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ference books

검색결과 215건 처리시간 0.029초

콜론분류법에 바탕한 자동분류시스템의 개발에 관한 연구 - 농학 및 의학 전문도서관을 사레로 - (Developing an Automatic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Colon Classifica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Books housed in Medical and Agricultural Libraries)

  • 이경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3권
    • /
    • pp.207-261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design and test a database which can be automatically classified, and (2) to generate automatic classification number by processing the keywords in titles using the code combination method of Colon Classification(CC) as well as an automatic recognition of subjects in order to develop an automatic classification system (Auto BC System) based on CC which can be applied to any research library. To conduct this study, 1,510 words in the fields of agricultrue and medicine were selected, analized in terms of [P], [M], [E], [S], [T] employed in CC, and included in a database for classification. For the above-mentioned subject fields, the principle of an automatic classification was specified in order to generate automatic classification codes as well as to perform an automatic subject recognition of the titles included. Whenever necessary, editing, deleting, appending and reindexing of a database can be made in this automatic classification system. Appendix 1 shows the result of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of books in the fields of agriculture and medicin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below. 1. The classification number for the title of a book can be automatically generated by using the facet principles of Colon Classification. 2. The automatic subject recognition of a book is achieved by designing a database making use of a globe-principle, and by specifying the subject field for each word. 3. The automatic subject-recognition of input data is achieved by measuring the number of searched words by each subject field. 4. The combination of classification numbers is achieved by flowcharting of classification formular of each subject field. 5. The efficient control of classification numbers is achieved by designing control codes on the database for classification. 6.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by means of Auto BC has been proved to be successful in the research library concentrating on a Single field. The general library may have some problem in employing this system.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through Auto BC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1. Speed of the classification process can be improve. 2. The revision or updating of classification schemes can be facilitated. 3. Multiple concepts can be expressed in a single classification code. 4. The consistency of classification can be achieved with the classification formular rather than the classifier's subjective judgement. 5. A user's retrieving process can be made after combining the classification numbers through keywords relating to the material to be searched. 6. The materials can be classified by a librarian without subject backgrounds. 7. The large body of materials can be quickly classified by means of a machine processing. 8. This automatic classification is expected to make a good contribution to design of the total system for library operations. 9. The information flow among libraries can be promoted owing to the use of the same program for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 PDF

$\ll$침구대성(鍼灸大成)$\gg$의 문헌적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Documentary Characteristics of $\ll$Chimgudaesung(鍼灸大成)$\gg$)

  • 김기욱;박현국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5권6호
    • /
    • pp.125-133
    • /
    • 2008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ll$Chimgudaesung$\gg$ on documentary characteristics such as truth or falsehood of authors, editions, the relationship of $\ll$Hyeongibiyo(玄機秘要)$\gg$. Materials and Methods : Based on Hwangyongsang(黃龍祥)'s study, the author of $\ll$Chimgudaesung$\gg$, the number of volumes and edition, basic contents and constitution, characteristic of reference, and the documentary research results will be arranged. Results and Conclusions : 1. $\ll$Chimgudaesung$\gg$ was made by Geunhyeon based on Yanggyeju(楊繼洲)'s $\ll$Hyeongibiyo$\gg$, and in the 29th year of the Manryeok(萬曆) era Jomunbyeong(趙文炳) saw to the inscription. Therefore, the author must be recorded as 'Originally by Yanggyeju of the Myeong(明) dynasty, revised by Geunhyeon'. 2. The existing Myeong dynasty editions are mostly Leewolgyu(李月桂)'s 'Jungsu edition(重修本)' from the 14th year of the Sunchi(順治) era of the Qing(淸) dynasty and Wangbo(王輔)'s 'Chesu edition (遞修本)' Leewolgyu and Wangbo's preface was deleted and the original text was supplemented from the 37th year of the Ganghui(康熙) era. There are many traces of revision, supplementation and copying by people of later generations in these editions. 3. The 'Chukin edition(縮印本)' of $\ll$Chimgudaesung$\gg$ is mostly a merge of the Myeong dynasty editions and used much of the new revised 'Chesu edition'. This editions should not ever be used again as an original in putting the $\ll$Chimgudaesung$\gg$ in order. 4. After $\ll$Chimgudaesung$\gg$ was published Jomunbyeong had a craftsman publish 4 drawings of $\ll$Donginmyeongdangdo(銅人明堂圖)$\gg$, of which the originally published ones were w drawings of the front and rear, and when Jomunbyeong republished he added 2 Cheukindo(側人圖) of the frontal side(正側) and rear side(背側). 5. When Geunhyeon edited $\ll$Chimgudaesung$\gg$ only 14 medical books were used and quotes copied from other texts were always reedited. Most of the origins of the collected text are shown under the index, but many do not match with the original text. Also many documents were copied from medical books from later times and not the primal text. 6. The annotated sections of $\ll$Chimgudaesung$\gg$ such as 'Yangsi(楊氏)', 'Yangsijip(楊氏集)', 'Yangsijuhae(楊氏注解)', 'Hyeongibiyo' are all from Yanggyeju's $\ll$Hyeongibiyo$\gg$. Of these the origins for the sections marked 'Yangsijip' can be found, but some of the origins for sections annotated 'Yangsi' cannot be found.

