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y parenchyma cell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32초

리기다소나무재(材) 추출물(抽出物)과 균(菌)과의 관계(關係)(II) -1차(次) 침입균(侵入菌)의 건전(健全) 변재(邊材) 침입경로(侵入經路)- (Relationship Between Extracts of Pitch Pine (Pinus rigida Miller) and Fungi(II) -Pathway of First Invading Fungus to Sound Sapwood of the Pine-)

  • 심규섭;안원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3호
    • /
    • pp.343-346
    • /
    • 1996
  • 리기다소나무재의 변색 부위로부터 분리한 변색균을 다시 건전 목재에 접종하여 이 균의 목재 침입경로를 구명한 바, 처음 균사가 목재내 방사유세포에 침입하여 방사유세포 안에서 수평 방향의 이동을 계속하다가, 시간이 경과하면 가도관내로 이동하여 이 가도관을 통로로 하여 수직 방향으로 확산을 계속하였다. 침입 90일이 지나면 목재내 각 조직으로의 침입이 완료되어 균사가 세포내강에 만연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메탄올 추출물은 변색균의 목재 침입 경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리기다소나무재(材) 추출물(抽出物)과 균(菌)과의 관계(關係)(II) - 1차(次) 침입균(侵入菌)의 건전(健全) 변재(辺材) 침입경로(侵入經路) - (Relationship Between Extracts of Pitch Pine(Pinus rigida Miller) and Fungi(II) - Pathway of First Invading Fungus to Sound Sapwood of the Pine -)

  • 심규섭;안원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2호
    • /
    • pp.325-328
    • /
    • 1996
  • 리기다소나무재의 변색 부위로부터 분리한 변색균을 다시 건전 목재에 접종하여 이 균의 목재 침입 경로를 구명한 바, 처음 균사가 목재내 방사유세포에 침입하여 방사유세포 안에서 수평 방향의 이동을 계속하다가, 시간이 경과하면 가도관내로 이동하여 이 가도관을 통로로 하여 수직 방향으로 확산을 계속하였다. 침입 90일이 지나면 목재내 각 조직으로의 침입이 완료되어 균사가 세포내강에 만연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메탄올 추출물은 변색균의 목재 침입 경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신갈나무 정상재와 인장이상재의 전단 및 휨 파면해석 (Fractography of Sound and Tension Woods of Quercus mongolica by Shear and Bending Stress)

  • 권성민;권구중;장재혁;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4호
    • /
    • pp.351-358
    • /
    • 2011
  • 인장이상재를 갖는 활엽수재의 파괴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신갈나무재의 전단시험 및 휨시험을 통하여 파괴단면을 관찰하였다. 육안적으로 관찰한 결과 전단시편의 경우 정상재보다 인장이상재 시편에서 더 많은 섬유의 보풀이 관찰되었고, 함수율 30% 시편의 전단면이 10%보다 거칠고 많은 섬유의 보풀이 관찰되었다. 휨시험에 의해 파괴된 인장이상재는 정상재에 비해 목섬유가 굵고 길게 드러나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SEM 관찰 결과 방사면 전단파괴시 정상재와 인장이상재의 목섬유는 벽내파괴에 의한 파괴형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방사유세포는 벽절단파괴에 가까운 형태로 파괴되었다. 접선면 전단파괴시 목섬유는 벽내파괴에 의한 파괴형태를 보여주고 있고 인장이상재의 목섬유의 파괴부분이 더 거칠었다. 방사유세포는 양 시편 모두 벽절단파괴에 의한 파괴 형태를 보여주었으며, 인장이상재의 방사유세포에서 절단면이 비교적 깨끗한 것으로 나타났다. 휨시험에 의한 목섬유 파면의 형태는 정상재의 목섬유에 비하여 인장이상재가 파괴 시 끝이 무디고 깨끗하게 끊어진 모습을 보여주었다.

무리우산버섯균의 배양적 특징과 목재부후 특성 파악 (The cultivate characteristics and the wood rotting ability and type of the Kuehneromyces mutabilis Sing. et A. H. Smith)

