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flection thinking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22초

초등 6학년의 학교 통계와 통계적 소양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chool Statistics and Statistical Literacy of 6th Graders in the Elementary School)

  • 임다미;박영희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91-41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이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확률과 통계에 대해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지 진단하고 통계적 소양과 어떻게 관련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래서 통계적 소양의 이론적 틀을 분석하고, 교과서 내용과 연관되는 요소를 찾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확률과 통계의 내용에 대한 성취 정도와 통계적 소양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 6학년의 통계적 소양과 관련하여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보완해야 될 요소를 알아보았다.

  • PDF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학 교사 연수 실행 - 산파법을 적용한 사고 실험 활동을 중심으로 - (Performing Mathematics Teacher Training for a Professional Development - Focusing on thought experiment activities by Socratic method -)

  • 김남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4권4호
    • /
    • pp.537-55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 교육의 방향을 점검하고, 이를 반영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교사 연수는 2014년 7월 수학과 1급 정교사 자격 연수과정에 참가한 중등 수학교사 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수 과정에서 교사들은 산파법을 적용한 수학 학습 지도 과정을 구상하고, 이를 교사와 학생간의 대화 양식으로 기록하는 사고 실험 실습을 하였다. 사고 실험 실습 과정은 좋은 수학수업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교사의 역량과 반성적 실천가로서의 태도를 함양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연수를 통해 교사 교육자와 동료 교사들의 실천 사례가 공유되면서 교사의 배움이 확장되고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해 학습 공동체 연구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교사 연수의 실행 과정과 그 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한다.

  • PDF

중등예비수학교사의 수업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포트폴리오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Utilization of Teaching-Learning Portfolio for Improvement of Teaching Competency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 강현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3호
    • /
    • pp.567-584
    • /
    • 2014
  • 최근 교사의 전문성 중 가장 핵심이 되는 수업 전문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2012년 수학교육선진화 방안 발표 후 수학 교사의 수업 능력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수학 교사의 수업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예비수학교사 시기에서부터 교육 경험이 필요하다. 예비수학교사의 수업 능력 개발 및 강화를 위해서는 교육적 실행과 관련하여 자신의 실천을 체계적으로 반성하고 개선해 나아가는 경험이 필요하다. 즉, 반성적 사고와 실천적 지식의 함양을 위한 수업 실습에 관한 이론과 실천 양면의 체계적인 실행과 지도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예비수학교사의 수업능력 향상을 위해 실행 가능한 교수-학습 포트폴리오의 구성요소 및 적용절차를 개발하였다. 또한 수업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포트폴리오 작성 후 설문조사를 통하여 예비수학교사의 수업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으며, 수학교사 교육을 위한 발전적인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환경콜라주 제작수업이 영재학생들의 환경인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Environmental Collage Making Class on Environmental Perception of the Gifted students)

  • 김순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1067-1076
    • /
    • 2010
  • How would environmental education be implemented for effectiveness today? Deep reflection on the way of teaching environment in classes to achieve effectiveness is required. If there exist differences in students' environmental perception depending on environment class pattern, its most effective way should be looked for. In environmental education, inducing the students to have advisable attitude voluntary about environment is more important than teaching them environmental knowledge. From such view,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is necessary for successful environmental classes. Students need to be set to share their principle, values, attitude about environment problems at environmental class through presentation which is important factor to make them have advisable environmental attitude. Therefore, environmental class need to be carried out student-led way. For that, a class model need to be designed which will be helpful for the students to arrange and elaborate their emitting thought about environment problems through disclosing their thoughts to share them with fellow students which will end up in their advisable environmental attitude.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environmental collage making class contributive to offering various environmental perception to students and grasping others' thinking about environment. Fifty-eight 10th graders at U Science High School in Ulsan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at carried out from 2010 April to June by choosing total 10 environmental themes divided into environmental collage making class applied to the 30 test group students, and general environmental class applied to 28 control group students. Following are the study results. First, in students' environmental sensitivity, the students in the environmental collage making class appeared to be higher compared with them in general environmental class. Second, in students' intentional environment action, the students in the environmental collage making class appeared to be higher compared with them in general environmental class. Third, in students' satisfaction with environmental class, the students in the environmental collage making class appeared to be higher compared with them in general environmental class.

디지털 세대를 위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활동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Digital Storytelling Activity Model for Digital Generation)

  • 조미헌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647-656
    • /
    • 2017
  •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학생들이 스토리를 기획 구성하고,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여 결과물을 제작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디지털 스토리텔링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은 디지털 세대에 요구되는 창의성, 의사소통 능력, 비판적 사고력, 협동과 같은 역량들을 신장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스토리의 프로슈머가 되어 스토리의 기획 및 구성은 물론 기획한 스토리를 디지털 자료로 제작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디지털 스토리텔링 활동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은 '활동 준비', '스토리 기획 및 구성', '스토리텔링 자료 제작', '자료 발표 및 평가' 등과 같은 4가지 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에 대한 활동 지침들을 제공하였다. 또한 각 단계별 활동을 돕기 위하여 스토리 기획서, 스토리 테이블, 팀간 평가지, 개별 성찰지 등의 양식들을 제공하였다.

