 창업 및 유치를 도모하고 전문화를 강화시킨다. 둘째, 기업간 네트워크를 강화하여 장비의 공동 구입 및 이용 지원, 인력 및 기술 정보 교류를 활성화시킨다. 셋째, 이원화된 인력 양성 시스템을 구축하고 개방된 기업문화를 육성한다.

  • PDF

지역전통문화자원의 지역 협력을 통한 콘텐츠 창구효과 강화를 위한 연구 -'남도 르네상스' 콘텐츠와 연계 협력을 중심으로 (A Study on Strengthening the Window Effect of Content through Regional Cooperation of Local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 Focusing on cooperation with 'Namdo Renaissance' content)

  • 정연철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6권4호
    • /
    • pp.101-109
    • /
    • 2017
  • 지역의 전통문화자원은 독특한 문화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차별화 가능성이 높은 콘텐츠 자원이다. 따라서 지역 문화자원을 콘텐츠로 개발하면 경제적 가치 창출과 함께 지역을 상징하는 브랜드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남 지역의 전통문화자원을 활용하여 콘텐츠 소재로 활용하고 전남도에서 추진하는 '남도 르네상스' 사업 콘텐츠와의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전남 시군의 자원 요소와 분석을 통해 지역 간 협업을 위해 콘텐츠 연관성을 갖는 지역으로 7개 권역을 제안한다. 권역별 상징성을 갖는 스토리를 발굴하고 체계화 할 수 있도록 "스토리 사랑방'을 제안한다. 개발된 이야기 자원을 실감미디어 제작 기술과 가상현실 플랫폼 등을 통해 체험형 콘텐츠로 개발하고 관광 콘텐츠로 확장하여 콘텐츠 창구효과로 확대한다.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콘텐츠 사업화 기반이 취약한 시군의 콘텐츠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지역 간 협력 거버넌스 확대로 공동 콘텐츠 개발 기회를 높이고 관광 콘텐츠로 활용성을 높여 지역경제 발전과 관련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홍길동 문화콘텐츠사업 사례분석을 통한 지역문화 브랜드화 전략 연구 (Research of the local cultural brand by analyzing the case of Honggildong cultual content business strategy)

  • 심재광;이상길;김경수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479-486
    • /
    • 2010
  • 문화산업에 대한 경제적, 문화적 가치가 재조명되면서 지역문화자원을 디지털콘텐츠로 개발하고 브랜드화하려는 지방자치단체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지자체의 모든 문화콘텐츠사업이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공무원, 참여기업, 주민의 상생구조를 기반으로 한 지속적인 성장 동력화의 모델로 발전시켜야 성공할 수 있다. 치밀한 기획과 사업설계를 통해 안정적인 추진계획 실현이 성공의 열쇠다. 또한 원천소스와 시장의 분석, 스토리텔링, 콘텐츠 개발과 브랜드화 전략전개, 그리고 단계별 결과분석에 따른 OSMD(One-Source Multi-Device) 및 OSMU(One-Source Multi-Use) 전략 전개가 성패를 좌우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최대 규모의 민 관 합작 콘텐츠사업이며 OSMD, OSMU의 대표적 사례인 전남 장성군의 '홍길동 문화콘텐츠사업'을 분석하여 지역문화자원의 브랜드화 성공전략을 연구하였다. 이미 완료된 1차 사업을 대상으로 홍길동 문화자원의 발굴과 단계별 콘텐츠화 과정 및 브랜드화의 전략모델을 분석하고, 진행과정의 문제점을 연구함으로써 지역문화자원을 브랜드화하려는 지방자치단체 및 문화콘텐츠 기업에게 모범적인 접근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Classification and Preparation of checklist of ecological and cultural resources of rural area in point of Green tourism

  • Kim, Bum-Soo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45-149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esent rural functional resources through classification and preparation of checklist for ecological and cultural resources which considered various aspect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 In this study the function of ecological and cultural resources classified 6 functions such as natural environment, free environmentally agricultural products, experience of agricultural products, recreational places, rural life experience, and Interchanges of human resources. Prepared evaluation list through this study can explain a local characteristics based on 6 functions of agricultural and mountain village. This evaluation list was focused on the magnitude of the resources which motivate the visiting of city-dweller as a consumer, for an actual regional plan, investigation of the inhabitant consciousness survey should be needed, simultaneously.