  • 윤대령;채정기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192-199
    • /
    • 2004
  • 무리우산버섯균의 기초적인 자료를 연구함으로써 앞으로 있을 인공재배 및 균사체 대량증식법 등의 연구에 있어서 발판이 되고자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에 사용된 무리우산버섯균은 액체배지의 경우 Glucose pepton에서 202mg/18일로 균사생장이 가장 좋았으며, 고체배지는 YMG배지에서 81mm/8일로 가장 좋았다. 2. 균사생장 최적 온도는 $20{\sim}25^{\circ}C$이며, 최적 산도는 pH 5.5~6.0 이였으나 pH 6.0~7.0에서는 생장이 급속히 감소하였다. 3. 무리우산버섯균의 균사생장을 위한 최적영양원으로 탄소원에는 다당류인 Inulin이였으며, Dextrose를 제외하고는 균사생육에 있어서 큰 차이는 나지 않았다. 질소원으로는 무기태질소원인 $NaNO_3$였으며 다른 질소원들은 생장이 저조하였다. 4. 최적 톱밥배지 선정에 있어서 졸참나무가 가장 좋았으며 미송, 아카시나무, 상수리나무, 포플러 순으로 생장이 좋았고, Corn cob의 경우 생장이 가장 저조하였다. 5. 광학현미경과 주사형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목섬유의 세포벽의 일부분이 침식되고 세포 내강에서 중간층으로 점차 얇아지는 박벽화 현상이 관찰되었다. 6. 균사의 밀도는 도관과 방사유세포에 높게 나타났고, 일부 목섬유에서도 균사의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도관 내에 균사의 밀도가 높게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목섬유와 유세포에 비해 분해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7. PDA배지에 tannic acid를 첨가한 Bavendam 반응에서 배지의 재색이 암갈색으로 변하는 양성 반응을 보여 리그닌 분해 효소중의 하나인 laccase가 존재함이 확인되었다. 8. Dry weight에서 5.9%의 감소율을 보였으며, 이에 따른 pH의 변화는 6.07에서 4.31로 배지가 산성화 되었다. 또한 온수추출물에 있어서 톱밥과 미강(4:1 w/w)의 경우 12.98%의 추출량을 보여주었으며 무리우산버섯균이 배양된 배지의 경우 8.56%를 보여주었다.

  • PDF

국내산 흑탄과 백탄의 해부학적 특성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Black and White Charcoal Manufactured in Korea)

  • 권성민;권구중;이성재;김남훈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3권1호
    • /
    • pp.57-63
    • /
    • 2007
  • 국내 전통식 탄화로에서 생산된 굴참나무(Quercus variabilis $B_{LUME}$)와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F_{ISCH}$) 흑탄 및 백탄의 해부학적 특성을 주사전자현미경법으로 조사하였다. 흑탄 및 백탄 조재부 도관의 형태는 접선방향으로 수축하여 방사방향으로 긴 타원형을 나타내었으나, 다른 구성세포들의 형태와 구조적인 변형은 보이지 않았다. 만재부 도관은 접선방향으로의 수축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백탄의 경우 인접세포들의 과도한 수축으로 인해 도관의 형태가 다소 찌그러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목섬유 부분은 과도한 수축에 의해 세포가 크게 변형된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조재부도관 내 타일로시스는 백탄과 흑탄에서 모두 관찰되었다. 방사유세포는 세포벽이 상당히 얇아진 모습을 보여주었고, 변형도 심하게 나타났다. 또한 백탄의 경우에는 고온탄화에 의한 세포벽의 수축으로 유세포간 공극이 발생되었다. 단열방사조직과 광방사조직의 경우에는 고온 탄화에 의해 세포벽이 수축하면서 세포내강이 줄어드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세포내강이 소실되는 현상은 탄화온도가 높은 백탄에서 자주 관찰되었다. 따라서 흑탄에 비해 백탄의 수율이 낮은 것은 목재성분의 일부 손실뿐만 아니라 탄화온도에 따라 구성세포 치수가 감소하기 때문으로 생각되었다.

  • PDF

Anatomical Features Affecting Safranine Solution Permeability in Anthocephalus chinensis (Lam.) Rich. ex Walp

  • Ahmed, Sheikh Ali;Chun, Su-Kyoung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61-267
    • /
    • 2007
  • This report describes the wood anatomy and 1% safranine solution penetration depth in radial and longitudinal directions of Anthocephalus chinensis belonging to the family Rubiaceae native to Bangladesh. The wood of this species was mostly characterized by diffuse porous, vessel with simple perforation plate, vestured alternate intervessel pittings, relatively medium vessel elements and fiber, and nonseptate fiber with distinctly bordered pits at radial wall. The body ray cell was procumbent with 2 to over 4 rows of upright and square marginal cells. Sometimes, the rays with procumbent, square and upright cells were mixed. Latewood fiber was thin to thick walled while it was very thin walled in earlywood. Axial parenchyma was diffuse, vasicentric, 5-8 cells per parenchyma strand dominantly present. Liquid penetration depth was observed in radial and longitudinal directions at moisture level of 7.42%. Longitudinal penetration was found 6.3 times higher than radial penetration. The initial penetration rate of safranine solution was high, but gradually decreased during the course of time. Different anatomical features were found to be responsible for the variation of safranine solution penetration depth compared to Gmelina arborea.