  • PDF

지목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ategories of Land Use)

  • 이춘원;김진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5권1호
    • /
    • pp.31-43
    • /
    • 2015
  • 과거에는 토지 분류의 목적이 단순히 과세를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되는 측면에 그쳤으나, 오늘날에는 과세자료로 제공되는 측면이외에도 행정업무를 비롯한 국토계획, 토지의 개발, 도시정비 등에서는 물론이고 토지의 사법상 거래에서도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되고 있으며, 향후에 그 기능을 더욱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목의 기능을 확대하려면, 수요적인 측면에서 지목이 현실적으로 적용되는 개별법령의 시각에서 지목의 분류를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현실지목과 공부상 지목의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현실적인 토지의 사용현황을 조사하여 공부에 정확히 반영하는 것이 궁극적인 해결방법이지만, 이와 더불어 각종 토지관련 규제법에서 토지에 대한 독자적인 분류체계를 취하는 것을 통일하여 국민의 혼선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현행법상 서로 다른 지목이더라도 행정상 동일한 규제를 한다면, 같은 유형의 지목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통합지적법상 지목의 분류를 다른 토지 규제 법률과 체계상 정합성을 가지도록 새로운 분류체계를 마련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온라인 동영상 환경에서의 세렌디피티 요인에 관한 탐색 (Exploring the Factors of Serendipity in Online Video Environment)

  • 백소담;이원영;채안병;황은영;김성우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5-33
    • /
    • 2017
  • 현재의 동영상 서비스 시장은 방대한 양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새롭고 재미있는 콘텐츠 발견'에 대한 사용자들의 니즈를 완전히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에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분야에서는 추천이나 프로모션과 같이 사용자의 시청 동기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키는 영역에서의 기술/사용경험의 연구가 꾸준히 제기된다. 사용 동기를 향상 시키는 효과적인 한 방법은 사용자가 서비스의 사용 과정에서 즐거움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사용의 즐거움을 제공하는 전략으로 '뜻밖의 재미있는 발견'에 주목하였다. 마치 우연히 발견한 좋은 분위기의 카페나 예기치 않았던 장소에서 우연히 만난 친구처럼 '뜻밖의 기쁨, 우연한 발견'을 뜻하는 '세렌디피티(serendipity)'가 적용되면 서비스의 사용에 즐거움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보았다. 본 연구는 온라인 동영상 환경에서의 세렌디피티를 '뜻밖의 즐거움을 주는 콘텐츠의 우연한 발견'으로 정의한다. 연구에서는 1차적으로 폭넓은 문헌 고찰을 통해 세렌디피티의 다양한 속성들을 이론적으로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사용자 조사 다이어리를 통해 문헌 고찰만으로는 발견하기 힘든 온라인 환경에서의 세렌디피티의 속성을 추가적으로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한 세렌디피티의 속성에 대해 각 항목을 평가 문항으로 작성하여 유튜브 환경에서 실험을 진행함으로써 동영상 환경에서 발견되는 세렌디피티 속성을 확인하고 이를 유발하는 잠재적 요인에 대해 관찰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동영상 환경에서 세렌디피티를 유발하는 4가지 요인을 실증하고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세렌디피티의 개념적 이해를 돕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를 비롯한 IT 분야에서 세렌디피티의 역할이나 작용을 분석하고자 하는 후속 연구에 유용한 참고 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갖는다.

