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ourism Resource Development for the Activation of Regional Economic and the Roll of Tourism Policy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관광자원개발과 관광정책의 역할

  • Received : 2011.02.15
  • Accepted : 2011.04.11
  • Published : 2011.05.28

Abstract

This study aims at proposing clear direction of tourism policy through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ourism resource, tourism system and activation of regional economic. A total of 283 samples were ultimately collected in survey of 300 researchers from the national and public institutes in provinces Chungchong-do and Kyungsang-do in July 2010 alone. SPSS 15.0 and AMOS 6.0 were used to test the model. Analysis showed that the more regional tourism resources have more significant effect on tourism system and tourist-attracting strategy, and that tourism system exerts influence on tourist-attracting strategy. So it was proved that the tourism policy effects meaningfully on vitalization of regional economic,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tourism system is more effective on the energization of regional economic than the tourist-attracting strategy. But the hypothesis has been rejected unexpectedly that tourist attractions have consequences for the activation of regional economic. It establishes the fact that it is useless for regional economy regardless of abundant regional tourism resources, if the tourism policy is not concretely in force. Therefore, Korean government must intercept overissue and overlapping investments on tourism development by the local government and induce qualitative growth of tourism sector through upgrading of development guidelines and the criteria for selecting tourism special zone, regional festival and cultural assets, and its continuous assessment and management. And it is desirable to enforce the connected cooperation projects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the 5+2 great-sphere economic blocs on government-level.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자원의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에서 관광자원, 관광정책 그리고 지역경제 활성화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관광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설문조사는 2010년 7월 1일부터 30일까지 충청지역과 경상도지역의 국 공립 연구원 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하여 최종 283부의 연구샘플이 수집되었고, 통계 처리는 SPSS 15.0과 AMOS 6.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역관광자원이 풍부할수록 지원제도와 유치전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지원제도는 유치전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관광정책이 지역경제 활성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유치전략에 의한 효과보다 지원제도에 의한 간접적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확인 되었다. 그러나 관광자원이 지역경제 활성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의외로 기각되었는바, 우수한 지역관광자원의 보유와 무관하게 관광정책이 구체적으로 시행되지 않으면 지역경제에 무익하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는 관광특구, 지역축제, 문화재의 지정 등을 통한 관광자원의 지속가능한 개발과 패키지화를 추구하되, 개발 및 선정기준의 업그레이드와 지속적인 평가관리를 통해 지자체에 의한 남발과 중복투자를 막고 관광부문의 질적 발전을 유도해야 할 것으로 보이며, 5+2광역경제권이 출범한 상황에서 관광분야의 광역연계협력사업이나 초광역적 연계협력사업을 적극적으로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창수, "지방정부의 축제이벤트 재무 비교연구", 관광경영학연구, 제8권, 제1호, pp.85-101, 2004.
  2. 김태헌, "수도권 기업의 지방이전과 지역경제 : 대전-충청권을 중심으로", 대전발전연구원, 2009.
  3. 김향자, "지방도시 발전에 있어서 관광의 정립 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8.
  4. 김희수, "관광산업의 고용 확대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9.
  5. 문화관광부, "한국 지역축제 조사평가 및 개선방안연구", 2006.
  6. 문화관광부, 서비스산업 경쟁력강화 종합대책, 2006.12.
  7. 문화체육관광부, 체류형 통합서비스 기반체계 구축 연구, 2008.
  8. 박숙진, "한 독 문화관광거리 국제 비교연구 : 관광자원 문화행사및축제 운영시스템 관광자원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대학원 박사논문, 2004.
  9. 박숙진, "관광산업 경쟁력 평가모형에 관한 연구", 관광정책학연구, 제10권, 제2호, pp.39-61, 2004.
  10. 이장춘, 관광정책학, 대왕사, 서울 1990.
  11. 이장춘, 최신관광자원론, 대왕사, 서울, 1998.
  12. 정승훈, "지역축제의 서비스품질, 지각된 가치, 만족, 충성도의 영향 관계: 제주이호테우축제를 사례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1호, pp.391-402.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11.391
  13. 정승훈, 오상훈, 강성진, "제주지역 관광산업의 제도개선 방안", 제주발전연구원, 2007.
  14.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관광지 제도 개선 방향 연구", 2010.
  15. J. Briedenhann and E. Wickens, "Tourism routes as a tool for the economic development of rural areas-vibrant hope or impossible dream?," Tourism Management, Vol.25, pp.71-79, 2002. https://doi.org/10.1016/S0261-5177(03)00063-3
  16. L. Dwyer and P. Forsyth, "Assessing the benefits and costs of inbound tourism,"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20, No.4, pp.751-768, 1993. https://doi.org/10.1016/0160-7383(93)90095-K
  17. J. Friedmann, Empowerment: The politics of an alternative development, Blackwell, Oxford, 1992.
  18. F. M. Go and R. Govers, "Integrated quality management for tourist destinations: A European perspective on achieving competitiveness," Tourism Management, Vol.21, pp.79-88, 2000. https://doi.org/10.1016/S0261-5177(99)00098-9
  19. T. Hall, Urban Geography, Routledge, 1998.
  20. K. M. Haywood, "Responsible and responsive tourism planning in the community," Tourism Management, Vol.9, No.2, pp.105-107, 1988. https://doi.org/10.1016/0261-5177(88)90020-9
  21. G. D. Jud and W. Krause, "Evaluating tourism in developing areas: An exploratory enquiry," Journal of Travel Research, Vol.15, No.2, pp.1-9, 1976. https://doi.org/10.1177/004728757601500201
  22. V. T. C. Middeton and R. Hawkins, Sustainable tourism: A marketing perspective, Butterworth Heinemann, Oxford, 1998.
  23. P. E. Murphy, "Tourism as a community industry: An ecological model of tourism development," Tourism Management, Vol.4, No.3, 1983. https://doi.org/10.1016/0261-5177(83)90062-6
  24. E. Ndala, "Mpumi talk, nelspruit," South Africa: dynamic Ad. Open Africa(2002), Information Relating to the African Dream Project, Cape Town: Open Africa, 2001.
  25. J. Pigram, "Planning for tourism in rural areas: Bridging the policy implementation gap," in D. G. Pearce Butler(Eds.), Tourism research: Critique and challenge, pp.156-174, 1993.
  26. A. Poon, Tourism, technology and competitive strategies, Oxon, UK: CAB International, 1993.
  27. Queensland Heritage Trails Network, "Cultural Tourism Incentive Programme 2000-2002," Queensland Government Department of the Premier and Cabinet, Brisbame, 2000.
  28. World Travel & Tourism Council(WTTC), Travel & Tourism Economic Impact 2010, 2010.
  29. E. S. Zimmerman, World Resources and Industries, revised 2nd ed, Harper, New York, 19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