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ring experiment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27초

무지개송어(Oncorhynchus mykiss) 사료원으로써 대두박의 이용 효과 II. 소화율, 배설 및 체조성 변화 (Effects of Dietary Soybean Meal in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II. On the Apparent Digestibility, Excretion and Body Composition)

  • 김병기;전중균;허형택;조재윤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95-407
    • /
    • 1996
  • 사료 단백질원으로써 대두박의 생물학적 이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무지개송어를 160일 동안 사육하면서 사육 후 60일 및 120일째에는 대두박 사료의 소화율, 암모니아의 배설 경향 및 어체의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 사료로는 단백질원으로 어분을 $64.5\%$ 사용한 대조구 및 상품 탈지 대두박을 $10\~70\%$까지 등간격으로 늘린 사료를 사용하였으며, 비교를 위하여 상품용 무지개송어 사료를 사용하였다. 실험 사료의 단백질 및 지질 소화율은 대두박 함량이 많을수록 단백질 소화율은 증가하였지만, 지질 소화율은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무지개송어의 전어체 및 조직(간 및 근육)의 일반 성분에서 대두박 함량이 많은 공급구일수록 지질 함량이 적었으나 전어체의 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단백질의 최종 대사산물인 암모니아($NH_3-N$)의 배설량을 섭이 후 24시간 동안 조사하였더니, 배설은 주로 후반 12시간에 많아 총 배설량의 2/3 이상이나 되었고, 24시간의 총 배설량은 대두박 함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여 대두박함량 $70\%$ 공급구가 $466.8\;mg{\cdot}kg\;body\;wt.^{-1}day^{\-1}$으로 대조구의 $115\%$ 수준이었다. 이상과 같이 대두박 함량이 많은 사료는 단백질의 소화 흡수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고 그보다는 에너지원 중에서 지질의 이용성이 크게 떨어지는 듯 하였다.

  • PDF

어린 숭어(Mugil cephalus)의 염분농도별 성장과 생존을 비교 (Comparison of Growth and Survival Rates of Juvenile Grey Mullets (Mugil cephalus) in Different Salinities)

  • 장영진;이영춘;이복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11-320
    • /
    • 1996
  • 어린 숭어, Mugil cephalus에 대한 저염분 해수 및 담수 사육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장 $4.8{\pm}0.6$ cm, 체중 $1.0{\pm}0.3$ g 및 전장 $13.6{\pm}0.2$ cm, 체중 $20.0{\pm}0.5$ g의 2군을 대상으로 염분농도별 성장과 생존율을 조사하고, 산소소비량 및 피부의 두께 등을 측정하여 생리활성을 서로 비교하였다. 1, 2차 실험 모두에서 $25\~75\%SW$의 저염 분구가 성장과 생존에 있어 $100\%SW$보다 좋은 편이었다. 그러나, 단계적 순치과정을 거치지 않고 $100\%SW$로부터 $0\%SW$로의 급격한 염분변화는 어체의 성장 및 생존율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일간사료섭식률은 $25\%SW$에서 $3.6{\pm}0.8\%$로 가장 높았다. 식욕에 있어서는 $50\%SW$에서 가장 높았다. 일간성장률은 $25\%\;SW$에서 가장 좋았고 ($2.7{\pm}0.9\%$), 다음으로 $50\%SW,\;100\%SW,\;0\%SW$이 순으로 나타났다. 염분에 따른 각 실험구별 어체의 표피와 진피의 두께에는 유의차가 없었으나, 지방층은 $0\%SW$의 실험어에서 $50\%SW$$100\%SW$의 숭어 보다 유의하게 두꺼웠다. 숭어의 산소소비량은 염분농도가 감소함에 따라 유의하게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염분농도별 숭어의 저산소 내성은 $0\%SW$에서 비교적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황점볼락, Sebastes oblongus의 자·치어 성장과 생존에 미치는 수온, 사육밀도와 먹이공급 횟수의 영향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Stocking Density and Feeding Frequency on Survival and Growth in the Oblong Rockfish Sebastes oblongus Larvae)

