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flection thinking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29초

인지적 수준이 높은 수학 과제 설정과 실행에 관한 교사의 반성적 연구 -초등학교 2학년 길이재기를 중심으로- (Reflective action research on setting up and implementing mathematics tasks demanded students' high-level cognition)

  • 박영은;김남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0권2호
    • /
    • pp.77-110
    • /
    • 2007
  •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how to students show high-level mathematical thinking in math classes. This paper describes how to setup the task for lead to a high - level of thinking out students and what efforts are required while a teacher tried to maintaining students's high-level cognition during the tasks implemented. The researcher as teacher analyzed the tasks of length measurement unit in 2-Ga elementary math textbooks, modified and created math tasks demanded students' high-level cognition, made instruction plans, and implemented those tasks maintaining the levels of cognitive demand of tasks. After that, the researcher reflected and analyzed the levels of cognitive demand of tasks of instruction and factors that cause to change intended high-level cognitive demand. After reflection, second roof of action research was conducted to 2-Na length measurement unit. This paper includes those results and reflections of practitioner.

  • PDF

비디오 활용 학습공동체를 통해 나타난 보육교사의 전문적 시각의 구성 요소: 선택적 주의와 인지 기반 추론을 중심으로 (The Components of the Child-care Teachers' Professional Vision Through the Video-based Learning Community: Focusing on Selective Attention and Knowledge-based Reasoning)

  • 김수정;이영신;이민주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7-43
    • /
    • 2019
  • 본 연구는 보육활동을 수행하는 보육교사들이 자신이 교실 내에서 영유아와 수행한 상호작용에 관한 영상을 동료 교사들과 함께 살펴보는 비디오 활용 학습공동체에 참여함으로써 Sherin(2007)이 제시한 교사의 전문적 시각의 두 가지 구성요소와 관련한 보육교사들의 경험을 탐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지역에 위치한 직장어린이집의 보육교사 3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교사들은 4회기의 비디오 활용 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해 자신의 상호작용 장면을 살펴보고 동료들과 함께 분석하고 협력적으로 토론해봄으로써 교사는 영유아의 의도 및 교사의 의도에 주목할 수 있었다. 또한, 비디오 활용 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하여 교사는 영유아의 사고, 관심을 기반으로 하는 추론, 교사의 사고, 의도를 기반으로 하는 추론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전문적 시각의 변화는 참여 교사 간의 협력적인 성찰을 통하여 가능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보육교사의 전문적 시각 발달의 중요성 및 전문적 시각 발달 지원을 위한 비디오 활용 학습공동체 참여의 효과성을 논하였다.

초임 중등 과학교사를 위한 협력적 멘토링에서 나타나는 멘토의 멘토링 특징과 멘티의 반성적 실천 사이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or Teachers' Mentoring Characteristics and Mentee Teachers' Reflective Practice in Collaborative Mentoring for Beginning Science Teachers)

  • 박지훈;남정희;강유진;박종석;손정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15-128
    • /
    • 2019
  • 이 연구는 협력적 멘토링에서 나타나는 멘토교사의 멘토링 특징과 멘티교사의 반성적 실천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로부터 멘티교사의 반성적 실천을 증진시킬 수 있는 멘토교사의 멘토링 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직경력 7년 이상의 멘토 4명과 초임중등과학교사 4명을 선정하여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멘토링 과정에서 수집한 자료들은 멘토 및 멘티 저널, 멘티교사의 5차시 수업 녹화본 및 전사본, 학습지도안, 수업평가지, 일대일 멘토링 녹음 및 전사본, 사전 설문, 중간 설문과 사후 설문, 일대일 멘토링 효과 설문 등이었다. 멘토교사의 멘토링 특징은 멘토교사의 상호작용 방법과 수업 피드백에 의한 지원의 내용과 빈도수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멘티교사의 반성적 사고는 자발적 반성과 지원에 의한 반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멘티교사의 반성적 실천은 RTOP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멘티교사의 교수 실행에서의 문제점을 멘티교사 스스로 파악할 수 있도록 대화를 유도하는 멘토교사는 멘티교사의 반성적 실천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멘토교사의 반성적 사고 유도 질문은 멘티교사의 자발적 반성을 이끌어 내었으며, 자발적 반성은 멘토교사의 지원에 대한 반성 및 반성적 실천을 증진시켰다. 또한 멘토교사가 수업 피드백을 통한 지원을 제공할 때 멘티교사 스스로 자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조력자의 역할을 할 경우 멘티교사의 반성적 실천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이공계 대학생의 커뮤니케이션 역량 분석 및 교육콘텐츠 개발 방안 연구 (A Study on Communication Competency Analysis and Development Plan of Educational Content for Engineering Undergraduates)

