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lity of childcare center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6초

어린이집 재원시간에 따른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어린이집 질적수준의 중재효과 (The Effect of Hours in Child Care Centers on Children's Daily Stres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Child Care Quality)

  • 김정화;이재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57-37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어린이집 재원시간과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어린이집 질적 수준의 일상적 스트레스 중재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 10개소와 그곳에 재원중인 만 3세부터 만 5세까지 유아 380명을 대상으로 질적 수준 평가 및 일상적 스트레스 검사를 하였고, 결과 분석을 위해 일원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 조절적회귀분석,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하루 재원시간이 7시간 이하인 유아보다 하루 9시간 이상인 유아의 경우가 더 높았다.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에 따라서는 공간 및 설비, 일상적 양육, 언어추론, 상호작용, 활동, 프로그램 구성, 부모 및 교직원의 7가지 변인 중,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 수준이 낮을수록, 부모와 교직원의 협조 및 전문성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높았다.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 중 하루 9시간 이상 장시간 재원하는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를 중재하는 변인은 언어추론, 상호작용, 부모와 교직원 변인이었는데, 구체적으로 언어추론 활동이 활발하고 교사와 유아간의 상호작용이 긍정적이며 부모와 교직원의 협조 및 전문성 수준이 높았을 때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감소하는 중재효과가 있었다.

저소득가정 유아의 보육시설 적응에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교사-유아관계가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Young Children's Adjustment to Child-Care Centers: Focused on Low-Income Families)

  • 김영희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79-688
    • /
    • 2011
  • Using data from an ongoing study of 170 children aged 4-6 years in low-income families, this study tests how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influences the adjustment to child-care centers of young children. The mothers' parenting behaviors were measured by the mothers of surveyed children, while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adjustment were rated by teachers. Measurements were recorded from using the Iowa Parent Behavior Inventory(Crase et al. 1987),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Pianta et al. 1995) and the Adjustment to Child-care Centers Scale(Lee 2004).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using the SPSS Program. Results indicate that mothers' parenting behaviors in the low-income families controlled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one area of early school adjustment, learning readiness. In other words, mothers who are more involved and demonstrate supportive parenting, have children with better learning readiness.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is strongly related to all areas of children's adjustment. The interaction effect of parenting behaviors and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children's learning readiness is observed. These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child closeness as well as the quality of parenting behaviors during the preschool period for the low-income family in improving early school adjustment.

비디오 활용 학습공동체를 통해 나타난 보육교사의 전문적 시각의 구성 요소: 선택적 주의와 인지 기반 추론을 중심으로 (The Components of the Child-care Teachers' Professional Vision Through the Video-based Learning Community: Focusing on Selective Attention and Knowledge-based Reasoning)

  • 김수정;이영신;이민주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7-43
    • /
    • 2019
  • 본 연구는 보육활동을 수행하는 보육교사들이 자신이 교실 내에서 영유아와 수행한 상호작용에 관한 영상을 동료 교사들과 함께 살펴보는 비디오 활용 학습공동체에 참여함으로써 Sherin(2007)이 제시한 교사의 전문적 시각의 두 가지 구성요소와 관련한 보육교사들의 경험을 탐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지역에 위치한 직장어린이집의 보육교사 3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교사들은 4회기의 비디오 활용 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해 자신의 상호작용 장면을 살펴보고 동료들과 함께 분석하고 협력적으로 토론해봄으로써 교사는 영유아의 의도 및 교사의 의도에 주목할 수 있었다. 또한, 비디오 활용 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하여 교사는 영유아의 사고, 관심을 기반으로 하는 추론, 교사의 사고, 의도를 기반으로 하는 추론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전문적 시각의 변화는 참여 교사 간의 협력적인 성찰을 통하여 가능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보육교사의 전문적 시각 발달의 중요성 및 전문적 시각 발달 지원을 위한 비디오 활용 학습공동체 참여의 효과성을 논하였다.

