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ommunication Competency Analysis and Development Plan of Educational Content for Engineering Undergraduates

이공계 대학생의 커뮤니케이션 역량 분석 및 교육콘텐츠 개발 방안 연구

  • Received : 2017.04.18
  • Accepted : 2017.05.05
  • Published : 2017.05.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and analyze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of engineering undergraduates and to develop educational content in order to improve that. In this study, communication competency of engineering undergraduates was categorized into three areas: critical thinking, scientific communication, and media literacy. As a means to improve communication competency, the experience with and perception of writing were investigated.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of undergraduates needs to be improved overall. There is a high need for writing programs that enhance critical thinking oriented around practice. It suggests flipped learning based on smart education, E-community, problem-solving programs based on action learning, cooperative learning programs, reflection journals & portfolio, and collaborative writing programs as educational cont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design competency-based communication curriculum and practical applications for engineering undergraduates.

본 연구는 이공계 대학생들의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범주화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향후 이공계 대학생의 커뮤니케이션 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 콘텐츠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 이공계 대학생의 커뮤니케이션 역량은 비판적 사고력, 과학적 소통력, 미디어리터러시 세 영역으로 범주화 하였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써 이공계 글쓰기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이공계 대학생의 커뮤니케이션 역량은 전반적으로 향상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습중심의 비판적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글쓰기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교육 콘텐츠로는 플립러닝 등 스마트교육기반 프로그램, E-커뮤니티, 액션러닝 기반 문제해결력 향상 프로그램, 협동학습 프로그램, 성찰 저널 및 포트폴리오, 협업형 글쓰기 프로그램 등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이공계 학생을 대상으로 한 커뮤니케이션 역량중심 교육과정 설계와 현장에서의 구체적인 적용과 실천 지침을 제공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신동주, 융합교육정책의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행정학, 박사학위논문, 2013.
  2. 이진로, "이공계 대학생과 이공계 분야 전문가의 커뮤니케이션 역량 평가와 향상을 위한 교육방안 연구,"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제23권, 제3호, pp.5-30, 2015.
  3. 오윤정, 과학자와 이공계 대학생의 과학 글쓰기에 대한 경험과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4. 정소연, 김상철, 박준영, 유병준, 조용민, "이공계 전공 글쓰기 교육의 실태 및 현실적인 교육방안:서울대학교와 해외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제14권, 제4호, pp.20-28, 2011.
  5. 노상도, 강무진, 권영돈, 손미애, 신동렬, 한신일, 과학기술 커뮤니케이션, 시그마 프레스, 2009.
  6. 한국은, 원상봉, "국내 이공계 대학생의 의사소통교육 인식조사," 실천공학교육학회, 제5권, 제2호, pp.151-161, 2013.
  7. 이용주, 인문사회과학과 이공학 융합교육과정 개발 및 활용을 위한 기획연구, 광주과학기술원, 2012.
  8. 김연종, "대학생의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갈등해결전략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제22권, 제3호, pp.5-23, 2014.
  9. 손요한, "개념도 방법론을 활용한 대학신입생의 상담요구 분석," 전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 제29권, 제1호, pp.151-167, 2013.
  10. 김경화, 류여진, 대학생을 위한 학습법 가이드북, 한국해양대학교, 2016.
  11. 김명숙, "Rasch 측정모형에 의한 K 비판적 사고성향 검사의 양호도 검증," 제20권, 제2호, pp.101-124, 2007.
  12. 김영정, 비판적 사고와 학술적 글쓰기, 서울대학교 교수학습센터 글쓰기교실, 2004.
  13. 정민이, 비판적 사고를 강조한 과학 글쓰기 REDFREC 모형의 개발과 적용,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14. A. Vrugt and F. J. Oort, "Meta cognition, achievement goals, study strategies and academic achievement: pathways to achievement," Meta cognition and Learning, Vol.3, No.2, pp.123-146, 2008.
  15. 최성연, "과학 커뮤니케이션 소양 검사도구의 개발 및 적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제13권, 제2호, pp.353-376, 2013.
  16. M. Y. Ghiasvand,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rategies and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information processing approach,"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Vol.5, pp.1033-1036, 2010. https://doi.org/10.1016/j.sbspro.2010.07.231
  17. 강정묵, 송효진, 김현성, "스마트시대의 디지털 리터러시 측정을 위한 진단도구의 개발과 적용,"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제17권, 제3호, pp.143-173, 2014.
  18. 안정임, "연령집단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 비교 연구," 학습과학연구, 제7권, 제1호, pp.1-21, 2013.
  19. 정다교, 청소년의 소셜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역량모델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0. 박상태, "이공계 대학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율전캠퍼스 사례를 중심으로," 작문연구, 제7호, pp.301-326, 2008.
  21. 구본혁, 허서정, 이희숙, 김창석, "MOOC를 활용한 플립러닝의 효과성 분석 및 수업 방안," 한국지능시스템학회, 제24권, 제2호, pp.149-151, 2014.
  22. 이희숙, 김창석, "플립러닝 학습이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한국컴퓨터교육학회, 제19권, 제1호, pp.143-147, 2015.
  23. 김경화, 조용개, 이은화, 김진숙, 대학생 학습이력 및 경력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해양대학교, 2015.
  24. H. Crompton, J. Dunkerly-Bean, and M. Giannakos, "Flipping the Classroom in Higher Education: A Design-Based Research Study to Develop a Flipped Classroom Framework," In Society for Information Technology & Teacher Education International Conference, Vol.14, No.1, pp.2763-2766,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