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phanus sativus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22초

무청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from Radish (Raphanus sativus L.) Leaves)

  • 구경형;이경아;김영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90-395
    • /
    • 2008
  • 건조 무청을 물, 50% 에탄올 및 50% 메탄올로 추출한 물질의 생리활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건조 무청의 추출물 수율은 브랜칭하지 않은 건조 무청인 관동 무청(DRLK)은 $26.56{\sim}32.56%$이고, 미농단백 무청(DRLM)은 $34.34{\sim}36.90%$였다. 반면에 브랜칭한 무청군 수율은 $18.70{\sim}23.56%$로 브랜칭하지 않은 시료보다 수율이 낮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 브랜칭한 무청 시료는 $49.06{\sim}59.37mg/g$ 범위였고, 브랜칭을 하지 않은 시료는 $53.41{\sim}62.08mg/g$이었다. 시료에 따라서는 관동 무청시료(DRLK, BDRLK)보다 미농단백무 시료(DRLM, BDRLM)가 약간 더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은 브랜칭하지 않은 시료는 80% 이상의 활성을 보였고,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36.63{\sim}51.17%$ 범위의 활성을 보였으며, SOD 유사활성은 $38.53{\sim}45.38%$의범위의 활성을 보인 반면 브랜칭한 시료는 각각의 생리활성 측정에서 브랜칭하지 않은 시료보다 낮은 활성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관동 무청군이 미농단백 무청군보다 전자공여능, 아질산 소거능 및 SOD 유사활성에 있어서 약간 높은 활성을 보였고, 브랜칭하지 않은 무청이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천연보존제로서 한국산 무 및 종자 단백질의 생화학적 특성 : 항유전독성 및 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 (The Bi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radish (Raphanus sativus L.) and Its Seed Protein as a Natural Preservative : The Influences on Antigenotoxicity and Cytotoxicity)

  • 최윤혁;황철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61-565
    • /
    • 2005
  • 본 연구는 한국산 무 및 그 종자단백질을 추출 및 분리하여 3T3 세포주에 대해 항유전독성과 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과 항균활성을 검토하였다. 3T3 세포주에 직접발암원인 $100{\mu}g/ml$ MNNG를 $10{\mu}l$씩 투여한 후 10mg/ml의 무추출물(RJ)과 1mg/ml의 종자단백질(RSP)을 $10{\mu}l$씩 투여하였을 때, 각각 $43\%$$30\%$의 항유전독성을 보였다. 또한 lactose dehydrogenase (LDH) 정량 분석을 이용하여, 3T3 세포주에 대한 다양한 농도의 RJ 및 RSP를 투여한 후 세포독성을 관찰 한 결과 세포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이미 오염된 화장품에 대해 10 mg/ml 의 RJ와 1mg/ml의 RSP를 투여하였을 때, 세균성오염화장품 시료(C1)에 대해서 RSP가 $85\%$의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진균성오염화장품 시료(C4)에 대해서 RSP는 $79\%$, RJ는 $76\%$의 항균활성을 보였다.

효과적인 무 무름병 저항성 검정법 개발 (Development of an Efficient Bioassay Method for Testing Resistance to Bacterial Soft Rot of Radish)

  • 이수민;최용호;장경수;김헌;이선우;최경자
    • 식물병연구
    • /
    • 제24권3호
    • /
    • pp.193-201
    • /
    • 2018
  • Pa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Pcc)에 의한 무름병은 전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고 특히 온난 다습한 지역에서 문제가 심각하다. 본 연구는 Pcc에 의해 발생하는 무 무름병에 대한 효율적인 저항성 검정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판 무 품종 60개의 Pcc에 대한 저항성 정도를 조사하고, 추후 실험을 위해 저항성에 차이를 보이는 6개 품종을 선발하였다. 이들 6개 품종의 접종하는 무의 생육 시기, 접종원 농도, 접종 후 재배 온도 등의 발병 조건에 따른 무름병 발생을 조사하였다. 이들 실험의 결과로부터 무의 무름병에 대한 저항성을 검정하기 위해서는, 무 종자를 파종하고 온실($25^{\circ}C{\pm}5^{\circ}C$)에서 20일 동안 재배한 유묘에 Pcc 균주의 세균현탁액($8{\times}10^5cfu/ml$)을 분무하여 접종하고, 접종한 식물은 $25^{\circ}C$ 습실상에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25^{\circ}C$, 상대습도 80%의 생육상으로 이동하여 재배하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치주염 원인균에 대한 천연 식물 추출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Natural Plant Extracts against Periodontopathic Bacteria)