한방산업의 지역개발유형연구 (Study in the Local Developing Form of Oriental Medicine Industry)

  • 정도기;김광중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9-28
    • /
    • 2005
  • According to each developing type, we study a concept, contents and a consideration about in oriental medicine industry. The divisions of each developing speciality are followings: Urban industry type - The development of urban industry type has difficulties; The lack of technical development and social adaptation, etc. If it overcomes these difficulties, it will be activated in the oriental medicine industry. Rural industry type - The oriental medicine industry of rural type needs the model of rural oriental medicine industry which leads an activity and an independence of the rural region. Within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oriental medicine industry, if rural resource makes a specialized brand, it can have great effects in the future industry. Resort industry type - When The resort type is related the characters of natural circumstances, cultural industry and health management, it has many effects. If we gain the clear direction which is activated the regional specialities, the oriental medicine industry of resort type can estabilishs the high value industry. Event industry type - The event type is a festival, an exhibition, etc. Within this event, the promoter must provide visitors the specialized sights, the food things, the enjoyable things. And using traditional image, we have the regional resource is recognized good things and the nomination of open place can inform.

지역문화축제 활성화 방안 : 부산.전주 국제영화제를 중심으로 (A Plan for Revitalization of Local Cultural Festivals: P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nd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 육정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70-180
    • /
    • 2010
  • 본 연구는 부산국제영화제와 전주국제영화제를 중심으로 지역개발을 위한 문화전략의 하나로 영화제에 대한 현황들을 짚어보고 그 활성화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 것이다. 부산과 전주는 그 나름대로 영화의 뿌리를 가지고 있는 역사성이 있었으며 영화제의 특성이나 목적에 차별성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목적이 지역축제로서 성공적인 자리매김을 하기에는 지역적 주제설정과 독창적 이벤트가 부족하였다. 부산국제영화제의 경우 참여와 체험중심의 프로그램을 보강함으로써 부산이라는 지역성을 살릴 수 있는 영화축제가 되어야 할 것이며 전주국제영화제의 경우는 전주가 영상산업의 중심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지속적인 기획 및 정책들을 내놓아야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역문화축제로서 국제영화제의 활성화 방안으로는 영화 로케이션 장소로서의 지역공간의 적절한 활용과 지역문화축제 콘텐츠 개발, 네트워크 형성, 지역문화 인력양성, 필름마켓 조성, 문화복합산업으로서 영화제 활성화 등을 제시하였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관광자원개발과 관광정책의 역할 (Tourism Resource Development for the Activation of Regional Economic and the Roll of Tourism Policy)

  • 김태헌;박숙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403-412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자원의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에서 관광자원, 관광정책 그리고 지역경제 활성화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관광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설문조사는 2010년 7월 1일부터 30일까지 충청지역과 경상도지역의 국 공립 연구원 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하여 최종 283부의 연구샘플이 수집되었고, 통계 처리는 SPSS 15.0과 AMOS 6.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역관광자원이 풍부할수록 지원제도와 유치전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지원제도는 유치전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관광정책이 지역경제 활성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유치전략에 의한 효과보다 지원제도에 의한 간접적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확인 되었다. 그러나 관광자원이 지역경제 활성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의외로 기각되었는바, 우수한 지역관광자원의 보유와 무관하게 관광정책이 구체적으로 시행되지 않으면 지역경제에 무익하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는 관광특구, 지역축제, 문화재의 지정 등을 통한 관광자원의 지속가능한 개발과 패키지화를 추구하되, 개발 및 선정기준의 업그레이드와 지속적인 평가관리를 통해 지자체에 의한 남발과 중복투자를 막고 관광부문의 질적 발전을 유도해야 할 것으로 보이며, 5+2광역경제권이 출범한 상황에서 관광분야의 광역연계협력사업이나 초광역적 연계협력사업을 적극적으로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