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pepper anthracnose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5초

고추 탄저병 발생에 따른 수량변화와 방제수준 설정 (Yield Loss Assessment and Determination of Control Thresholds for Anthracnose on Red Pepper)

  • 김주희;정성수;이기권;임주락;최선우;이왕휴
    • 식물병연구
    • /
    • 제21권1호
    • /
    • pp.6-11
    • /
    • 2015
  • 고추 탄저병 요방제 수준을 설정하기 이하여 시험한 결과 노지 고추 수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수준의 탄저병 방제적기는 발생정도가 0.9% 이하이었으며, 노지고추 탄저병 발생정도와 수량과의 회귀식은 Y = -16.83X + 327.57, $R^2=0.83$ 성립하였다. 비가림 재배(무강우 조건) 고추의 수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수준의 탄저병 방제적기는 발생정도가 1.7% 이하이었으며, 고추탄저병 발생정도와 수량과의 회귀식은 Y = -4.92X + 361.02, $R^2=0.84$ 성립하였다. 비가림 재배(강우 조건) 고추의 수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수준의 탄저병 방제적기는 발생정도가 2.3% 이하이었으며, 고추 탄저병 발생정도와 수량과의 회귀식은 Y =-5.91X + 359.71, $R^2=0.76$ 성립하였다.

고추 탄저병 방제제 Burkholderia lata CAB13001 선발 및 포장방제 효과 (Selection of Antifungal Bacteria Burkholderia lata CAB13001 for Control on Red Pepper Anthracnose and Its Control Efficacy in Field)

  • 함수상;김병련;권미경;한광섭;박인희;서경원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49-660
    • /
    • 2018
  • Colletotrichum acutatum에 의해 발생하는 고추탄저병을 방제하기 위해 토양 근권으로부터 분리한 미생물 중 길항효과가 있는 미생물을 선발하여 주요 작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 효과와 포장에서의 방제효과를 검정하였다. 기내 대치배양법을 이용한 길항력을 검정하였을 때, CAB13001 균주는 고추 탄저병을 일으키는 Colletotrichum acutatum을 포함한 식물 병원균 Sclerotinia cepivorum, Sclerotinia sclerotium, Botrytis cinerea에 대한 뛰어난 항균활성 효과를 보였다. 또한 풋고추를 이용한 생체 검정에서 선발균주는 고추 탄저병의 병반진전 억제효과가 우수하였으며, 포장에서의 방제가 역시 무처리 대비 82.4%로 매우 우수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CAB13001 균주는 공기 전염을 하는 고추 탄저병의 생물적 방제제로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본 연구에 사용된 길항미생물 CAB13001 균주는 16s rRNA gene의 계통학적 위치를 분석한 결과 Burkholderia lata로 동정하였다.

Evaluation on Red Pepper Germplasm lines (Capsicum spp.) for Resistance to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acutaum

  • Kim, Jeong-Soon;Jee, Hyeong-Jin;Gwag, Jae-Gyun;Kim, Chung-Kon;Shim, Chang-Ki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6권3호
    • /
    • pp.273-279
    • /
    • 2010
  • We evaluated 209 Capsicum accessions from the National Agrobiodiversity of RDA, for their reaction against of anthracnose disease caused by Colletotrichum acutatum. Two hundred nine accessions of Capsicum were almost composed with Capsicum annuum var. annuum originated from 37 countries. The percentage of infection due to C. acutatum ranged from 11.1% to 100% on immature and matured pepper fruits at 21 days after inoculation. On immature fruits of pepper, one hundred seventy three accessions of tested pepper were found infected with C. acutatum. Out of the 173 accessions, eighty five accessions were susceptible to anthracnose with dark brown to black lesions and slowly increased in size at 21 days after inoculation. Only thirty six accessions showed resistance against C. acutatum. On mature fruits of pepper, one hundred ninety eight accessions were infected with C. acutatum at 21 days after inoculation. Twenty one accessions showed a resistance reaction against C. acutatum. The results of this work indicated that all of resistance accessions to C. acutatum were have a genetic potential for the resources of resistance can be further used in pepper breeding programme against anthracnose and also demand more detailed investigation in this.

고추 탄저병균에 대한 옻나무 추출물의 항진균 효과 (Antifungal Activity of Crude Extract Compound from Rhus verniciflua Against Anthracnose Fungi (Collectotrichum spp.) of Red-Pepper)