보육시설과 유치원 급식의 식품 및 환경 미생물의 오염도 평가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Foods and Kitchen Environments in Childcare Center and Kindergarten Foodservice Operations)

  • 설혜린;박형수;박기환;박애경;류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52-260
    • /
    • 2009
  • 경기지역 12곳의 보육시설과 유치원의 식재료 및 조리식품, 환경요소에 대한 미생물 오염도 평가를 위하여 2007년 8월${\sim}10$월까지 시료를 채취하였다. 농산물 17, 수산물 3, 축산물 6, 가공식품 6, 조리식품 24로 총 56가지 시료를 대상으로 하였고, 환경은 칼, 도마, 고무장갑, 조리종사원의 손, 행주, 공중낙하균을 포함하여 총 105개를 대상으로 하였다. 식재료에 대한 미생물 분석 결과, 보육시설의 농산물에서는 시금치 I, II와 양배추 I, 콩나물, 오이가 일반세균수 5 log CFU/g 이상으로 나타났고, 시금치 I, II와 양배추, 콩나물은 장내세균도 5 log CFU/g 수준이었다. 식중독균은 시금치 I에서 C. perfringens만 1.18 log CFU/g로 검출되었다. 수산물은 냉동오징어에서 일반세균만 5.87 log CFU/g로 검출되었다. 축산물에서 대장균군과 장내세균은 돼지고기와 닭고기에서만 각각 $2.38{\sim}5.15$, $2.30{\sim}3.14\;\log\;CFU/g$로 검출 되었고, 대장균은 대부분의 식재료에서 2 log CFU/g 정도로 높게 검출되었다. 가공식품 중 두부는 일반세균수가 7.46 log CFU/g로 높게 나타났다. 유치원의 농산물에서는 깻잎의 일반세균수와 대장균군수가 각각 7.04, 4.98 log CFU/g로 검출 되었다. 연근에서는 식중독균인 C. perfringens가 2.01 log CFU/g로 검출되었다. 수산물 중 조기는 일반세균만 3.39 log CFU/g로 나타났고, 오징어는 일반세균과 장내세균만 각각 4.89, 4.21 CFU/g로 나타났다. 축산물에서 쇠고기는 일반세균 4.22, 장내세균 2.53, 대장균군 2.43, 대장균 1.90 log CFU/g로 검출되었다. 가공식품 중 냉동고기산적에서는 4 log CFU/g 이상의 일반세균수가 검출되었으며, 대장균이 0.66 log CFU/g로 검출되어 기준에 적합하지 않았다. 쥐어채는 일반세균 5.58, 장내세균 4.12, 대장균군 3.72, 대장균이 1.69 log CFU/g로 검출되었다. 조리식품 중 비가열 조리공정 식품은 보육시설에서는 일반세균이 모두 적합수준이었으나 장내세균은 오이무침에서만 4.23 log CFU/g 검출되었다. 유치원에서는 배추겉절이에서 일반세균, 장내세균이 기준에 적합하지 않았다. 오이부추무침은 장내세균만 기준에 적합하지 않았다. 가열조리 후처리공정 식품은 보육시설의 경우 시금치나물 I에서 일반세균수와 장내세균수가 각각 6,5 log CFU/g 이상이었고, 시금치나물 II에서 장내세균이 2 log CFU/g 이상으로 검출되어 기준을 벗어났다. 가열조리 공정 식품은 보육시설, 유치원 모두 기준에 적합하였다. 조리과정에서 식품과 접촉할 수 있는 칼에서는 보육시설의 1 곳에서만 채소용 칼과 육류용 칼에서 기준치를 크게 넘어섰다. 도마에서는 보육시설의 경우 일반세균수는 채소도마에서 2곳이 허용치 이상으로 나타났고, 육류용 도마에서는 1곳이 4.43 log CFU/cm2로 검출되었다. 대장균군은 육류도마에서만 1곳에서 2.59 log CFU/cm2로 검출되었다. 유치원의 경우 1곳의 육류도마에서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이 기준에 적합 하지 않았다. 세척용 고무장갑에서는 보육시설의 경우 일반세균이 $1.58{\sim}6.04\;\log;CFU$/hand로 검출되었고, 1곳에서 장내세균과 대장균군이 각각 2.44, 1.58 log CFU/hand로 나타났다. 유치원은 4곳 모두 일반세균이 $1.80{\sim}3.19\;\log;CFU$/hand로 검출되었고, 그 중 2곳에서는 장내세균, 대장균군이 각각 $1.75{\sim}1.96$, $1.27{\sim}1.52\;\log\;CFU/g$로 나타났다. 조리용 고무장갑은 보육시설 1곳에서만 일반세균이 4.43 log CFU/hand로 검출되었다. 조리종사자의 손은 보육시설에서 일반세균수 $0{\sim}5.42\;\log\;CFU$/hand로 검출되었고, 장내세균 $0{\sim}4.30$, 대장균군 $0{\sim}3.78\;\log\;CFU$/hand로 검출되었다. 유치원에서는 9명 중 8명이 일반세균 ND ${\sim}4.00\;\log\;CFU$/hand로 검출되었고, 장내세균과 대장균군은 1명이 각각 1.99, 1.84 log CFU/hand로 검출되었다. 행주에서는 일반세균이 보육시설에서 $5.03{\sim}5.44\;\log\;CFU/g$ 범위로 나타났다. 영유아 급식 조리장 내 공중낙하세균 분석 결과 기준초과구역으로는 보육시설 1곳, 유치원 1곳이 각각 2.25, 2.30 log CFU/plate/15 min으로 검출되었고, 그중 유치원 1곳은 장내세균이 1.43 log CFU/plate/15 min로 검출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조사 대상 보육시설과 유치원의 일부 식재료는 높은 오염도를 보였으므로 이들 고위험 식재료에 대해서는 납품업체 선정 및 검수 기준 마련과 지도가 필요하다. 조리공정 별로는 비가열조리 및 가열조리 후처리 공정을 거치는 일부음식에 대한 온도관리 및 교차오염 방지 방안의 제시가 필요하며, 미생물 오염도가 높은 식품 접촉 표면에 의한 교차오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세척 및 소독방법의 기준이 제시되어 위생관리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어야 할 것이다.

