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lity shock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1초

Effects of Changes in Reality Shock among New Nurses on Turnover Intention in South Korea

  • Park, Hyun Hee;Lee, Kwang Ok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0-68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reality shock among new nurses and their influencing factors to identify turnover reduction methods. Methods: A total of 146 new nurses from 6 general hospital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5 to November 10, 2015. Results: The mean scores for factors related to turn over were 2.75 for nurse practice environment, 2.84 (4point scale) for reality shock, and 3.08 (5point scale) for turnover intentio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act of reality shock was observed depending on whether the nurses selected their work unit (F=6.24, p=.003) and whether they could take the possibility of holiday on the desired day at will (t=-2.57, p=.013). Changes in reality shock correlated with turnover intention, with the 'increased reality shock' group demonstrating an odds ratio of 2.37 (CI: 1.41~3.98) for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 The current findings indicate the need for lowering reality shock and turnover intention by considering nurses' work-related characteristics and improving their practice environments. To further study the changes in reality shock new nurses experienced, additional research is warranted while homogenizing the participants in terms of preceptorship duration and timing of independence.

신규간호사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현실충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Reality Shock among New Graduate Nurses)

  • 이연주;여정희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3권1호
    • /
    • pp.45-52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elf-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reality shock among new graduate nurses. Methods: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a convenience sample of 111 new graduate nurses.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al, independent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via the SPSS Window 23.0 program. Results: Among general and work related characteristics, factors that have shown significant differences on reality shock were gender (t=-2.29, p=.024), work unit (t=3.31, p=.023) and whether they are working at unit they desired (t=-5.08, p<.001). Reality shock has show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resilience (r=-.51, p<.001) and social support (r=-.41, p<.001). Factors that affected the reality shock on new graduate nurses were self-resilience (${\beta}=-.43$, p<.001), whether they are working at unit they desired (${\beta}=.35$, p<.001) and their currently work unit (${\beta}=-.17$, p=.028). These factors take into account of 38.0% of overall reality shock.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self-resilience, desired unit and current work unit should be considered as factors when developing an intervention to alleviate the reality shock experienced by new graduate nurses.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및 자아탄력성이 현실충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y on Reality Shock of Nursing Students)

  • 박동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648-657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현실충격 정도와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자아탄력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현실충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자아탄력성은 현실충격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자아탄력성은 현실충격을 27.1%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자아탄력성이 현실충격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어 간호대학생의 현실충격을 완화하기 위해서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자아탄력성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추후 간호대학생의 현실충격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 조사대상을 확대하여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혼종모형을 이용한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에 대한 개념분석 (A Concept Analysis on Reality Shock in Newly Graduated Nurses Using the Hybrid Model)

  • 신경미;김은영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9-29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and clarify the concept of reality shock in new graduated nurses. Methods: The hybrid model was used to develop the concept of reality shock. The model included a field study. The participants were 9 newly graduated nurses with a nursing career spanning less than a year. Results: The reality shock in newly graduated nurses was identified to have three dimensions and seven attributes. Specifically: 1) the dimension of performance included two attributes (conflict between theory and practice, and being overwhelmed by the workload), 2) the dimension of relationship included three attributes (loss of support, embarrassment from interference, and relational withdrawal), 3) the dimension of expectations included two attributes(value confusions and incongruity in personal life). Conclusion: Newly graduated nurses' reality shock was defined as a state of incongruence in their entire life that the new nurses experienced owing to value confusions that occurred due to the conflict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in an unfamiliar work environment, getting overwhelmed by the workload, and withdrawing establish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due to the loss of support and excessive interference. These findings could help develop intervention strategies to decrease reality shock in newly graduated nurses.

신규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사회적 지지가 현실충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Social Support on Reality Shock Experienced by New Graduate Nurses)

  • 김지혜;노윤구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55-63
    • /
    • 202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social support on the reality shock of new graduate nurses in university hospitals. Methods: The subjects were 153 new graduate nurses with less than 12 months of clinical experience at two university hospitals in the G province,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5 to October 7, 2020.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6.0 program for frequency, average,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Results: Factors influencing reality shock were nursing work environment (β=-.39, p<.001) and social support (β=-.25, p=.002), and gender (female) (β=.20, p=.001),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44.8% (F=9.99, p=.002). Conclusion: Our study shows that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social suppor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ality shock of new graduate nurses. It is important to strengthen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social support to alleviate the reality shock of new graduate nurs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serve as a basis for developing strategies for mitigating the reality shock of new graduate nurses.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 개념분석 (Concept Analysis of Reality Shock in New Graduate Nurses)