  • 송치현;정종배;정병룡;박세영;이용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0-67
    • /
    • 2012
  • 옻나무 주성분인 조추출액의 고추 탄저병균에 대한 항진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1.0 mg urushiol/mL PDA 농도에서 18.3-39.5%의 억제효과가 있었으며, 푸른 고추에 병원성이 강한 것으로 조사된 GC계열의 균주보다는 DC계열의 균주에 대한 효과가 높았다. Urushiol의 농도가 1.0 mg/mL 일 경우 약 70% 정도의 포자가 발아한 PDB 용액에서보다 공시 모든 균주의 포자발아는 50% 이상 억제되었다. 동일한 농도에서 균사생장억제 효과 보다는 포자발아에 대한 억제 효과가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푸른 고추와 붉은 고추에 옻 추출액을 처리하고 공시 탄저병균을 접종한 후 병 발생 억제효과를 in vitro에서 검정한 결과 붉은 고추에 DC 균주를 접종하였을 경우 1.0 mg/mL 농도 처리에서는 75.0%, 0.1 mg/mL 농도 처리에서는 58.0% 로 나타났으며, 푸른고추에 병원성이 강한 GC 균주를 접종하였을 경우에는 각각 68.1% 및 28.3% 탄저병 발생이 억제되었다. 비닐하우스에서 관행재배방법에 의해 고추를 재배하면서 고추 탄저병이 자연발생하기 시작한 8월 21부터 옻 추출액을 1주일 간격으로 3회 살포하고 최종 살포일 7일 후에 전체 고추 열매 중 이병 열매를 조사하여 옻 추출액의 병 발생 억제정도를 구한 결과 1차 조사한 9월 11일에는 무처리 대조구에 비해 옻 조 추출액을 1.0 mg/mL 처리한 시험구에서는 85.0% 탄저병 발생 억제효과를 보였으나, 0.01 mg/mL 처리구에서는 9.8%의 낮은 억제효과를 보였다. 9월 11일 조사 후 이병 열매를 모두 제거한 다음 동일한 방법으로 옻 추출액을 계속처리하고 10월 2일에 조사한 결과 1차 조사 시기보다 대조구의 이병과율이 훨씬 낮은 7.0% 였으며, 옻 추출액 처리효과는 공시 처리 농도별로 각각 60.0, 54.3 및 10.0%로 조사되었다.

Cultivar Evaluation for Red Pepper under Organic Crop Management in Korea

  • Won, J.G.;Jang, K.S.;Hwang, J.E.;Kwon, O.H.;Jeon, S.G.;Park, S.G.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spc호
    • /
    • pp.195-198
    • /
    • 2011
  • To screen several promising red pepper cultivars, may be adaptable to organic cultivation conditions, seventy six F1 hybrids commercial and eight local purebred red pepper cultivars were tested. Comparing the infection rate of phytophthora blight between commercial (F1 hybrid) and local (Purebred) cultivars, average infection rate of commercial cultivars was 9.8% and that of local cultivars was 17.8%. But the infected fruits rate of anthracnose in field were similar as 3.3% in commercial (F1 hybrid) and 3.1% in local (Purebred) cultivars. In yield characteristics, average yield of commercial cultivars was 2.89 t $ha^{-1}$ and that of local cultivars was 2.22 t $ha^{-1}$. For organic pepper farmers it is more favourable to cultivation purebred cultivars because they can save to the same quality plant next year's crop. In this study among the local purebred cultivars, two cultivars are promising that their yield near to 3 t $ha^{-1}$ and have disease field resistance.

Biocontrol of Phytophthora Blight and Anthracnose in Pepper by Sequentially Selected Antagonistic Rhizobacteria against Phytophthora capsici

  • Sang, Mee Kyung;Shrestha, Anupama;Kim, Du-Yeon;Park, Kyungseok;Pak, Chun Ho;Kim, Ki Deo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9권2호
    • /
    • pp.154-167
    • /
    • 2013
  • We previously developed a sequential screening procedure to select antagonistic bacterial strains against Phytophthora capsici in pepper plants. In this study, we used a modified screening procedure to select effective biocontrol strains against P. capsici; we evaluated the effect of selected strains on Phytophthora blight and anthracnose occurrence and fruit yield in pepper plants under field and plastic house conditions from 2007 to 2009. We selected four potential biocontrol strains (Pseudomonas otitidis YJR27, P. putida YJR92, Tsukamurella tyrosinosolvens YJR102, and Novosphingobium capsulatum YJR107) among 239 bacterial strains. In the 3-year field tests, all the selected strains significantly (P < 0.05) reduced Phytophthora blight without influencing rhizosphere microbial populations; they showed similar or better levels of disease suppressions than in metalaxyl treatment in the 2007 and 2009 tests, but not in the 2008 test. In the 2-year plastic house tests, all the selected strains significantly (P < 0.05) reduced anthracnose incidence in at least one of the test years, but their biocontrol activities were variable. In addition, strains YJR27, YJR92, and YJR102, in certain harvests, increased pepper fruit numbers in field tests and red fruit weights in plastic house test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creening procedure is rapid and reliable for the selection of potential biocontrol strains against P. capsici in pepper plants. In addition, these selected strains exhibited biocontrol activities against anthracnose, and some of the strains showed plant growth-promotion activities on pepper fruit.

