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lmonary / carcinoma

검색결과 295건 처리시간 0.022초

근치적 절제 후 재발한 1,2기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임상상 (Clinical Characteristics of Recurred Patients with Stage I,II Non-Small Cell Lung Cancer)

  • 함형석;강수정;안창혁;안종운;김호철;임시형;서지영;김관민;정만표;김호중;김진국;권오정;심영목;이종헌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4호
    • /
    • pp.428-437
    • /
    • 2000
  • 배경 및 방법 : 근치적 절제술 후 재발한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임상적 특징과 재발 양상을 알아보고자 1994년부터 삼성서울병원에서 근치척 절제술을 시행한 1,2기 비소세포폐암환자 256명중 1년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하였던 23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 과 : 1) 전체 환자의 남녀 비율은 3.1:1이었고 연령의 중앙값은 63세로서 평균 추척 기간은 732일(365일~1,695일)이었다. 234명중 재발한 환자는 62명으로 26.5%였고 재발 기간은 수술후 평균 358.8일이었다. 2) 재발군과 비재발군의 임상양상을 비교하면 재발군의 연령이 많았으며($63.2{\pm}8.8$세 vs. $60.3{\pm}9.8$세, p=0.043), 재발율은 2기 환자가 1기 환자보다 높았다(6.0% vs. 21.2%, p<0.001). 원발암의 크기는 비재발군($3.74{\pm}1.75\;cm$)이 재발군($5.45{\pm}3.22\;cm$) 보다 작았고(p<0.001), 2cm 미만에서 재발이 발견된 경우는 없었다. 3) 원격 재발군과 국소성 재발군과의 분석에서 빈도는 원격 재발(66.1%)이 국소성 재발(33.9%)보다 많았고, 원격 재발은 여자가 남자보다 많았다(11/12명, 91.7% vs. 30/50 명, 60.0%. p=0.037). 선암이 편평세포상피암보다 원격 재발율이 높았고(20/25명, 80.0% vs. 15/29 명, 51.7%. p=0.030). 뇌전이 발생율이 선암(50.0%)에서 편평세포상피암(13.3%)보다 높았다(p=0.024). 4) 평균 생존 기간은 $1437.6{\pm}40.3$일이었고, 병기가 높을수록 생존기간이 길었다(log rank p<0.001). 결 론 : 1,2기 비소세포폐암의 근치적 절제술 후 재발은 26.5%에서 일어났고 종양의 크기 및 병기가 재발에 관련된 인자였다. 원발암의 크기가 2cm미만일 경우 재발된 경우가 없어 예후가 좋을 것으로 기대되며, 재발암 중에서는 여성과 선암에서 원격 재발율이 높았고 특히 뇌전이는 선암에서 많이 발생하여 수술 전 뇌영상 검사에 대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두경부의 Adenoid Cystic Carcinoma (Adenoid Cystic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 박준식;설대위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1년도 제15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4.2-14
    • /
    • 1981
  • 1859년 Billroth가 부비동에 발생한 종양을 "Zylindrome" 이라고 처음 명명한 이후 cylindroma, basaloma, basaloid adenoma, cribriform adenocarcinoma등으로 일컬어져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adenoid Cystic carcinoma라고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종양은 주로 두경부의 타액선에서 발생하고 있으나 그외 기관, 폐, 유방, 피부 등에서도 드물게 생긴다고 한다. 이 종양은 근치수술과 같은 광범위한 외과적 절제후에도 국소재발이나 원격전이가 많으며 방사선 치료로서 완전치유는 불가능 하나 종양의 축소와 동통의 소실등 경감치료에 좋은 효과를 보여 주는 것이 그 특징이다. 저자들은 1963년 1월부터 1980년 l2월까지 전주 예수병원에서 진단받은 adenoid cystic carcinoma 44례에 대하여 분석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동기간의 두경부 악성종양중 3.8%를 차지하며 타액선 악성종양중 40%였었다. 2) 가장 흔한 원발장소는 구개, 악하선으로 각각 8례이며 그외 상악동이 6례 비강이 5례, 이하선, 설부위가 각각 4례였다. 3) major gland가 13례(31%), minor gland가 29례 (69%)였 다. 4) 성별은 남자 21례, 여자 23례로 남여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5) 연령빈도는 19세에서 78세 사이로 평균 연령은 50세 였다. 6) 초친시 종양의 크기는 4∼6cm가 10례로 가장 많으며 임상적 경부 임파전이가 7례, 원격전이가 1례 였다. 7) 27례에서 근치수술을 시행 하였으며 이 중 14례는 수술과 방사선 병용 요법을 시행하였다. 8) 추적 관찰이 가능 하였던 29례에서 gross 3-year survival은 27.6%, determinate 3-year survival은 44.4%였다. 이 중 근치수술 받은 12례 있어서 3-year survival rate는 58%였다. 9) 29례중 10례에서 치료후 국소 재발을 보였다. 치료와 국소 재발 간의 기간은 3개월에서 88개월이며 이중 3례는 5년 이후였다. 10) 치료후 원격전이를 보인 것은 3례이며 전이장소는 모두 폐 였다.