  • PDF

산불 피해 소나무 목재의 해부 및 물리적 특성 - 피해 정도에 따른 차이- (Anatomic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Pinus densiflora Wood Damaged by Forest Fire - Difference by Damage Level -)

  • 권성민;전근우;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4호
    • /
    • pp.84-92
    • /
    • 2008
  • 강원도 양양 지역 산불 피해 소나무 목재의 피해 정도에 따른 해부 및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피해 정도에 따라 수피의 탄화 깊이가 깊어지는 경향이 관찰되었으나 목질부까지 탄화가 진행되지는 않았으며 수지의 삼출정도에 차이를 보였다. 산불 피해목 변재의 생재함수율은 건전재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심재의 경우에는 건전재보다 피해목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생재밀도는 피해재 심재가 건전재 심재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변재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형성층대를 관찰한 결과, 산불 피해를 강하게 입은 경우 형성층의 활동이 일어나지 않았고, 비교적 피해를 약하게 입은 경우에는 형성층의 활동이 관찰되었으나 세포분열 속도는 건전재보다 느렸다. 산불 피해를 강하게 입은 목재에서는 에피델리움세포와 방사조직의 세포벽이 짙게 염색되고 세포내에 과립형태의 물질이 관찰되었으며, 최외각 연륜 부위의 결정화도는 산불 피해재가 건전재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임신으로 악화된 폐의 임파관평활근종증 l예 (A Case of Lymphangioleiomyomatosis with Pregnancy)

  • 김성욱;김민구;원용환;김호철;황영실;김종화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3호
    • /
    • pp.375-380
    • /
    • 1995
  • The lymphangioleiomyomatosis(LAM) is a rare disorder, which afflicts mainly young woman of childbearing age, characterized by proliferation of immature smooth muscle cell in the lymphatics. We experienced a case of LAM in 26-years-old pregnant woman, confirmed pathologically by inguinal lymph node biopsy. She has suffered from exertonal dyspnea and dry coughing. The symptoms and chest X-ray were aggravated with pregnancy, but improved after delivery with two times of pregnancy. The chest X-ray showed diffuse reticulonodular infiltration and chest HRCT showed diffuse scattered tiny thin-walled cyst of lung parenchyma. We noted chylous ascites of which triglyceride level is 396 mg/dl. After delivery, the symptoms were getting better. We treated with medroxyprogesterone and planned close observation and follow-up.

  • PDF

Anatomical Structures and Fiber Quality of Four Lesser-Used Wood Species Grown in Indonesia

  • MARBUN, Sari Delviana;WAHYUDI, Imam;SURYANA, Jajang;NAWAWI, Deded Sarip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5호
    • /
    • pp.617-632
    • /
    • 2019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natomical structure and fiber quality of four lesser-used wood species namely Benuang (O. sumatrana), Duabanga (D. moluccana), Pisang Merah (H. hellwigii), and Terap (A. odoratissimus). This study evaluated its suitability for raw material in pulp and paper manufacturing. The anatomical structure was observed macro- and microscopically. Macroscopic structures were observed directly to the wood samples, while microscopic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through microtome specimens. Fiber dimension was measured through macerated specimens and fiber quality was analyzed following the Rachman and Siagian's method. Results showed that these four timber species have similarity in the indistinct growth ring, diffuse porous in a radial pattern, rounded solitary vessel outline, 1 to 3 cells of ray width, deposits within the rays, fiber length, and cell wall thickness. Differences were found on vessel diameter, vessel grouping, vessel frequency, tyloses existence, type of axial parenchyma, and ray height. Based on fiber length and its derived values, the wood fibers of all species studied are suitable for pulp and paper manufacturing. They belong to the II quality class. The produced pulp and paper would have good quality, especially in tensile, folding, and tear strength. To promote their utilization, silviculture aspect of these four species has to be well understood.

목재의 탄화기구 해석(I) (Investigation of Carbonization Mechanism of Wood(I))

  • 권성민;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3호
    • /
    • pp.8-14
    • /
    • 2006
  • 목재의 탄화기구를 이해하기 위하여 굴참나무재를 사용하여 $250{\sim}740^{\circ}C$의 온도조건에서 탄화하였다. 탄화온도가 높아질수록 시험체의 부피는 수축하였고, 방사 방향으로 할렬이 발생하였다. 탄화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목탄의 중량감소율은 증가되었으며, 특히 탄화온도 $300{\sim}340^{\circ}C$에서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목재의 도관은 탄화 시 방사방향보다 접선방향으로 매우 크게 수축하였다. 탄화온도 $250{\sim}300^{\circ}C$의 경우, 목섬유나 도관 주위의 유세포들이 탄화되지 않은 세포벽 형태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탄화온도 $340^{\circ}C$이상에서는 세포벽층이 매끄러운 비결정형인 목탄의 형태가 관찰되기 시작하였다. 탄화온도 $300^{\circ}C$까지는 목재 셀룰로오스의 결정성이 남아있었으나 $340^{\circ}C$ 이상에서는 비결정성으로 변화되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