베스트셀러 순위가 공공도서관 대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패널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the Bestseller Ranks on Public Library Circulation: Based on Panel Data Analysis)

  • 이종욱;강우진;박중규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2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베스트셀러 목록에 포함된 도서의 순위가 공공도서관에서의 평균 대출 건수에 미치는 영향을 패널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문화 빅데이터 플랫폼을 통하여 국립중앙도서관이 제공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2018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29일까지 총 104주 동안의 분석 대상 도서 179권의 공공도서관 대출 데이터 세트를 생성하였고, YES24 웹사이트를 통해 같은 기간 주간 베스트셀러 목록 데이터 세트를 구축하였다. 공공도서관 대출과 베스트셀러 도서 순위 간 정확한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패널자료의 특성을 활용한 분석 방식인 선형회귀모형, 고정효과모형, 확률효과모형 등 세 개의 모형을 비교한 결과, 고정효과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순위 데이터 결측값이 47주 미만인 179권의 도서의 자료를 고정효과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도서의 베스트셀러 순위가 한 단계 내려가면 공공도서관에서의 해당 도서 평균 대출 건수가 0.108권 유의미한 수준에서 감소한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또한, 베스트셀러 순위가 도서 평균 대출 건수에 미치는 효과가 도서의 내용분류에 따라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베스트셀러 순위가 사람들의 도서관 대출행태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한 것으로, 공공도서관에서는 이용자의 요구를 예측하고, 장서 개발 정책 수립에 베스트셀러 목록을 비롯한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소아과 관련 학회지에 실린 논문들의 참고문헌 정확도와 인용행태 분석 (Accuracy of References in Journal of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and Journals of the Korean Pediatric Subspecialty Societies and Citation Pattern Analysis)

  • 조길호;이미경;한만용;김영래;김서정;이규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11호
    • /
    • pp.1325-1331
    • /
    • 2002
  • 목 적: '소아과'학회지와 소아과와 관련된 분과학회지에 실린 논문들의 참고문헌의 정확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자주 인용되는 참고문헌들을 분석하여 연구자들의 인용행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0년도에 발행된 '소아과'학회지 3권과 2000년도에 발행된 9종의 소아과 분과학회지 한권씩을 골라 참고문헌의 정확도를 인터넷의 Medline에 들어가 일일이 비교하였다. 1964년 이전의 논문, 단행본, 영어 이외의 다른 언어로 쓰여진 논문은 인용행태 분석으로 활용하였다. 결 과 : 1) 각 학회지별 항목별 오류율은 저자에서 틀린 경우가 21.3%로 가장 높았고 논문 제목, 페이지, 학회지 이름, 권호, 발행년도 순이었다. 전체 오류율은 평균 34.7%였으며 전체 찾을 수 없는 경우는 89개로 2.2% 였다. 2) '대한신생아학회지'가 17.4%의 가장 낮은 오류율을 보였고 '소아심장'이 53.2%로 가장 높은 오류율을 보였다. 3) 최근 3년간 자료를 인용한 건수는 612개(15%)로 최신 논문 인용빈도가 매우 낮았다. 4) 외국 논문을 대부분 인용(78.4%)하였으며 국내 학회지 중 '소아과'학회지가 43.3%로 가장 많은 인용빈도를 보였다. 결 론 : 참고문헌의 정확도는 궁극적으로 저자들의 책임이다. 그러므로 저자들이 책임감을 가지고 참고문헌의 정확도를 점검하여야 한다. 또한 연구자들은 더 많은 최신 자료와 국내 자료를 활용하여야 한다.

Women's Body Exposure in Leisure Wear during the 1930s -Focused on Bathing Suits, Shorts, and Halters-

  • Lee, Yhe-Young;Farrell-Beck, Jane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92-600
    • /
    • 2012
  • Social reactions to body exposure in American leisure wear (bathing suits, shorts, and halters) in the 1930s were analyzed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adopting more abbreviated and less-occasion specific styles of garments in women's fashio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 How did women expose their bodies in leisure wear during the 1930s? How did the social reaction to women's body exposure in leisure wear change throughout the 1930s? How did the body exposure in women's leisure wear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history of women's fashion? Primary sources were collected from issues of The New York Times published in the 1930s. Topics including dress, fashion, ethics, social ethics, and sexual ethics, were reviewed in The New York Times indices. The findings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with reference to secondary sources that included books and research pap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ody exposure of the styles as well as the place where these styles were worn was a public issue. Women were criticized and regulated for body exposure as well as for wearing bathing suits, shorts, and halters on the streets. However, the social regulations that restricted bathing suit styles almost disappeared by the end of the decade. This represented the change of social expectations toward body exposure in the 1930s. In addition, reports of laws that forbade the wearing of bathing suits, halters, and shorts outside of beaches, pools, and parks indicated women's increased attempts to expose their bodies in public places. However, reactions to women's body exposure in leisure wear changed to accept more flexibility in the social customs throughout the decade. These phenomena were a partial step toward the popularization of less occasion-specific styles - sportswear - that took place in the 20th century.