  • 최명희;이하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376-385
    • /
    • 2016
  •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의 개념을 정립하고 정의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 분석 방법은 Schwartz-Barcott와 Kim의 혼종모형(Hybrid model)을 이용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S시와 G시에서 일하고 있는 6명의 신규간호사와 현실충격과 관련된 문헌으로부터 수집하였다. 본 연구 결과,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은 3개의 영역과 9개의 속성으로 도출되었다. 3개의 영역은 인지적 영역, 정서적 영역, 상황적 영역으로 도출되었다. 인지적 영역은 현실충격을 일으키는 요인을 인지하는 것이며, 정서적 영역은 현실충격을 일으키는 상황을 직면한 후 나타나는 부정적인 정서 반응이며, 상황적 영역은 현실충격을 일으키는 상황을 말한다. 즉,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 정의는 신규간호사는 (i) 학교에서 배운 것과 실무와의 차이, (ii) 이상과 현실의 가치 차이를 인지하고 (iii) 선임 간호사들의 전문성 부족, (iv) 간호사로서 존중받지 못하는 현실, (v) 생각했던 것보다 역할가중을 경험하게 되면서 무력감, 관계의 어려움, 혼란, 압박감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를 갖게 되는 것을 말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의 개념을 정립함으로 인해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을 경감할 수 있는 전략에 실제적인 밑거름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과 영향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New Graduate Nurses' Reality Shock)

  • 신경미;권정옥;김은영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92-301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reality shock in new nurses. Methods: Participants were 216 newly graduated nurses with less than 1 year experience in 5 university and 10 general hospitals in Busan, Ulsan and Gyeongnam,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the nurses between November 18 and December 25, 2013.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and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WIN 21.0 Program. Results: Average scores for work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reality shock were $2.63{\pm}0.33$ and $2.66{\pm}0.43$ points respectively.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with the nurses' demographic and work characteristics controlled, work environment explained 4.2% of the reality shock. Factors significantly affecting reality shock included nurses' changing residence because of job (${\beta}$=.21, p=.001), whether they were able to work on the unit of their choice (${\beta}$=-.13, p=.031) and whether they had a choice in days off (${\beta}$=-.14, p=.038). Conclusion: When these factors are considered, reduction in nurses' reality shock requires improvement in work environment, placing new nurses in a department of their choice and allowing them a choice in off-duty days. These measures would also help achieve organizational goals and develop the new nurses as professional nurses.

텍스트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신규간호사가 경험하는 현실충격 관련 연구의 지식구조 분석 (Analysis of the Knowledge Structure of Research related to Reality Shock Experienced by New Graduate Nurses using Text Network Analysis)

  • 윤희장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463-469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신규간호사가 경험하는 현실충격 관련 연구를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신규간호사의 성공적인 임상적응과 이직률 감소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2002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115편의 논문에서 신규간호사가 경험한 현실충격에 관한 토픽을 추출하였다. 6개의 데이터베이스(국내: DBpia, KISS, RISS / 해외: Web of science, Springer, Scopus)에서 문헌을 검색하였다. 키워드는 문헌의 초록에서 추출되었고 의미론적 형태소를 사용하여 정리되었다. 네트워크분석 및 토픽모델링은 NetMiner 4.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핵심 키워드는 '신규간호사', '현실충격', '전환', '학생간호사', '경험', '실습', '근무환경', '역할', '돌봄', '교육' 등으로 확인되었다. 최근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에 관한 연구에서 잠재적 디리클레 할당(LDA) 기법으로 '이직', '근무환경', '전환 경험'의 세 가지 주요 주제를 추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신규호사가 경험하는 현실충격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성공적으로 임상적응을 도울 수 있는 중재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예비유아교사의 현실충격과 학교소진이 진로탐색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ality Shock and School Burnout on Career Search Self-Efficacy)

  • 이해정;엄세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245-253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의 진로탐색 측면에서 개인적 변인인 학교소진과 환경적 변인인 현실충격이 예비유아교사의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예비유아교사 195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 및 Pearson 적률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현실충격, 학교소진, 진로탐색효능감의 인식수준은 보통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현실충격과 학교소진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 현실충격과 진로탐색효능감, 학교소진과 진로탐색효능감 간에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현실충격, 학교소진이 진로탐색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진로탐색효능감 증진을 위한 교육적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 조직몰입 융복합연구 (New Nurse's on Reality Shock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vergence Study)

  • 김원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377-38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 병원 신규 간호사의 코칭리더쉽이 현실충격,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증하고자 한다. 자료분석은 기술 통계, t- 검정, ANOVA, Pearson 상관 계수 및 표준 다중회귀분석(Standard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여 SPSS / WIN 21.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조직몰입 대한 회귀모형은 유의하였고(F= 6.17, p<.001), 조직몰입에 대한 코칭리더십의 설명력은 27.3%(Adj R2= 0.273)였다. 현실충격에 대한 회귀모형은 유의하였고(F= 13.96, p<.001), 현실충격에 대한 코칭리더쉽의 설명력은 39.2%(Adj R2= 0.392)였다. 본 연구결과는 신규간호사의 코칭리더쉽은 현실충격을 낮춰주며, 조직몰입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신규간호사의 코칭리더수비프로그램 개발과 신규간호사대상의 코칭리더쉽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을 완화시키고 적응을 돕고 조직몰입을 높여 이직을 예방하여, 조직적 차원에서 인적, 물적 관리를 위한 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