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3data

검색결과 1,051건 처리시간 0.025초

Registry Metadata Quality Assessment by the Example of re3data.org Schema

  • Kim, Suntae;Choi, Myung-Seok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7권2호
    • /
    • pp.41-51
    • /
    • 2017
  • Nowadays, research data repositories (RDR) have become progressively widespread all over the world. To expand repository services and build up inbound linking strategy, organizations list their repositories with so called Global Registries. Accordingly, such registries should be carefully described by the related data. In this study, I explore the metadata schema of re3data.org. I collect and analyze descriptions from the listed repositories, and come up with some suggestions concerning possible improvements to the metadata schema. To accomplish this, I develop a crawler program, which collects necessary data from the re3data.org.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 have identified two issues that required elements is missing, one issue that required element value is missing when the corresponding property is applied, five inconsistency issues with re3data controlled vocabulary, six issues with undescribed optional elements, and two inconsistency issues between the elements and their attributes which do not pair with. I believe this discussion can facilitate improvements to the existing re3data.org schema and further help researchers who analyze data repository trends.

HSC Chemistry 코드를 이용한 TRU 생성물 중의 희토류 원소 제거 거동 모사 (Simulation of Rare Earth Elements Removal Behavior in TRU Product Using HSC Chemistry Code)

  • 백승우;이창화;윤달성;이성재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07-215
    • /
    • 2020
  • 희토류(Rare Earth) 함량이 높은 TRU 생성물 중의 RE 원소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RE 원소와 UCl3의 산화반응을 이용한 RE 제거 공정의 타당성을 HSC Chemistry 코드를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사용후핵연료에 포함된 TRU 원소 및 RE 원소의 조성 및 열역학적 자료를 검토하였으며, UCl3와의 산화 반응에 따른 평형 자료를 계산하여 공정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실제 파이로 프로세싱 처리를 가정한 물질수지로부터 TRU 생성물의 RE 함량이 다른 두 가지 경우에 대하여 RE 원소 제거율과 TRU 회수율을 평가하였다. TRU 생성물을 산화제인 UCl3와 반응시켰을 때 각 원소의 Gibbs free energy의 차이에 의한 선택적 산화 반응이 일어났다. 투입된 UCl3 양을 조절하여 TRU 회수율을 최대로 유지하면서도 RE 원소를 제거하여 최종생성물의 TRU/RE 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계산 결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열역학적 평형 자료에 기반한 결과이므로 실제 공정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차이점이 존재한다. 그러나 TRU 물질을 취급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파이로프로세싱의 TRU 생성물을 고속로의 핵연료로 공급하기 위한 공정 설계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Preparation, Structure, and Property of Re(Nar)$(PR_3)_2Cl_3$, $(PR_3 = PMe_3, PEt_3, P(Ome)_3;Ar = C_6H_5, 2,6-i-Pr_2-C_6H_3)$

  • 박병규;최남선;이순우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0권3호
    • /
    • pp.314-320
    • /
    • 1999
  • Several bisphosphine- and bisphosphite-substituted Re-imido complexes have been prepared from Re(NPh)(PPh3)2Cl3, 1, and Re(N-C6H3-i-Pr2)2Cl3(py), 4. Compound 1 reacted with trimethyl phosphate (P(OMe)3) to give a mixture of two isomers,mer,trans-Re(NPh)(P(OMe)3)2Cl3, 2, and fac,cis-Re(NPh)(P(OMe)3)2Cl3, 2a. In this reaction, the mer,trans-isomer is a major product. Complex 1 also reacted with triethylphosphine (PEt3) to exclusively give mertrans-Re(NPh)(PEt3)2Cl3, 3. Compound 4 reacted with trimethylphosphine (PMe3) to give mer,trans-Re(N-C6H3-i-Pr2)(PMe3)2Cl3, 5, which was converted to mer-Re(N-C6H3-i-Pr2)(PMe)(OPMe3)Cl3, 6, on exposure to air. Crystallographic data for 2: monoclinic space group P21/n, a = 8.870(2) Å, b = 14.393(3) Å, c = 17.114(4) Å, β = 101.43(2)°, Z = 4, R(wR2) = 0.0521(0.1293). Crystallographic data for 5: orthorhombic space group P212121, a = 11.307(l) Å, b = 11.802(l) Å, c = 19.193(2) Å, Z = 4, R(wR2) = 0.0250(0.0593). Crystallographic data for 6: orthorhombic space group P212121, a = 14.036(4) Å, b = 16.486(5) Å, c = 11.397(3) Å, Z = 4, R(wR2) = 0.0261(0.0630).