  • 김경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529-539
    • /
    • 2017
  • 본 연구는 이공계 대학생들의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범주화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향후 이공계 대학생의 커뮤니케이션 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 콘텐츠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 이공계 대학생의 커뮤니케이션 역량은 비판적 사고력, 과학적 소통력, 미디어리터러시 세 영역으로 범주화 하였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써 이공계 글쓰기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이공계 대학생의 커뮤니케이션 역량은 전반적으로 향상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습중심의 비판적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글쓰기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교육 콘텐츠로는 플립러닝 등 스마트교육기반 프로그램, E-커뮤니티, 액션러닝 기반 문제해결력 향상 프로그램, 협동학습 프로그램, 성찰 저널 및 포트폴리오, 협업형 글쓰기 프로그램 등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이공계 학생을 대상으로 한 커뮤니케이션 역량중심 교육과정 설계와 현장에서의 구체적인 적용과 실천 지침을 제공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항공운항학회 항공서비스전공 문제기반학습 적용 교과목의 학습 효과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Analysis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Class in Aviation Service Major)

  • 김하영;유정화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69-183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lass effect of subjects to which Problem-Based Learning is applied to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service at university in Chungcheong. And we derive implications for continuously operating Problem-Based Learning classes. For the study, <Service Manners and Practice>, <Theory of Air Reservation Operation & Practice>, and <Introduction to In-flight Food & Beverage> were selected among the courses opened in the first semester of 2022. This study analyzes changes in communication competence, interpersonal skills,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higher-order thinking skills,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 skills, and problem-solving skills reflecting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universities to which the study students belonged. First, we analyzed the changes in communication competence, interpersonal skills,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higher-order thinking skills,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 skills, and problem-solving skills before and after classes by reflecting on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universities to which the study students belonged. As a result, all item except for interpersonal skills were improved. In addition,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egree of learning improvement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reflection journal written during learning prece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it is effective for learning abilities such as communic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utilization of information, and problem-solving.

Reflecting Critical Pedagogy: Its Application to EFL Contexts and Criticism

  • Jeon, Ji-Hyun
    • 영어어문교육
    • /
    • 제15권3호
    • /
    • pp.59-81
    • /
    • 2009
  • The primary goal of this paper was to develop a critical point of view to critical pedagogy when applied to EFL contexts. Critical pedagogy is more concerned about how language can affect personal and social change of teachers and students than it is with how to teach language effectively or in ways that encourage critical thinking on the part of teacher and students. For this goal, this paper introduces the definition, emergence and major constructs of critical pedagogy in a broad way at first. Then, this paper presents how critical pedagogy has an impact on ELT, focusing on how critical pedagogy is applied in ELT contexts and why the application of critical pedagogy in EFL can be criticized, through the review of empirical studies. Reflection of Korean English teaching situation and applicational difficulties of critical pedagogy in Korean ELT are followed.

  • PDF

2015 개정 수학 교과서에 반영된 추론 역량 요소 탐색 - 중학교 1학년 함수 영역을 중심으로 - (An Exploration on the Reasoning Competency Element Represented in the New Seventh Grade Mathematics Textbook)

  • 황혜정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7권2호
    • /
    • pp.149-167
    • /
    • 2021
  • The six core competencies included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revised in 2015 are problem solving, reasoning, communication, attitude and practice, creativity and convergence, information processing. In particular, the reasoning is very important for students' enhancing much higher mathematical thinking. Based on this competency, this study selected the four elements of investigation and fact guess, justification, the logical performance of mathematical content and process, reflection of reasoning process, And also this study selected the domain of function which is comprised of the content of the coordinate plane, the graph, proportionality in the seventh grade mathematics textbook. By the subject of the ten kinds of textbook, this study examined how the four elements of the reasoning competency were shown in each textbook.