Challenges of diet planning for childre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Changhun, Lee;Soohyeok, Kim;Jayun, Kim;Chiehyeon, Lim;Minyoung, J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6권6호
    • /
    • pp.801-812
    • /
    • 2022
  • BACKGROUND/OBJECTIVES: Diet planning in childcare centers is difficult because of the required knowledge of nutrition and development as well as the high design complexity associated with large numbers of food items.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expected to provide diet-planning solutions via automatic and effective application of professional knowledge, addressing the complexity of optimal diet design. This study presents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the utility of AI-generated diets for children and provides related implications. MATERIALS/METHODS: We developed 2 AI solutions for children aged 3-5 yrs using a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 model and a reinforcement learning (RL) framework. After training these solutions to produce daily diet plans, experts evaluated the human- and AI-generated diets in 2 steps. RESULTS: In the evaluation of adequacy of nutrition, where experts were provided only with nutrient information and no food names, the proportion of strong positive responses to RL-generated diet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human- and GAN-generated diets (P < 0.001). In contrast, in terms of diet composition, the experts' responses to human-designed diets were more positive when experts were provided with food name information (i.e., composition information). CONCLUSION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to demonstrate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I to support dietary planning for children. This study demonstrates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I-assisted diet planning methods for children and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mposition compliance in diet planning. Further integrative cooperation in the fields of nutrition, engineering, and medicine is needed to improve the suitability of our proposed AI solutions and benefit children's well-being by providing high-quality diet planning in terms of both compositional and nutritional criteria.

평가인증 운영과정에서 국공립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수행 시간과 심리적 어려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orking Time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 Teachers in the Operation Process of an Accreditation System)

  • 안소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03-223
    • /
    • 2016
  • 본 연구는 평가인증 운영과정에서 국공립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수행 시간과 심리적 어려움을 드러냄으로서, 이를 해결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291개소 국공립 어린이집 보육교사 4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보육교사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평가인증 운영 과정에서 교사는 매일 11시간의 과중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었고, '영유아와의 상호작용과 그 외 업무 사이', '자유로운 탐색과 안전 건강 사이', '우리 이야기와 외부 기준'사이에서 갈등하며 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인증 운영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교사의 인식전환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첫째, 평가지표 수행보다는 질 높은 보육에 관심을 두는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부분 최적화가 아닌 전체 최적화에 관심을 두는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이상과 같이 본 논문은 교사의 심리적 어려움을 탐색함으로서, 평가인증 운영과정에서 놓쳐서는 안 될 기본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어린이집 동료장학의 인식과 실태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 (The Differences in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the Perception and Practices of Peers' Supervision in Day Care Center)