생태 분야 데이터 리포지터리 운영 현황 분석 및 EcoBank 서비스 제안 (Analysis of Ecological Data Repository Operation Status and EcoBank Service Proposal)

  • 김주섭;강효숙;김선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289-310
    • /
    • 2023
  • 데이터 공유 및 재사용은 필수가 되었다. 데이터 리포지터리는 이러한 데이터 공유 및 재사용을 위한 핵심 도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생태원이 구축 및 운영 중인 EcoBank의 서비스를 제안하기 위함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re3data.org에 등록된 생태 분야 해외 데이터 리포지터리 123개 중 10개를 선정하여 조사 및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3가지 서비스가 공통으로 도출되었다. 3가지 서비스는 첫째, 연구데이터 정책, 둘째, 연구데이터 품질 검토 그리고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 및 워크숍으로 구성된다. 여기에 EcoBank의 글로벌한 데이터 공유를 위해서는 re3data.org와 같은 데이터 리포지터리 레지스트리에 등록을 해야 하며 리포지터리의 신뢰성 및 품질 확보를 위한 인증을 추진할 것을 제안해 본다.

Preparation and Structure of Re(≡NC_$6H_5)(PMe_3)_2CI_3$

  • 박병규;김영웅;정건수;박희숙;Lee, Soon W.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6권9호
    • /
    • pp.835-839
    • /
    • 1995
  • Mer,trans-Re(≡NC6H5)(PPh3)2Cl3, Ⅰ, reacted with trimethylphosphine to give a mixture of two stereoisomers, mer,trans-Re(≡NC6H5)(PMe3)2Cl3,Ⅱ, and fac,cis-Re(≡NC6H5)(PMe3)2Cl3, Ⅲ. These compounds could also be prepared from the reaction of Re(≡NC6H5)(PMe3)(PPh3)Cl3 with trimethylphosphine. In both reactions the mer,trans-isomer is a major product. The products have been characterized by NMR, elemental analysis, and X-ray crystallography. Crystal data for Ⅱ: monoclinic space group P21, a=10.053(1) Å, b=10.844(1) Å, c=10.058(2) Å, β=113.45(2)°, Z=2, R(wR2)=0.0348 (0.0894). Crystal data for Ⅲ: monoclinic space group P21/n, a=7.183(2) Å, b=16.983(4) Å, c=15.543(4) Å, β=90.38(2)°, Z=4, R(wR2)=0.0603 (0.1484).

Geoscience 분야 데이터 리포지터리 현황과 Coretrustseal 인증 획득 방안에 관한 연구 - re3data.org와 Coretrustseal 인증 모범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atus of Data Repositories in the Field of Geoscience and Ways to Obtain Coretrustseal Certification: Focusing on re3data.org and Coretrustseal best practices)

  • 김주섭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89-110
    • /
    • 2023
  • 연구데이터 공유 및 보존을 위한 도구로 데이터 리포지터리가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데이터 리포지터리 현황을 조사하고 Coretrustseal 인증 획득 방안을 제안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re3data.org에서 Geoscience 분야의 데이터 리포지터리 현황에 대해 조사하였고 해당 리포지터리 중 Coretrustseal 인증을 획득한 10개의 모범사례를 분석하였다. 먼저, 리포지터리 현황을 파악한 결과, 국가별로 미국, 독일, 캐나다가 전체 리포지터리 중 66%를 차지하고 있으며 CTS 인증 현황 경우 미국, 유럽 그리고 독일의 비중이 58%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CTS 인증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서 데이터 정책, 조직 인프라 그리고 기술 인프라 측면에서의 필요한 세부내용 및 요구사항을 제시하였다. 추후 본 연구 결과가 국내의 데이터 리포지터리 구축 및 운영 그리고 CTS 인증 획득에 도움이 되길 기대해본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cremental Learning Technology for Big Data Mining