  • 이승희;김민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42-255
    • /
    • 2019
  • 이 연구는 34종의 천연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치주염 원인균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와 Prevotella intermedia에 대한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치주염 원인균에 대한 천연 식물 추출물의 항균효과를 연구하고자 유기용매 추출물을 이용하여 생육저지활성을 측정하고, 시료 추출물의 최소생육저해농도(Minimum Inhibition Concentration, MIC)를 측정한다. 1차적으로 34종의 각 천연 식물 추출물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디스크 확산법(disk diffusion method)을 이용하여 각 추출물의 생육저지환(clear zone, mm)의 크기를 측정한 결과 나복자, 목통, 백작약, 사간, 선복화, 어성초, 연교, 진교, 천련자, 황금, (천)황련, 황백, 해동피 등 13종에서 천연 식물 추출물이 치주염의 원인균인 A. actinomycetemcomitans에 대해서 생육저지 활성을 나타내었다. P. intermedia의 경우, 나복자, (일)당귀, 목통, 사간, 선복화, 어성초, 육계, 자완, 천련자, 황금, (천)황련, 황백, 해동피 등 13종에서 생육저지 활성을 나타내었다. A. actinomycetemcomitans에 대해서는 사간, 육계, 해동피, 황백, (천)황련에서 항균효과가 나타났다. (천)황련은 A. actinomycetemcomitans의 모든 유기용매 분획에서 가장 우수한 생육저지 활성을 나타내었다. P. intermedia는 사간, 육계, 천련자, 황백, 황련에서 생육저지 활성이 나타났다.

추출 방법에 따른 제주산 월동무(Raphanus sativus L.)의 향미 화합물 특성 비교 연구 (A Comparative Research of Taste and Odor Compounds Characteristics in Wintering Radish (Raphanus sativus L.) Produced in Jeju Island by Various Extraction Methods)

  • 홍성준;조성민;윤소정;정향연;이영승;박성수;송호수;신의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37-545
    • /
    • 2021
  • 본 연구는 전자 센서를 이용하여 다양한 추출방법에 따른 무 추출물들의 향미 특성을 조사하였다. 무의 신맛은 무 흰색 부위의 열수 추출물이 6.9의 센서 값을 나타내어 가장 높았다. 신맛은 8.0의 센서 값을 나타내어 무 초록색 부위의 콜드 브루 추출물이 가장 높았다. 감칠맛은 무 흰색 부위의 열수 추출물이 8.3의 센서 값을 나타내어 가장 높았다. 단맛은 무 초록색 부위의 콜드 브루 추출물이 6.8의 센서 값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쓴맛은 무 초록색 부위의 고온 가압 추출물이 7.5의 센서 값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전자코를 이용하여 무 추출물들에서 총 16개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확인하였다. 무 추출물 속 휘발성 향기성분들 중 methanethiol이 주요한 향기성분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결과들은 무 추출물의 향미 특성에 대한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FISH Karyotype and GISH Meiotic Pairing Analyses of a Stable Intergeneric Hybrid xBrassicoraphanus Line BB#5

  • Belandres, Hadassah Roa;Waminal, Nomar Espinosa;Hwang, Yoon-Jung;Park, Beom-Seok;Lee, Soo-Seong;Huh, Jin Hoe;Kim, Hyun Hee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1호
    • /
    • pp.83-92
    • /
    • 2015
  • xBrassicoraphanus line BB#5, a new synthetic intergeneric hybrid between Brassica rapa L. ssp. pekinensis and Raphanus sativus L. var. rafiphera induced by N-methyl-N-nitroso-urethane mutagenesis in microspore culture, shows high seed fertility and morphological uniformity. Dual-color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using 5S and 45S rDNA probes and genomic in situ hybridization (GISH) using B. rapa genomic DNA probe were carried out to analyze the chromosome composition and the meiosis pairing pattern compared to its parental lines. The somatic chromosome complement is 2n = 38, which consists of 17 metacentric and two submetacentric chromosomes with lengths of 2.18 to $5.01{\mu}m$. FISH karyotype analysis showed five and eight pairs of 5S and 45S rDNA loci. GISH meiosis pairing analysis showed that 19 complete bivalents were most frequent and accounted for 42% of the 100 pollen mother cells examined. Based on chromosome number, size, morphology, rDNA distribution, and meiosis pairing pattern, both parental genomes of B. rapa and R. sativus appear to exist in xBrassicoraphanus line BB#5, demonstrating its genome integrity. Such stable chromosome constitutions and meiotic pairing patterns in somatic and meiotic cells are very rare in natural and synthetic intergeneric hybrids. Chromosomal studies and genetic and phenotypic changes in allopolyploids a re discussed. The results p resented h erein will b e usef ul f or f urther g enomic s tudy o f xBrassicoraphanus lines and their improvement as promising new breeding varieties.

무우의 개화촉진(開花促進)을 위한 저온처리적기(低溫處理適期)에 대한 연구(硏究) (The studies on the optimal period of flowering acceleration of low temperature treated Rephanus sativus L.)