  • PDF

고립성 폐결절로 나타난 기관지폐포암의 임상적 고찰 (The Characteristics of Bronchioloalveolar Carcinoma Presenting with Solitary Pulmonary Nodule)

  • 김호철;천은미;서지영;정만표;김호중;권오정;이종헌;한용철;이경수;한정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2호
    • /
    • pp.280-289
    • /
    • 1997
  • 연구목적 : 기관지폐포암은 다양한 임상적, 방사선적인 양상으로 나타나며 대표적인 방사선적인 양상으로 또는 종괴, 국소적 경화, 미만성 결절 또는 경화 등으로 나타난다. 고립성 결절 또는 국소적 경화 병변으로 나타난 기관지폐포암은 다발성 병변과는 달리 예후가 좋으므로 조기에 진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고립성 결절로 나타나는 기관지폐포암은 비특이적 임상증상과 다양한 방사선 양상으로 폐렴, 폐결핵, 양성병변으로 오인되어 치료의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있다. 이에 저자들은 고립성 폐결절로 나타난 기관지폐포암의 임상적, 방사선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5년 1월부터 1996 년 8월까지 서울삼성병원에서 병리학적으로 기관지폐포암이 진단되고 방사선 소견에서 고립성 폐결절로 나타난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방사선적인 특성을 조사였다. 결 과 : 환자는 총 11명으로 남자는 6명, 여자 5명이었고 환자들의 연령은 37세에서 69세로 중앙 연령값은 60세이었다. 대부분의 환자는 증상이 없이 단순흉부촬영에서 우연히 이상소견이 발견되어 진단되었다. 단순흉부촬영상 대부분 경계가 불명확한 결절 또는 음영증가의 소견을 보였고 단순흉부촬영후 추측진단 양성병변이나 결핵성 폐병변으로 오인되었던 예가 6예였고 5예에서만 악성 결절로 추정되었다. 전산화단층촬영상 경화, 간유리 모양, 기관지 공기 조영, open bronchus sign, internal bubble-like lucencies, spiculated margin 또는 pleural tag등의 소견이 대부분의 환자에서 관찰되었다. FDG-PET 검사를 시행한 8예중 3예에서 악성을 의심하는 소견이 보였고 5예에서 위음성의 소견을 보였다. 병리학적인 진단은 경기관지폐생검과 경피적 폐생검을, 통해 진단된 예가 각각 1예, 2예이었고 8예에서는 비디오흉강경을 이용한 폐생검을 통해 이루어졌다. 환자는 모두 폐엽절제술을 시행받았고 수술후 병기는 $T_1N_0M_0$가 8예, $T_2N_0M_0$가 3예로 근치적 절제술이 가능하였다. 결 론 : 고립성 결절 양상의 기관지폐포암은 증상 없이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단순흉부촬영상 주로 경계가 불명확한 결절 또는 음영증가의 소견으로 나타나 양성병변으로 오인되는 경우가 많았다. 만약, 이런 병변이 추적검사에서 계속 남아 있거나 커지는 경우는 흉부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여 경화, 간유리 모양, 기관지 공기조영, internal bubble-like lucencies, spiculated margin 또는 pleural tag등 소견을 보인다면 개흉술 등을 포함한 적극적인 진단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T2N0M0 비소세포성 폐암의 근치적 방사선치료 (Curative Radiation Therapy for T2N0M0 Non-small Cell Lung Cancer)