『의학입문(醫學入門)』 오장계(五臟系)에 대한 해부학적(解剖學的) 고증(考證) (An Anatomical Study on the Networks of Five Viscera in Yixuerumen)

  • 정혁상;백유상;김도훈;정창현;장우창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67-184
    • /
    • 2017
  • Objectives : The paper attempted to analyze the contents found in the networks of five viscera in Yixuerumen's Zangfutiaofen published by Li Chan in 1575, and tried to reveal the body structure dealt in the contents through anatomical verification. Methods : Books such as Huataxianshengneizhaotu, Tushupian, and Shisijingfahui were used to compare, understand, and interpret the original texts and annotations of Yixuerumen in an attempt to verify these through anatomy reference texts and computer programs. Results : In Yixuerumen, some contents of the networks of five viscera were revised to see feixi as not one but two, and explained the relationship of intestinal organs through heart and lung. Anatomically speaking, the networks of five viscera has a vertical structure that unfolds top to bottom centering on aorta, and has many organs connected to it such as trachea, esophagus, splenic artery, pulmonary trunk, ureter, mesentery arteriovenous, gonadal artery, and ductus deferens. Conclusions : The networks of five viscera has a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is the fruit of much efforts where oriental medicine tried to explain not only the functions of five viscera, but also the creation and circulation of qi, blood, and bodily fluids through anatomical observation.

모바일 기반의 건설현장 업무처리 지원시스템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the System for Supporting Mobile-based Work Process in Construction Site)

  • 김성진;김태학;옥현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6권4호
    • /
    • pp.50-57
    • /
    • 2017
  • 국내 스마트폰 시장은 아이폰, 캘럭시 시리즈 등이 대중화에 성공하면서 빠르게 성장하였다. PC에 탑재된 기능과 더불어 모바일에서 사용되는 추가 기능을 제공하고, 시각적인 측면과 이동성이 뛰어나 여러 산업분야에서 이를 적극 도입하고 있다. 현재 물류관리, 차량관리, 교육,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으며, 특히 건설분야는 건설기술자의 현장업무에서 모바일기기를 활용하여 처리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건설사업관리시스템과 모바일기기를 함께 연동하여 자료조회, 검측업무 등을 현장과 현장사무소에서 함께 처리할 수 있도록 업무지원시스템 개발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건설분야의 모바일 연구동향를 조사하고, 건설사업관리시스템에서 모바일 서비스가 가능한 업무를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업무 뿐만 아니라 모바일 업무로 가능한 검측업무 등을 새로운 프로세스에 따라 처리할 수 있도록 시스템 개발방안을 제시하였다.

뇌졸중 환자에서 한방치료식의 인지도 및 요구도 조사와 문헌고찰을 통한 한방 치료식단(藥膳) 개발 (Study of Recognition and Necessity of Oriental Medicinal Menu, and Development of Oriental Therapeutic Menu for Stroke Patients)

  • 임현정;김윤영;정재우;조여원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4권1호
    • /
    • pp.36-5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oriental therapeutic menu(Yak-sun) through the recognition and necessity of oriental medicine diet in stroke patients admitted to K Oriental Medical Hospital. From May to July 2007, the 73 stroke patients were surveyed for the recognition and necessity of oriental therapeutic menu. The oriental therapeutic menu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literature of oriental medicine books and research papers. The developed two week cycle of menus were then reviewed by the experts and specialists. The sensory evaluation and nutritional analysis of the menu were followed. The stroke pati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did not know about the oriental medical diet, however, 61.6% of the patients had interest. Most of the patients expected the efficacy of oriental therapeutic diets. Total of forty three medical herbs and ten herb-combined prescriptions were used in the menu. The daily average calorie of developed menu was 2,031 $\pm$ 57.6 kcal and the most of nutrients met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KDRIs). The caloric ratios of carbohydrates, protein, and lipid were 61.3%, 18.7%, 20.0%, respectively. The average values of cholesterol(194 $\pm$ 57.5 mg/day), sodium(3,078 $\pm$ 678.5 mg/day), calcium(1,099 $\pm$ 140.1 mg/day), and dietary fiber(33 $\pm$ 7.0 g/day) were met Korean dietary guide line for stroke patients. Oriental therapeutic diet might be unfamiliar to the hospital patients even though they had interest in and favorable thought about it. Implements of oriental therapeutic diet to the hospital patients might be useful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in the hospita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