  • 김홍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9-23
    • /
    • 1978
  • 1. 식물(植物)의 크기에 따라서 저온(低溫)의 날극감응(剌戟感應)을 달리하였다. 2. 유식물시대(幼植物時代)에 있어서 단기간(短期間)의 저온(低溫)의 영양이 추태개화(抽苔開花)를 빠르게 하였다. 3. 저온처리후(低溫處理後)의 추태개화촉진(抽苔開花促進)의 현상(現象)은 성숙식물(成熟植物)보다도 유식물(幼植物)에 있어서 더 크고 특히 발아직전기(發芽直前期)가 가장 현저(顯著)하였다. 4. 저온(低溫)에 처리(處理)한 유식물(幼植物)은 그 묘(苗)가 큰 것일수록 전생장기간(全生長期間)이 점차적으로 길어진 것을 볼 수 있었으나, 처리후(處理後)는 반대(反對)로 단축(短縮)되었다. 5. 유식물(幼植物)에 $4^{\circ}C$내외(內外)의 저온(低溫)으로 처리기간(處理期間) 17일(日) 전후(前後)에서 현저(顯著)한 개화촉진(開花促進)을 나타냈으나 성숙식물(成熟植物)은 40일이하(日以下)에서도 추태(抽苔)하지 않았다.

  • PDF

Antiviral Effects of Natural Products on the Inhibition of Hepatitis B Virus DNA Replication in 2.2.15 Cell Culture System

  • Nam, Kung-Woo;Chang, Il-Moo;Choi, Jae-Sue;Hwang, Ki-Jun;Mar, Woong-Cho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권2호
    • /
    • pp.130-136
    • /
    • 1996
  • Evaluation of plant extracts that might inhibit hepatitis B virus (HBV) replication was performed to find potent anti-HBV agents. Eighty-five species of plants from forty-three families were tested for their anti-HBV activities using HBV-producing HepG2-derived 2.2.15 cells. The anti-HBV activity of plant extracts was measured by slot blot hybridization technique and cytotoxicity was determined by crystal violet staining procedure. All plants were extracted with methanol and the extracts were partitioned into n-hexane, ethyl acetate and aqueous layer. The ethyl acetate fractions of Rhus verniciflua $(stem:\;EC_{50},\;8.2{\mu}g/ml;\;CC_{50},\;9.4{\mu}g/ml)$, Gastrodia elata $(root:\;EC_{50},\;17.7{\mu}g/ml;\;CC_{50},\;>20{\mu}g/ml)$, Raphanus sativus $(seeds:\;EC_{50},\;17.3{\mu}g/ml;\;CC_{50},\;>20{\mu}g/ml)$, and Angelica gigas $(root:\;EC_{50},\;8.3{\mu}g/ml;\;CC_{50},\;15.6{\mu}g/ml)$ revealed the anti-HBV activity in 2.2.15 cell culture system and these fractions are under the process of further sequential fractionation by column chromatography to find the active principles against HBV.

  • PDF

cDNA Cloning and Overexpression of an Isoperoxidase Gene from Korean-Radish, Raphanus sativus L.

  • Park, Jong-Hoon;Kim, Soung-Soo
    • BMB Reports
    • /
    • 제29권2호
    • /
    • pp.137-141
    • /
    • 1996
  • A partial cDNA encoding a Korean radish isoperoxidase was obtained from a cDNA library prepared from 9 day old radish root. In order to obtain Korean radish isoperoxidase cDNA, 5' RACE (rapid amplification cDNA end) PCR was performed and a cDNA (prxK1) encoding a complete structural protein was obtained by RT (reverse transcription)-PCR. Sequence analysis revealed that the length of the cDNA was 945 base pairs, and that of the mRNA transcript was ca. 1.6 kb. The deduced amino acid of the protein were composed of 315 amino acid residues and the protein was 92% homologous to turnip peroxidase, and 46% to 50% homologous to other known peroxidases. The 945 bp cDNA encoding Korean radish isoperoxidase was over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up to approximately 9% of total cellular protein. The recombinant fusion protein exhibited 43 kDa on SDS-PAGE analysis and the activity level of the recombinant nonglycosylated protein was two fold higher in IPTG induced cell extracts than that of uninduced ones.

  • PDF

Allelopathic Effects of Artemisia lavandulaefolia

  • Kil, B.S.;Han, D.M.;Lee, C.H.;Kim, Y.S.;Yun, K.Y.;Yoo, H.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2호
    • /
    • pp.149-155
    • /
    • 2000
  • The allelopathic effects of Artemisia lavandulaefolia were studied using several test plants and microbes. Aqueous extracts and volatile compounds of A. lavandulaefolia inhibited seed germination, seedling and root growth of the test species such as Achyranthes japonica. Lactuca sativa,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Oenothera odorata, Plantago asiatica. Aster yomena, Elsholtzia ciliata, and Raphanus sativus var. hortensis for. acanthiformis. The root growth of test species was more affected than shoot growth by allelochemicals of A. lavandulaefolia. Essential oil of A. lavandulaefolia had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effects. However,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 was dependent upon the microbial species and concentrations. Callus growth of Oryza sativa, Brassica campestris subsp. napus var. pekinensis and Achyranthes japonica was sensitive by the essential oil of A. lavandulaefolia. Twenty three chemicals were identified from A. lavandulaefolia essential oil by gas chromatography. Primary allelochemicals among them were 1, 8-cineole, 1-$\alpha$-terpineol, $\alpha$-terpinene. camphor, 2-buten-1-ol and azulene. We concluded that aqueous extract and essential oil of A. lavandulaefolia were responsible for allelopathic effec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