  • 윤성종;김대현;황형규;송기철;김영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4-159
    • /
    • 2007
  • 수온 내성에서 적정 수온과 고수온 노출시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적정 수온에서 황점볼락 치어 사육 시 수온에 따른 성장 시험은 사육수온 $16^{\circ}C$에서 성장이 좋게 나타났으며(P<0.05), 고수온 노출 실험에서 먹이섭취반응은 $28^{\circ}C$ 실험구에서 먹이섭취반응이 미약하였으나, $27^{\circ}C$ 이하의 실험구에서는 비교적 활발한 경향을 보여 주었다. 밀도별 실험에서 성장은 실험개시 후 30일째부터 성장 차이를 보이기 시작하여, 실험종료 시에는 L당 1마리 수용한 실험구가 가장 성장이 빨랐으며, 반면 가장 고밀도인 250마리 실험구가 성장이 가장 늦게 나타났다(P<0.05). 생존율은 사육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사료 공급 횟수는 1일 2회 (10:00, 19:00) 사료를 공급한 실험구에서 가장 좋은 성장을 보였고(P<0.05), 생존율도 다른 실험구보다 좋은 72.5%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The Use of Fermented Soybean Meals during Early Phase Affects Subsequent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 in Broiler Chicks

  • Kim, S.K.;Kim, T.H.;Lee, S.K.;Chang, K.H.;Cho, S.J.;Lee, K.W.;An, B.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9호
    • /
    • pp.1287-1293
    • /
    • 2016
  • The objectives of this experiment was to evaluate the subsequent growth and organ weights, blood profiles and cecal microbiota of broiler chicks fed pre-starter diets containing fermented soybean meal products during early phase. A total of nine hundred 1-d-old chick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six groups with six replicates of 25 chicks each. The chicks were fed control pre-starter diet with dehulled soybean meal (SBM) or one of five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fermented SBM products (Bacillus fermented SBM [BF-SBM], yeast by product and Bacillus fermented SBM [YBF-SBM]; Lactobacillus fermented SBM 1 [LF-SBM 1]; Lactobacillus fermented SBM 2 [LF-SBM 2]) or soy protein concentrate (SPC) for 7 d after hatching, followed by 4 wk feeding of commercial diets without fermented SBMs or SPC. The fermented SBMs and SPC were substituted at the expense of dehulled SBM at 3% level on fresh weight basis. The body weight (BW) during the starter period was not affected by dietary treatments, but BW at 14 d onwards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chicks that had been fed BF-SBM and YBF-SBM during the early phas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feed intake during grower and finisher phases was not affected (p>0.05) by dietary treatments. During total rearing period, the daily weight gains in six groups were 52.0 (control), 57.7 (BF-SBM), 58.5 (YBF-SBM), 52.0 (LF-SBM 1), 56.7 (LF-SBM 2), and 53.3 g/d (SPC), respectively. The daily weight gain in chicks fed diet containing BF-SBM, YBF-SBM, and LF-SBM 2 were significantly higher values (p<0.001)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Chicks fed BF-SBM, YBF-SBM, and LF-SBM 2 had significantly lower (p<0.01) feed conversion ratio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ve weight of various organs and blood profiles among groups. Cecal microbiota was altered by dietary treatments. At 35 d, chicks fed on the pre-starter diets containing BF-SBM and YBF-SBM had significantly increased (p<0.001) lactic acid bacteria, but lowered Coli-form bacteria in cecal contents compared with those fed the control diet. The number of Bacillus spp. was higher (p<0.001) in all groups except for LF-SBM 1 compared with control diet-fed chicks. At 7 d, jejunal villi were significantly lengthened (p<0.001) in chicks fed the fermented SBMs vs control diet. Collectively, the results indicate that feeding of fermented SBMs during early phase are beneficial to the subsequent growth performance in broiler chicks. BF-SBM and YBF-SBM showed superior overall growth performance as compared with unfermented SBM and SPC.

Effects of processing, particle size and moisturizing of sorghum-based feeds on pellet quality and broiler production