고추탄저병(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방제를 위한 엽권 길항미생물의 탐색 (Screening for Phyllospheral Antagonistic Microorganisms for Control of Red-pepper Anthracnose (Collectotrichum gloeosporioides))

  • 백수봉;김동우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2호통권73호
    • /
    • pp.190-195
    • /
    • 1995
  • 고추탄저병(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에 대한 생물학적방제 능력을 가지는 엽권미생물을 선발하기 위하여 38과 87종의 약용식물로부터 243균주의 세균과 51균주의 사상균 그리고 30균주의 효모를 분리하여 이들에 대하여 항진균활성검정을 in vitro 및 in vivo에서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리된 엽권미생물 중에서 PDA 배지 대치배양에서 10 mm 이상의 생육저지대를 형성하는 4개의 엽권미생물이 선발되었다. 선발된 4개의 세균균주 KB6, KB12, KB13 및 KB14의 PDB 배양여액 중에서 KB12 균주가 균사생장 억제율이 가장 높았다. 액체배양여액 처리에서 푸른 고추보다 붉은 고추에서 방제효과가 컸다. Bacterial cell 처리에서는 푸른 고추나 붉은 고추에서도 높은 방제효과가 있었다. 선발된 4개의 세균균주들은 모두 Bacillus subtilis로 동정되었다.

  • PDF

2007-2008년도 경북 북부지역 고추산지의 병해 발생상황 (Disease Occurrence on Red-pepper Plants Surveyed in Northern Kyungbuk Province, 2007-2008)

  • 서지애;이영근;김병수;황재문;최석원
    • 식물병연구
    • /
    • 제17권2호
    • /
    • pp.205-210
    • /
    • 2011
  • 경상북도 북부지역의 주요 고추 산지를 대상으로 생육기별 발병상황을 조사하고, 수확기 발병상황을 기상 환경 및 재배 방식과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2007년과 2008년에 가장 피해가 심하였던 병은 모자이크병과 탄저병, 역병이었다. 2008년에는 2007년에 비하여 모자이크병 발생이 심하였으며, 그 외의 병 발생은 2007년에 비하여 적었다. 수확기 모자이크병 발생 정도는 5월의 강수량과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으며, 8월의 강수량과 9월의 역병 발생 사이에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비가림 시설재배 고추에서는 노지재배에 비하여 탄저병과 역병, 모자이크병에 의한 피해가 적었다. 그러나 비가림 시설재배를 하는 고추 재배 농가는 5%에 불과하였다.

Xenorhabdus nematophilla 유래물질 벤질리덴아세톤의 고추 병해 방제 효과 (Control Effects of Benzylideneacetone Isolated from Xenorabdus nematophilla K1 on the Diseases of Redpepper Plants)

  • 박수진;전미현;천원수;서지애;이영근;김용균
    • 식물병연구
    • /
    • 제16권2호
    • /
    • pp.170-175
    • /
    • 2010
  • 벤질리덴아세톤은 모노테르펜 화합물로 곤충병원세균인 Xenorhabdus nematophilla K1의 대사물질이다. 본 연구는 벤질리덴아세톤을 이용하여 고추의 두 가지 주요 병해에 대한 방제 가능성이 조사되었다. 벤질리덴아세톤은 역병균 Phytophthora capsici와 탄저병균 Colletotrichum acutatum에 대해 강력한 억제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벤질리덴아세톤의 항균력은 태양이 비치는 자연조건에서 60일 이상 유지되었으며, 토양수 내에서도 상실되지 않았다. 벤질리덴아세톤을 혼합한 토양에 심겨진 고추 근권토양에 Phytophthora capsici 현탁액을 관주하였을 때, 역병 발생이 크게 감소되었다. 또한 Colletotrichum acutatum에 오염된 고추 열매 표면에 벤질리덴아세톤 용액을 살포하여 탄저병 발생을 억제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벤질리덴아세톤을 고추 역병과 탄저병 방제용 농약으로 개발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순창군 지역의 고추로부터 분리한 탄저병균의 살균제에 대한 반응 (Response to Fungicides of Colletotrichum spp. Isolated from Red Peppers in Sunchang, Korea)

  • 주현영;손미라;김진원
    • 식물병연구
    • /
    • 제27권4호
    • /
    • pp.164-171
    • /
    • 2021
  • 2020년 8월에 전라북도 순창군 소재 25개 고추 재배지에서 채집한 탄저병 감염 과실로부터 377개 탄저병균주를 분리한 후 지역별로 선발된 62개 균주를 대상으로 국내에 등록된 11개의 고추 탄저병 살균제에 대한 균사생장억제율을 조사하여 각각의 살균제에 대한 감수성 정도를 조사하였다. 살균제에 대한 탄저병균의 살균제 감수성 실험 결과 fluazinam, prochloraz manganese, benomyl에서는 저항성 균주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이외의 약제에서는 최소 3개의 지역에서 저항성 균주가 출현하였으며, dithianon은 모든 지역의 모든 균주가 저항성이었다. 이를 통해 일부 지역에서 살균제의 지속적인 처리로 인하여 균주집단 내 살균제 내성이 발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역별로는 순창읍과 팔덕면에서 7개 농약에 대한 저항성 균주가 출현하였고, 금과면, 복흥면, 쌍치면, 유등면, 풍산면에서 6개 농약에 대한 저항성 균주가 출현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약제 등록시기와 저항성 균주의 출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