"The Dickensian Lives of City Children": Urban Pedagogy and David Simon's The Wire

  • Walsh, Kelly
    • 미국학
    • /
    • 제42권1호
    • /
    • pp.161-191
    • /
    • 2019
  • David Simon's critically acclaimed HBO series, The Wire (2002-2008), has frequently been termed "Dickensian" for its ambition to present urban social reality in its totality. Primarily focusing on the fourth season, which offers a wide-lens, deeply contextualized investigation into Baltimore's failing public school system, I interpret the show intertextually to discern its different forms of urban pedagogy. With Dickens's Hard Times and other narrative intertexts, I argue that The Wire, with its "Dickensian" attentiveness to the relations of part and whole, attachment and detachment, foregrounds the act of reading and misreading social reality. This is fundamentally a pedagogic process, positioning its characters and viewers as "students," imparting to them lessons in critical thinking. The knowledge gained is largely negative; nevertheless, teaching The Wire in a Korean university has revealed its efficacy in provoking student-viewers to critical reflection on urban social reality and their own positionality.

STEAM 프로그램이 예비 과학교사의 의사소통역량에 미치는 영향: STEAM 교육에 대한 경험과 성찰 (The Effects of STEAM Program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Communication Competency: Their Experiences and Reflection on STEAM Education)

  • 김선영;전재형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3권1호
    • /
    • pp.136-156
    • /
    • 2019
  • 본 연구는 예비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STEAM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한 후 의사소통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예비 과학교사들이 STEAM 프로그램을 경험한 후 그들의 경험에 대해 어떠한 성찰을 하는지 면밀히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단일그룹 사전-사후 검사 설계로 양적자료와 질적자료 모두를 활용한 혼합 연구이다. STEAM 프로그램은 STEAM에 대한 이론적 배경 소개(4차시), 과학기반 4가지 주제의 STEAM 활동에의 참여(16차시), 그리고 STEAM 프로그램에 대한 성찰(2차시)로 구성되었다. 예비 과학교사들은 STEAM 프로그램 후 의사소통역량이 향상되었다. 특히 예비 과학교사들은 의사소통역량의 하위요소 중 정보수집과 경청으로 이루어진 해석능력, 자기제시능력, 타인관점이해 능력이 향상되었다. 또한, 예비 과학교사들은 STEAM 프로그램에 대한 성찰을 통해 상황제시 단계에서 실생활과 관련되어 있거나 사회적 당면한 문제이기 때문에 문제해결의 필요성을 느끼고 호기심이 유발되었다고 하였다. 창의적 설계 단계에서 예비 과학교사들은 모둠원의 합의, 일상생활의 실용 가능성, 기존 경험에 의한 최상의 선택, 그리고 설득력 강한 주장에 의해 최종 아이디어가 선택되었다고 하였다. STEAM 활동에 몰입할 수 있었던 이유로는 융합적 사고의 적용, 실생활 관련 문제, 모둠원 간의 소통이라고 답하였다.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아동간호 시뮬레이션이 간호학생의 불안, 자기효능감 및 비판적사고 성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iveness of Child Nursing Simul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 on Nursing Student's Anxiety, self-efficac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 심가가;손미선;지은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299-308
    • /
    • 2017
  • 본 연구는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아동간호 시뮬레이션이 간호학생의 불안, 자기효능감 및 비판적사고 성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시도된 단일군 사전사후 설계(one group pre test-post test design)연구이다. 대상자는 C시에 소재한 일개 대학교의 간호학과 4학년 재학생 62명이다.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아동간호 시뮬레이션은 사전학습 및 오리엔테이션 60분, 시나리오 구현 60-80분과 성찰일지 작성 및 디브리핑 30분 등을 포함하여 실습조별로 약 3.5시간동안 진행되었다. 자료수집은 2016년 3월에 시작되어 2016년 12월까지 진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의 기술 통계 및 paired t-test, pearson's correl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아동간호 시뮬레이션 후 간호학생의 불안(p<.001)은 역할극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며, 자기효능감(p<.001)과 비판적사고 성향(p<.001)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은 간호학생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자기효능감과 비판적사고 성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간호학 교육에서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은 간호학생의 핵심역량을 강화시키므로 다양한 시나리오를 개발해야 함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