  • 박인규;김재철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3권1호
    • /
    • pp.19-26
    • /
    • 1995
  • Purpose : Surgery is the treatment of choice for resectable non-small cell lung cancer. For patients who are medically unable to tolerate a surgical resection or who refuse surgery, radiation therapy is an acceptable alternative. A retrospective analysis of Patients with stage I non-samll cell lung cancer treated with curative radiation therap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results of curative radiation therapy and patterns of failure,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may influence survival. Materials and Methods : From 1986 through 1993, 39 Patients with T2N0M0 non-small cell lung cancer were treated with curative radiation therapy at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ll Patients were not candidates for surgical resection because of either Patient refusal (16 patients), poor pulmonary function (12 patients), old age (7 patients), Poor Performance (2 patients) or coexisting medical disease (2 patients). Median age of patients was 67 years. Histologic cell type was squamous cell carcinoma in 36, adenocarcinoma in 1, large cell carcinoma in 1 and mucoepidermoid carcinoma in 1. All patients were treated with megavoltage irradiation and radiation dose ranged from 5000cgy to 6150cGy with a median dose of 6000cGy. The median follow-up was 17 months with a range of 4 to 82 months, Survival was measured from the date therapy initiated. Results : The overall survival rate for entire Patients was $40.6\%$ at 2 years and $27.7\%$ at 3 years, with a median survival time of 21 months. The disease-free survival at 2 and 3 years was $51.7\%$ and $25.8\%$, respectively. Of evaluable 20 patients with complete response, 15 patients were considered to have failed. Of these, 13 patients showed local failure and 2 patients failed distantly. Response to treatment (p=0.0001), tumor size (p=0.0019) and age (p=0.0247) were favorably associated with overall survival. Only age was predictive for disease-free survival (p = 0.0452). Conclusion : Radiation therapy is an effective treatment for small (less than 3cm) tumors, and should be offered as an alternative to surgery in elderly or infirm patients. Since local failure is the prominent Patterns of relapse, potential methods to improve local control with radiation therapy are discussed.

  • PDF

Epidemiological and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ung Cancer in a Teaching Hospital in Iran

  • Hajmanoochehri, Fatemeh;Mohammadi, Navid;Zohal, Mohammad Ali;Sodagar, Abolfazl;Ebtehaj, Mehd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6호
    • /
    • pp.2495-2500
    • /
    • 2014
  • Background: Lung cancer is one of the most commonly diagnosed cancers and the most frequent cause of cancer-related death worldwide. In Iran, it ranks second and third as the cancer-causing death in men and women, respectively. We carried out this study to find out the demographic, clinical, and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of lung cancer in a referral tertiary center in Iran.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cases of primary lung cancer based on the results of registered cancer reports of cytological and pathological specimens between March 2001 and March 2012. Demographic variables, clinical manifestations, histology and location of tumors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data found in the medical records of each patient. Definite or probable etiologic factors were identifi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SPSS version 16 and a p-value ${\leq}0.05$ was considered as significant. Results: A total of 203 patients, with a mean age of 65.7 years (SD=11.2), with primary lung cancer were identified, 81.3% being men. Of the total, 110 cases (54.2%) were living in urban areas. In 53.2% of cases, the site of tumor was on the right side and in 72.9% of cases the lesion was centrally located. The histological types of lung cancer were squamous cell carcinoma (SCC) in 107 cases (52.7%), adenocarcinoma (AC) in 30 cases (14.8%), and small cell carcinoma (SC) in 27 cases (13.3%).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gender and residence, smoking, and the histological type and location (central or peripheral) of tumor were found. The percentage of smokers was 75.2% in men and 15.8% in women. Conclusions: Smoking was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 and squamous cell carcinoma the most common histological type of lung cancer in our study. Male sex and being a smoker was associated with histological types of SCC while being nonsmoker had relationship with adenocarcinoma.

Predictive Factors for Switched EGFR-TKI Retreatment in Patients with EGFR-Mutant Non-Small Cell Lung Cancer

  • Kwon, Byoung Soo;Park, Ji Hyun;Kim, Woo Sung;Song, Joon Seon;Choi, Chang-Min;Rho, Jin Kyung;Lee, Jae Cheol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0권2호
    • /
    • pp.187-193
    • /
    • 2017
  • Background: Third-generation tyrosine kinase inhibitors of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TKIs) have proved efficacious in treating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patients with acquired resistance resulting from the T790M mutation. However, since almost 50% patients with the acquired resistance do not harbor the T790M mutation, retreatment with first- or second-generation EGFR-TKIs may be a more viable therapeutic option. Here, we identified positive response predictors to retreatment, in patients who switched to a different EGFR-TKI, following initial treatment failure. Methods: This study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42 NSCLC patients with EGFR mutations, whose cancers had progressed following initial treatment with gefitinib or erlotinib, and who had switched to a different first-generation EGFR-TKI during subsequent retreatment. To identify high response rate predictors in the changed EGFR-TKI retreatment,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and demographic parameters, and positive clinical outcomes, following retreatment with EGFR-TKI. Results: Overall, 30 (71.4%) patients received gefitinib and 12 (28.6%) patients received erlotinib as their first EGFR-TKI treatment. Following retreatment with a different EGFR-TKI, the overall response and disease control rates were 21.4% and 64.3%,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ir overall responses. The median progression-free survival (PFS) after retreatment was 2.0 months. However, PFS was significantly longer in patients whose time to progression was ${\geq}10months$ following initial EGFR-TKI treatment, who had a mutation of exon 19, or whose treatment interval was <90 days. Conclusion: In patients with acquired resistance to initial EGFR-TKI therapy, switched EGFR-TKI retreatment may be a salvage therapy for individuals possessing positive retreatment response predictors.