  • da Silva, Patricia Garcia;Oliveira, Luana Martins Schaly;de Oliveira, Nayanne Rodrigues;de Moura, Fabio Ataides Junior;Silva, Maura Regina Sousa;Cordeiro, Deibity Alves;Minafra, Cibele Silva;dos Santo, Fabiana Ramo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1호
    • /
    • pp.98-105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effect of pelleted and expanded sorghum-based feeds prepared with different moisture levels and particle size of ingredients on metabolizable energy, ileal digestibility of amino acids and broiler performance. Methods: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 720 male broiler chicks of the Cobb strain, with treatments of six replications, with 15 birds each; they were arranged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and $2{\times}2{\times}2$ factorial scheme (pelleted or expanded feed processing, 0.8% or 1.6% moisture addition in the mixer, and particle size of 650 or 850 microns). Results: Higher pellet quality (pellets, % and pellet durability index [PDI]) was obtained in expanded diets and inclusion of 1.6% moisture. The particle size of 850 microns increased the PDI of final diet. All studied treatment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weight gain and broiler carcass and cut yields. Lower feed conversion occurred for birds fed pelleted feed at 42 d. The highest apparent metabolizable energy (AME) and apparent metabolizable energy corrected to zero nitrogen balance (AMEn) values of feed in the initial rearing phase (10 to 13 days) were observed in birds fed pelleted feed or for feed prepared with 1.6% moisture. The highest ileal digestibility coefficients of amino acids were obtained with the consumption of pelleted feed prepared with a particle size of 650 microns and 1.6% moisture. Conclusion: Pelleted feed prepared with a milling particle size of 650 microns and 1.6% moisture provided increased ileal digestibility of amino acids and AMEn in the starter period. However, the expanded feed improved pellet quality and feed conversion of broilers at 42 days of age. We conclude that factors such as moisture, particle size and processing affect the pellet quality, and therefore should be considered when attempting to optimize broiler performance.

생균제 첨가사료가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의 성장 및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 of Probiotics on Growth and Blood Assay of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박상현;왕순영;한경남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6
    • /
    • 2008
  •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치어의 성장률 향상을 도모하고 적용할 만한 생균제로서의 그 가능성을 보고자, 평균 체중 0.7 g의 조피볼락 치어에 2종의 유산균을 사료에 첨가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각의 첨가구는 Lactobacillus brevis 및 Lactobacillus plantarum을 농도별로 실험사료 1 g 중량당 유산균 첨가수준을 $10^4,\;10^6$$10^8$ cfu 수준으로 처리한 첨가구로 하였다. 성장효과에서 L. plantarum을 농도별로 실험사료 1g 중량당 유산균 첨가수준을 $10^8$ cfu 수준으로 처리한 Lp-8 실험구에서 중량 증가 효과가 있었으며, L. brevis의 경우는 첨가효과가 없었다. 실험종료 후, 혈액분석 결과는 hematocrit 28.5-32.5%, hemoglobin 8.3-8.6 g/dl으로 차이는 없었으나, 혈장 내 총 단백질 함량은 Lp-8 실험구에서 높았다. 혈장 내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유산균 2종에서 높은 첨가농도 일수록 그 수치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상기 실험결과로 미루어 볼 때, 수중환경에 서식하는 어류의 장내 정상적인 균주가 아닌 유산균은 개별적 종에 따라 다른 효과를 얻을 수는 있으나, 조피볼락 치어는 L. plantarum을 $10^8$ cfu/g 수준으로 사료 내 첨가하여 성장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산란계 육성기 계란급이가 초기 산란 특징에 미치는 영향

  • 김상호;장병귀;최철환;서옥석;이상진;류경선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3년도 제20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97-98
    • /
    • 2003
  • 육성기 제한급이가 육성기 발육특성 및 기초 산란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갈색 산란계 1,080수를 공시하여 24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C는 자유채식을 시켰으며, T1은 6∼12주령까지 대조구 70%, 18주령까지 75% 수준으로 급여하였고, T2는 12∼18주령까지 T1과 동일하게 급여하였다. 18주령 체중은 T1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C와 T2는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20주령 체중은 처리간 모두 비슷하게 나타났다. 18주령까지 사료섭취량은 T1이 가장 적었으며 C가 가장 많았다. 초산일령은 C가 가장 빨랐지만 90% 산란일정은 T1이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연란과 쌍란 발생률은 C가 가장 많았고 T1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에서 육성 초기 사료 제한급이는 육성기 사료섭취량과 산란초기 연란 및 쌍란 발생률을 감소시키며 급격한 산란증가를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고단 직립식 산란계 케이지내의 병계 및 폐사계의 유무를 자동 판정하기 위한 영상처리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an Algorithm for Automatic Finding the Sick or the Dead Layers in the Multi-tier Layer Battery)