  • Min, Byung-Won;Oh, Yong-Su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5권3호
    • /
    • pp.32-38
    • /
    • 2019
  • We usually suffer from difficulties in treating or managing Big Data generated from various digital media and/or sensors using traditional mining techniques. Additionally, there are many problems relative to the lack of memory and the burden of the learning curve, etc. in an increasing capacity of large volumes of text when new data are continuously accumulated because we ineffectively analyze total data including data previously analyzed and collect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general-purpose classifier and its structure to solve these problems. We depart from the current feature-reduction methods and introduce a new scheme that only adopts changed elements when new features are partially accumulated in this free-style learning environment. The incremental learning module built from a gradually progressive formation learns only changed parts of data without any re-processing of current accumulations while traditional methods re-learn total data for every adding or changing of data. Additionally, users can freely merge new data with previous data throughout the resource management procedure whenever re-learning is needed. At the end of this paper, we confirm a good performance of this method in data processing based on the Big Data environment throughout an analysis because of its learning efficiency. Also, comparing this algorithm with those of NB and SVM, we can achieve an accuracy of approximately 95% in all three models. We expect that our method will be a viable substitute for high performance and accuracy relative to large computing systems for Big Data analysis using a PC cluster environment.

얼굴 인식 성능 향상을 위한 재분류 방법 (Re-classifying Method for Face Recognition)

  • 배경률
    • 지능정보연구
    • /
    • 제10권3호
    • /
    • pp.105-114
    • /
    • 2004
  • 최근 생체인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출입 통제나 사용자 인증과 같은 보안 분야에 적용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얼굴인식은 생체인식 기술 중 사용자 편의성과 접촉 거부감이 적어 활용성이 증대되고 있으나 타 인식기술에 비해 인식 결과의 정확성과 재시도율(Re-attempt Rate)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데이터 분류 방법(Data Classification Algorithm)으로 인식 결과를 재분류(Re-Classification)하는 접근법에 대해서 제안하고자 한다. 본 실험을 위해서 대표적인 형상 기반(Appearance-based) 알고리즘인 PCA를 사용하였고, 200명(총 얼굴 영상 200장)을 대상으로 제안한 재분류 접근법을 적용한 결과 재인식의 경우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PDF

확장된 데이터의 특성과 맥락을 반영한 데이터 리터러시의 재개념화 (Re-conceptualization of data literacy reflecting the expanded data characteristics and context)

  • 최경희;조동성
    • 정보화정책
    • /
    • 제30권3호
    • /
    • pp.49-68
    • /
    • 2023
  • 본 연구는 일반 시민이 지녀야 할 데이터에 대한 이해와 데이터 인력 양성 정책에 필요한 기본 개념 틀을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 리터러시를 재개념화했다. 이를 위해 확장된 데이터의 특성을 고찰하였고 데이터 리터러시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전문가 검토를 거친 후, 재개념화된 데이터 리터러시를 제시했다. 재개념화된 데이터 리터러시에는 지식, 기술, 맥락의 세 범주와 범주별 하위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주로 데이터를 다루는 기술 범주를 강조하였던 기존의 데이터 리터러시의 개념에 데이터의 맥락 범주를 추가하여 맥락의 범위, 시간성, 가치 지향 요소도 명시했다. 또한 지식 범주에도 요소를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재개념화된 데이터 리터러시는 정보화, 인력 양성, 행정 등의 분야에서 교육과정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Data Repositories in the Field of Ecological Research

  • Kim, Suntae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2권2호
    • /
    • pp.139-143
    • /
    • 2021
  • In this study, data repository information registered in re3data (re3data.org), a research data registry, was collected. Based on collected data, the current status was analyzed for 354 repositories (approximately 14% of total repositories) in the field using keywords in the ecological field suggested by two experts. Major metadata formats used to describe data in ecological research data repositories include Federal Geographic Data Committee Content Standard for Digital Geospatial Metadata (FGDC/CSDGM), Dublin Core, ISO 19115, Ecological Metadata Language (EML), Directory Interchange Format (DIF), Darwin Core, Data Documentation Initiative (DDI), and DataCite Metadata Schema. The number of ecological repositories according to country is 102 in the US, 34 in Germany, 31 in Canada, and one in Korea. A total of 771 non-profit organizations and 12 for-profit organizations are involv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ecological field research data repository. Data version control ratio of the ecological field research data repositories registered in re3data was analyzed to be somewhat higher (86.6%) than the total ratio (83.9%).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establish policies to build and operate a research data repository in the ecological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