CT상 악성여부가 불명확한 단일 폐결절에서의 양전자방출단층촬영술의 유용성 (Role of PET in Evaluating Indeterminate Solitary Pulmonary Nodule with CT)

  • 윤석부;최준영;김선정;최용;최연성;이경한;김상은;권오정;이경수;김병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3-89
    • /
    • 1997
  • CT에서도 악성 여부가 불명확한 단일 폐결절의 감별진단에 있어 PET이 어떠한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이러한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FDG-PET을 시행하여 각 환자에서 구한 pSUV, aSUV, TAC 양상, 50/10비의 4가지 매개변수를 조직검사결과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4가지 매개변수의 악성판정 기준치로 $pSUV{\geq}3.5$, aSUV>2.5, TAC=상향, 50/10비${\geq}1.45$를 적용하였을 때 악성판정에 있어 각각의 예민도는 86.7%, 66.6%, 86.7%, 73.3%였으며, 특이도는 86.7%, 86.7%, 46.7%, 86.7%였다. 2) 4가지 매개변수중 구하기 용이한 점과 정확도를 감안할 때 임상적으로 pSUV가 가장 유용하였다. 3) pSUV를 사용하였을 경우 CT에서 불확실한 단일 폐결절의 87%에서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였다. 4) 기관지 폐포암을 제외할 경우 예민도가 100%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FDG-PET에서 구한 pSUV는 여러 가지 매개변수중 가장 용이하게 구할 수 있으며 비 침습적으로 단일 폐결절의 악성여부를 가릴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었다.

  • PDF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tic Factors of Lung Cancer in Korea: A Pilot Study of Data from the Korean Nationwide Lung Cancer Registry

  • Kim, Ho Cheol;Jung, Chi Young;Cho, Deog Gon;Jeon, Jae Hyun;Lee, Jeong Eun;Ahn, Jin Seok;Kim, Seung Joon;Kim, Yeongdae;Kim, Young-Chul;Kim, Jung-Eun;Lee, Boram;Won, Young-Joo;Choi, Chang-Mi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2권2호
    • /
    • pp.118-125
    • /
    • 2019
  • Background: Lung cancer is a leading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worldwide, and the incidence continues to rise. Although many prognostic factors have been identifi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in Korean lung cancer patients are not well defined. Methods: Of the 23,254 new lung cancer cases registered at th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in 2013, total 489 patients from 19 hospitals were abstracted by the Korean Central Cancer Registry. The clinical data retrospectively analyzed, patients were followed up until December 2015. Results: The median age was 69 years (interquartile range, 60-74 years); 65.4% were male and 62.1% were ever-smokers. Cough was the most common initial symptom (33.5%); 13.1% of patients were asymptomatic. While squamous cell carcinoma was the most common subtype in male patients (37.2%), adenocarcinoma was the most frequent histological type in all patients (48.7%) and females (76.3%). The majority of patients received treatment (76.5%), which included surgery, radiation therapy, and chemotherapy. Older age (hazard ratio [HR], 1.037), lower body mass index (HR, 0.904), ever-smoker (HR, 2.003), small cell lung cancer (HR, 1.627), and distant metastasis (HR, 3.990)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mortality. Patients without symptoms (HR, 0.387) and without treatment (HR, 0.364) were associated with a favorable outcome in multivariate Cox analysis. Conclusion: Lung cancer in Korea occurs predominantly in elderly patients, with adenocarcinoma being the most frequent subtype. The prognosis was poorer in ever-smokers and older, malnourished, and untreated patients with advanced lung cancer.