  • 장동일;임송수;정쌍양;이승주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5-44
    • /
    • 2005
  • 본 연구는 병계 및 폐사계의 자동 판정을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알고리즘을 개발하기 위하여 산란계의 질병증상 및 행동을 분석하였고 개발된 알고리즘으로 시스템을 구축하고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성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병$\cdot$폐사계의 판정을 위한 적정 촬영시간을 찾아내기 위해 산란계의 먹이에 대한 관심도를 조사한 결과 관심도가 $90\%$를 넘는 급이후 5분 30초 이내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2. 외부의 빛을 차단하고 균일한 조도의 영상 얻기 위하여 illumination chamber를 설치하였으며 보조 조명장치를 부착하여 조도를 45 lx 로 균일하게 하였다. 3. 산란계의 영상을 추출하기 위한 RGB의 농도범위를 Red 0${\~}$140, Green 0${\~}$130, Blue 0${\~}$130 으로 하였을 때 가장 좋은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4. 병계 및 폐사계의 판별을 위하여 CCD 카메라로부터 얻은 이미지를 2진화하고 수축 및 팽창 처리를 하여 Noise를 제거하였으며, Label-ing 작업 후 중심점을 계산하여 정상인 산란계의 이미지를 제거하였다. 5. 개발된 알고리즘을 LABWindows/CVI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하였다. 6. 개발된 감시시스템을 이용하여 실험 유형별로 4개의 케이지 산란계 20마리에 대하여 100회의 판별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A형의 실험에서 $92\%$의 정확도를 나타냈고, B형의 실험에서 $96\%$의 정확도를 나타냈다. 7. 개발된 영상처리알고리즘을 영상처리시스템에 적용하여 실험산란계사내의 고단직립식산란계케이지에서 실험을 실시한 결과 높은 성공률을 보였으며 앞으로 개발될 고단직립식산란계케이지의 원격자동화감시시스템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 적합한 영상처리알고리즘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생존과 생리상태에 미치는 오존의 급성 독성 (Acute Toxicity of Ozone on Survival and Physiological Conditions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흥윤;오명주;정성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2-41
    • /
    • 1999
  • 오존처리 해수중에 함유하는 잔류 옥시던트(TRO)가 양식 넙치의 생존, 혈액성상과 삼투질 농도, 산소소비 및 아가미 조직에 미치는 독성 영향을 조사하였다. TRO에 노출된 넙치의 48-hr 및 96-hr $LC_{50}$은 각각 26.4 와 22.3ppb이었고, 47ppb에서는 3시간 이내에 모두 치사하였으나 13ppb에서는 96시간 동안 폐사발생이 없었다. TRO 24~39ppb 농도범위에 노출된 넙치의 hematocrit, 헤모글로빈, 적혈구 수, 혈중 sodium과 chloride 이온 및 삼투압 농도는 TRO 농도가 높을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아가미 조직은 아가미 상피층이 모세혈관으로부터 박리되고, 괴사와 상피새포의 증생이 관찰되었다. 산소소비율은 TRO 농도가 높고, 노출이 계속될수록 감소하였다. 13ppb에서는 아가미 조직과 생리상태에 미치는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혈당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활성탄으로 TRO를 제거한 대조구에서는 오존의 독성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잔류오존에 노출된 넙치는 삼투질 농도의 생리적 불균형 및 아가미 손상과 상피세포의 증생에 의한 산소섭취 부족이 치사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해산어 양식장에서 오존을 사용할 경우에는 오존처리수중의 TRO는 제거하여야 하며, 비록 저농도라도 장기간 노출되면 양식어류의 생존과 생리상태에 미치는 영향은 현저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쏘가리 Siniperca scherzeli 자어기에 있어 초기 기아가 체형, 생존율 및 공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layed initial feeding on body form, mortality and cannibalism in larval stages of mandarin fish, Siniperca scherzeli (Teleostei : Centropomidae))

  • 명정구;정철;한명수;김병기;김형배;최희정;김민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69-673
    • /
    • 1999
  • 1997년 7월, 강원도 소양댐에서 채포한 어미로부터 수정란을 받아 부화사육하면서 절식 1일(부화 후 5일째), 3일, 5일 실험구와 무급이구에서 쏘가리 자어의 체형, 생존율 변화 및 공식률을 조사하였다. 쏘가리 자어는 4일째 먹이를 먹기 시작하였으며 7일 절식구와 무급이구는 9일째 (부화 후 12일째) $100\%$ 사망하였다. 절식 1일 실험구에서는 급이구와 유사한 성장을 나타냈으며 3일 절식구는 실험종료일에 $33\%$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기아시 쏘가리 자어는 전상 금이구보다 성장이 느렸으며 지느러미의 발달도 느려졌고 체고 (BD)와 근절 높이 (MH)가 낮아지는 형태학적 변화를 나타내었다. 공식은 급이구에 비하여 무급이구나 절식구에서 발생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절식구에서는 1일 최고 $23\%$의 높은 공식률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