OECD Education 2030 교육과정 내용 맵핑 본검사 참여 연구 : 수학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ntent curriculum mapping of Korea in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Focused on mathematics)

  • 조성민;이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8권4호
    • /
    • pp.507-518
    • /
    • 2019
  • OECD는 학습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국제 비교 연구의 일환으로 교육과정을 분석하는 Education 2030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수행된 국어, 수학, 사회/역사, 과학, 체육, 예술(미술/음악), 기술·가정/정보 교과에 대한 교육과정 내용 맵핑 연구(Curriculum Content Mapping, 이하 CCM)의 본 검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CCM 본검사에 참여한 결과 중 수학과의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우리나라 2015 개정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CCM 프레임워크의 역량이 어느 정도로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육과정 국제 비교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수학 교사 교육과 산파법의 교육적 적용 (Education for Mathematics Teachers and Educational Using of Socrates' Method)

  • 김남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1권1호
    • /
    • pp.39-5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중등 수학과 1,2급 자격 연수 과정에 참여한 수학 교사 80명을 대상으로 산파법을 소개하고 산파법을 적용한 지도 사례를 구성해 보는 활동을 실행하였다. 이를 통해 수학 교사들이 산파법을 교육 현장에서 의미 있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산파법을 적용한 다양한 교육적 사례에서 산파법 실행의 방법적 아이디어를 얻을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파법이 접목되어 있는 실험수업의 내용을 소개하면서 학교 현장의 수학 수업에서 산파법을 적용하는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수학 문제 해결 과정과의 접목, 인지적 장애 극복의 과정 지도, 수학적 사고와 태도의 신장을 유도하는 질문, 증명지도에서는 결론 탐색 및 분석 과정 살림, 반성 수정 개선 과정으로서의 수학학습을 구성하는 것이 산파법을 의미 있게 적용하는 방안의 일부가 될 수 있음을 예시하였다.

  • PDF

공학교육에서의 Active Learning 교수-학습 모형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Active Learning in Engineering Education)

  • 김나영;강동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22권6호
    • /
    • pp.12-2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ment of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active learning in engineering education. For this, the adequacy between educational objectives and active learning activities is verified and furthermore an "active learning teaching-learning model" is suggested. This suggested teaching-learning model is expected to supplement weakness of traditional lecture-type teaching-learning activit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first, the representative activities of active learning were derived. there are twenty active learning activities, which compose of five of individual learning activity, five of pair-learning activity and five of group-learning activity, and five of alternative- learning activity. In addition, a survey on adequacy between designed active learning activities and learning outcomes were conducted to ten educational experts. Lawshe's content validity calculation method was applied to analyze the validity of this study. Second, five teaching-learning principles, such as thinking, interaction, expression, reflection, and evaluation were derived to develop an "active learning teaching-learning model" which supplements lecture-type classes and then the "TIERA teaching-learning model" which consists of five stages was designed. Finally, based on the survey on educational experts, adequate active learning activities were proposed to apply in each stage of the "TIERA teaching-learning model" and as a result the TIERA model's active learning activities were develope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some activities of active learning are appropriate to induce high cognitive learning skills from the learners even in traditional lecture-type classrooms an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meaningful direction to new paradigm of teaching-learning for engineering education.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instructors of engineering education can turn their traditional teaching-learning activities into dynamic learning activities by utilizing "active learning teaching-learning model".

반성적 문제 만들기 활동이 초등학생들의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eflective Problem Posing Activities on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 배준환;박만구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11-331
    • /
    • 2016
  • 본 연구는 학습자 스스로 수학적 오류를 분석하고 반성적 문제 만들기 활동을 하도록 한 것이 문제해결력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특별시 강서구에 소재한 초등학교 5학년 2개 반(62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반성적 문제 만들기 활동은 학생들로 하여금 구하고자 하는 것을 파악하는 능력과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조건을 선별하여 활용하는 능력을 향상시켜 학생들의 문제해결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학습자가 가지고 있었던 수학적 오개념을 수정하고 올바른 수학적 개념을 정립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그리고 반성적 문제 만들기 활동은 학생들의 수학적 의지를 향상시키고 반성적 사고를 촉진시키며, 반성의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풀이 과정을 점검하는 습관을 갖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학습자는 반성적 문제가 올바르게 만들어졌는지 점검하고 이것을 바르게 해결하기 위해, 토의 활동에서 타인과의 수학적 의사소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과 함께 끝까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집착력을 강하게 나타냈다.

Examination of Implicit Interactivity in Wiki-based Learning in University

  • 서봉현;강인애;남선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년도 제42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8권2호
    • /
    • pp.485-491
    • /
    • 2010
  • The arrival of the Web 2.0 age, which is characterized by such key words as participation, sharing and openness, provides a learning environment in which both instructors and students can experience interactivity. In the educational area, we are particularly witnessing a growing interest in the social software like Wiki as one of the communication tools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Web 2.0 and focuses on the interactivity with others.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examine into the meanings of interactivity inherent in the Wiki-based learning by studying such cases where Wiki is being used as a learning tool. For the purpose of our study, we practiced the Wiki-based learning method on the study subjects of the 17 junior students from U- University and 18 junior students from K- University during their 2009 fall semester teacher training courses.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s, interviews, Interactivity Measurement Diagram, examinations on the Wiki uses, Daily Self-reflection Records, and any other materials collected throughout the program, we could garner the following results: First, most of the students acknowledged that the use of Wiki was a useful communication means and helped promote their interactivity during their learning activities. Second, the interactivity of the Wiki-based learning was found to be more dynamic in the team-based projects or the community-based Wiki uses than in the instructor-oriented cases. Third, the Wiki-based learning is judged effective in expanding the scope of thinking and improving the learning capabilities through the collaborative knowledge-building process. The educational employment of the social software like Wiki in this web 2.0 age has great potentials for the true establishment of the learner-oriented learning environment, which has long remained at a standstil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