  • 김현정;황혜정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85-97
    • /
    • 2019
  • 본 연구는 어린이집 동료장학의 인식과 실태에 따라 교사효능감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301명이며, 연구도구는 어린이집 동료장학의 인식과 실태를 물어보는 설문지와 교수효능감 척도이다. 동료장학의 인식과 실태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PSS 2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과 사후검증으로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교사의 동료장학 인식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보면, 동료장학에 대해 매우 잘 알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며 매우 필요하고 효과적인 도움을 준다고 생각하는 교사와 동료장학의 주된 관점을 교수 및 학습방법에 두는 교사가 일반효능감이 높았다. 어린이집의 동료장학 실태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보면, 동료장학을 받은 횟수와 해준 횟수가 높은 교사와 동료장학을 2주에 1회 정도 실시할 때, 주로 원감에 의해서 실시될 때, 일대일 중심보다 연구과제중심 동료장학이 많이 실시될 때 교사의 개인효능감이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동료장학 활성화를 통한 교사효능감 향상과 어린이집의 질적 개선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영아교사의 용기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Courage of Infant & Toddler Teachers)

  • 황해익;강현미;탁정화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85-309
    • /
    • 2013
  •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용기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기존에 간과되어 왔던 교사의 용기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영아교사의 역할 수행과정에 있어 용기라는 덕목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아교사 4인이며 2012년 6월부터 2012년 8월까지 12주 동안 3~5회에 걸쳐 연구자와 연구참여자들이 심층면담을 실시함으로써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영아교사의 용기는 신체적 손상과 죽음의 공포에도 용기 있는 행동을 하는 '몸을 불사르는 영아교사의 용기', 부모와 원장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원칙을 고수하며 자기반성을 통하여 양심과 원칙을 재구성하는 '양심과 원칙에 따르는 영아교사의 용기', 영아를 기르고 돌보는 과정에서 회복탄력성을 발휘하는'기르고 돌보는 영아교사의 용기'로 범주화되었다. 이는 영아교사가 영아를 돌보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용기의 특성을 규명하고 용기라는 덕목에 대한 의미부여 및 증진 방안마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자녀를 보내는 어머니들의 만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 비교 (Perceptions for the Nuri Curriculum for 5-Year Olds between Mothers Whose Children go to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 유제;황혜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07-133
    • /
    • 2013
  • 본 연구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유아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만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하여 누리과정의 발전과 정착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만 3~5세 유아의 어머니 382명(유치원 192명, 어린이집 190명)이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자녀의 재원 기관에 관계없이 어머니들은 누리과정이 시행 중인 것과 누리과정이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유아들을 위한 공통 교육과정인 것을 알고 있었다. 둘째, 어머니들은 누리과정이 필요하며, 누리과정에 대해서 만족을 나타냈다. 셋째, 누리과정이 갖추어야 할 환경적 요소에 대한 인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누리과정을 담당하는 교사의 자질에 대해서는 어머니 간 차이가 있었으나, 학력과 연령에 대한 선호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누리과정이 유아교육 보육의 질적 수준 향상에 비교적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였다. 여섯째, 어머니들은 만 5세 누리과정이 시행된 이후 자녀가 다니고 있는 기관을 옮기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육기관의 선택을 앞둔 유아와 학부모에게 도움을 주고자 한다.

실시간 행동인식 기반 아동 행동분석 서비스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Real-time Action Recognition-Based Child Behavior Analysis Service System)

  • 오치민;김선우;박정민;조인장;김재인;이칠우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3권2호
    • /
    • pp.68-84
    • /
    • 2024
  • 본 논문에서는 행동인식 기술을 기반으로 0세에서 2세까지의 아동을 대상으로 행동 발달 지표(활동성, 사회성, 위험성)를 파악하여 고도의 복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과 알고리즘에 관해 기술한다. 행동인식은 0세 영아의 눕기에서 부터 2세 유아의 점프까지 총 11개 행동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광주·전남지역 어린이집 3개소에서 연구용으로 제공받은 실제 영상으로부터 직접 취득한 데이터를 학습에 사용하였다. 11개 행동에 대해 425개 클립 영상에서 1,867개 행동 데이터셋을 구축하여 학습한 결과 평균 97.4%의 인식정확도를 확인하였다. 또 실세계 적용을 위해 행동분석 장치인 엣지 비디오 분석기(Edge Video Analyzer, EVA)를 제작하였고 이 장치 위에 4채널 영상에서 최대 30명까지 실시간 행동인식이 가능한 영역별 랜덤 프레임 선택 기반 PoseC3D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3곳의 어린이집에 설치되어 10명의 보육교사에 의해 1개월 간 실증테스트가 진행되었고 설문조사 결과 체감 정확도는 91점, 서비스 만족도는 94점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