편평상피폐암에서 암억제유전자 RASSF1A의 메틸화와 임상 및 병리소견과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RASSF1A Methylation and Clinicopathological Factors in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Lung)

  • 최내윤;이혜숙;송인승;임유성;손대순;임대식;최용수;김진국;김호중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7권3호
    • /
    • pp.265-272
    • /
    • 2004
  • 연구배경 : RASSF1A는 종양억제유전자 중의 하나로 폐암을 비롯한 다양한 암에서 프로모터지역의 메틸화에 의해서 발현이 억제된다. 저자들은 편평상피폐암 환자에서 RASSF1A 메틸화가 임상 및 병리소견과 어떠한 연관성을 갖는지 조사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81예의 편평상피폐암과 정상 폐조직에서 RASSF1A 메틸화를 methylation specific PCR(MSP) 방법과 염기서열 분석방법에 의해서 실험하였고, 임상 및 병리소견과의 연관성을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편평상피폐암에서 RASSF1A메틸화가 37.0%(30/81)에서 관찰되었다. RASSF1A의 메틸화는 세포분화도와 연관이 있었으며(p=0.0097), 생존율과도 연관이 있을 가능성이 있었다(p=0.0635). 그러나, RASSF1A 메틸화와 TNM 병기, 재발 유무, 임파절전이 유무, 흡연양과는 연관이 없었다. 결 론 : RASSF1A 메틸화가 편평상피폐암의 나쁜 예후와 관계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더 많은 예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점액상피암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Review of Mucoepidermoid Carcinoma of The Lung in Korea)

  • 김연재;박재용;신무철;배문섭;김정석;채상철;박태인;김창호;정태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2호
    • /
    • pp.311-321
    • /
    • 1998
  • 연구배경: 기관지 점액상피암은 기관지의 점액선세포에서 기인한 악성 종양으로 세포들의 구성비와 mitosis정도에 따라 저등급 몇 고등급 종양으로 구분되며 저등급의 종양은 예후가 양호한 반면 고등급의 종양은 선종편평상피암과 조직학적으로 감별이 어렵고 악성 임상경과를 보인다. 기관지 점액상피암은 폐종양의 0.1~0.2%, 그리고 기관지선종의 1~5%를 차지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는 소수의 증례보고만 있었다. 저자들은 문헌으로 확인된 예를 포함하여 경북대학교 병원에서 기관 및 기관지 정액상피암으로 진단된 예에 대하여 임상고찰을 하였다. 방 법: 1990년 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점액상피암으로 진단받았던 9예와 국내에 보고된 증례가운데 문헌으로 확인할 수 있었던 8예를 포함한 17예를 대상으로 임상상, 방사선 및 기관지내시경소견, 그리고 조직학적소견과 임상경과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남자 12예와 여자 5예였으며, 평균나이는 42 세였다. 흡연력은 17예 가운데 5예에서 있었으며 평균 흡연력은 11인년이었다. 내원당시 주요 증상은 호흡곤란 9예, 기침 7예, 객혈 6예, 자각적 천명음 3예였으며, 증상이 없는 경우가 2 예였다. 단순 흉부 X-선 사진상 폐허탈소견이 8예, 종괴양 음영 5예, 폐렴양침윤소견이 2예, 다발성결절소견이 1예였으며. 1예는 정상이었다. 17예 가운데 16예는 중심형으로 발생부위는 좌주기관지가 5예, 우주기관지가 4예, 우중엽기관지가 2예였고, 그외 기관, 우중간간기관지, 우상엽기관지 및 좌상엽기관지가 각각 1예였으며, 1예는 양측 기관지에 병변이 있었다. 중심형 16예의 기관지 내시경소견은 외장형 종과 12예와 결절성 침윤소견 4 예였다. 우폐하야에 위치한 말초형 1예는 정상기관지 내시경소견이었다. 조직소견상 10예가 저등급이었고 7예는 고등급이었다. 10예의 저등급가운데 9예는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종양이 상부기관에 있었던 l예는 레이저요법 및 방사선치료를 받았으나 사망하였다. 고등급암종 7예의 경우 2예는 전폐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종격동임파절, 심낭 및 흉막의 전이가 있었던 4 예와 폐결핵이 동반되어 전신상태가 불량하였던 1예는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요법 또는 보존적치료를 하였다. 결 론: 점액상피암은 다양한 연령층에서 발생하고 대부분 중심기도에 위치하여 기도 자극증상과 함께 폐허탈, 종괴양음영 및 폐쇄성폐렴 등과 같은 방사선소견을 보인다. 병리조직학적인 등급과 주위장기로의 전이유무 등이 치료 및 예후판정에 있어 중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