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pylparaben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33초

Simultaneous HPLC determination of multiple compounds in a cosmetic lotion

  • Baeksun Ahn;Jung, Chul-Hee;Lim, Ho-Soon;Lee, Hoosub;Lee, Sang-Hoon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23-134
    • /
    • 2003
  •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을 사용하여 동시에 arbutin, 메탄올에 녹인 methyl, ethyl, prpyl, butyl parben과 glablidien(유용성감초추출물)을 파장 254와 276 nm에서 Gradient methanol로 octdecyl culumn을 사용하여측정하였다. arbutin와 glablidien 농도 0.5-1.0 ug/ml 파라벤류는 0.1-2.0 ug/ml에서 검량선이 직선으로 작성되었다. 검량이 직선으로 나타나 정량분석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샘플 전처리가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하기에 좋은 방법이란 것을 판정하기 위하여 일반로션을 사용하여 판정하였다. 이 방법의 정확도는 모든 측정물질(arbutin, methylparaben, ethylparaben, propylparaben, butylparaben, glablidine)의 회수율 상대표준편차(RSD)가 (0.28-2.55%) 나타나 신뢰성 있는 결과를 보였다.A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method for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arbutine, a mixture of methyl, ethyl, propyl, butyl parabens dissolved in methoanol and Glrablidine(Oil Soluble Licorice), was studied by using a ODS C18 column and a methanol gradient at 254 and 276 nm. Calibration curves were found to be linear in the 0.5-1.0 ug/ml range(compounds arbutine, glrablidin) and 0.1-20 ug/ml (compounds methylpaaben, ethylparaben, propylparaben, butylparaben). Linear regression analysis of the data demonstrates the efficacy of the method in terms of precision and accuracy. An extraction method is developed and validated in order to apply this chromatographic method to a cosmetic lotion. The presision of this method, calculated as the relativ standard deviation(RSD) of the recoveries(0.28-2.55%) was excellent for all compounds.

뇨중 파라벤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제3기 국민환경보건기초조사 자료 분석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Urinary Paraben Concentration: An Analysis of the Third Korean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 (KoNEHS) Data)

  • 김재민;이경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37-47
    • /
    • 2023
  • Background: Paraben is a widely used substance with a preservative effect found in various materials such as food, medicine, personal care products, and cosmetics.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level of urinary paraben concentrations (i.e., methyl-, ethyl-, and propyl-) among Korean adults and to explore the factors related with the exposure levels. Methods: We analyzed the third period (2015~2017) of the Korean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 (KoNEHS). R statistical software (version 4.1.1) was used to estimate representative values for the whole population with weight variables to reflect sampling design. Whether urinary concentrations tended to increase as the level of paraben exposure-related characteristics increased was tested and Ptrend was calculated using general linear models. Results: Urinary concentrations of all three parabens (i.e., methyl-, ethyl- and propyl-) were higher in women than in men (Ptrend<0.0001, 0.008, and <0.0001), and the values of methylparaben and propylparaben tended to increase as the age of subjects increased (Ptrend<0.0001, and <0.0001). Urinary concentrations of methylparaben and propylparaben were associated with intensity of exercise (Ptrend<0.001, and 0.004), and that of propylparaben was higher in non-smokers (Ptrend=0.01). In terms of paraben exposure-related variables, urinary concentrations of parabens (i.e., methyl-, ethyl- and propyl-) increased as the daily average frequency of teeth-brushing (Ptrend<0.0001, 0.03 and 0.0001), the frequency of use of hair products (Ptrend=0.005, 0.05 and 0.04), the frequency of use of makeup products (Ptrend<0.001, 0.001 and <0.001), and the frequency of use of antibacterial products (Ptrend=0.005, 0.02 and 0.02) increased. Conclusions: In our study, urinary concentrations of all three parabens are associated with gender, teethbrushing, hair products, make-up products, and antibacterial products. Methyl- and proyl-parabens were associated with age and intensity of exercise, and propyl-paraben was associated with smoking.

화장품 중 살균방부제 함량 연구 (The Determination of Preservative Dosages in Cosmetics)

  • 박준조;윤덕희;김범호;백정혜;조규홍;김세진
    • 환경위생공학
    • /
    • 제13권1호
    • /
    • pp.104-111
    • /
    • 199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preservatives in cosmetic lotions and creams. The 55 kinds of creams and the 45 kinds of lotions were tested, and the 6 kinds of preservatives such as sorbic acid (SA), benzoic acid (BA), methlparaben(MP), ethylparaben(EP), propylparaben(PP) and butylparaben(BP) were determined for domestic and foreign cosmetic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 The recovery rates of methanol extraction and distillation method were respectively the range of 84.82 - 99.62% and 17.47 - 79.91% for the spiking concentration of 1.2% in the cosmetic lotions. Excellent isolation was showed at the wavelength of 230nm for 6 kinds of preservatives. Preservatives were detected for all tested samples and their concentration were not exceeded in cosmetic combination limits. Paraoxybenzoate esters(MP, EP, PP, BP) were used in the 98.0% of samples and not less than 2 kinds of preservatives were used in samples.

  • PDF

화장품중 살균ㆍ보존제의 동시분리 및 정량 (Simultaneous HPLC Determination of Preservatives in Cosmetics)

  • 양성준;김영옥;손경훈;이정표;정래석;양원준;백옥진;이현경;최상숙
    • 약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231-236
    • /
    • 2002
  • A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method for the simultaneous quantitative analysis of methylparaben (MP), ethylparaben (EP), propylparaben (PP), butylparaben (BP) and imidazolidinyl urea(IU) or diazolidinyl urea(DU) in cosmetics was studied by using a cyano-propyl column and 0.05M hexanesulfonic acid at 228 nm. Calibration curves were found to be linear in the 60-1000 $\mu\textrm{g}$/mL range (parabens), 100-1,250 $\mu\textrm{g}$/mL range (IU) and the 120-2000 $\mu\textrm{g}$/mL range (DU). Linear regression analysis of the data demonstrates the efficacy of the method in terms of precision and accuracy. An extraction method is developed and validated in order to apply this chromatographic method to a commercial cosmetic cream. The precision of this method, calculated as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of the recoveries (0.46-2.71%) was excellent for all compounds.

Phenoxyethanol을 이용한 저자극 방부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The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Low Irritable Preservative System with Phenoxyethanol in Cosmetics)

  • 안기웅;이춘몽;김형배;정지헌;조병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3-49
    • /
    • 2005
  • 최근, 민감성 피부가 증가함에 따라 화장품의 안전성이 매우 중요시되고 있으며, 특히 방부제는 화장품 사용에 따른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주요 자극원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방부제의 세포 독성 피부 투과, 유/수 분배, 항균력 비교 및 이를 통한 피부 자극과의 상관성 분석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상기의 여러 factor를 고려하여 화장품에서 빈번히 사용되고 있는 방부제의 하나인 phenoxyethanol을 이용한 저자극 방부시스템 개발에 관한 것이다. MTT assay를 통하여 human norm기 fibroblast cell에 대한 독성을 평가해 본 결과, 세포 독성은 propylparaben>butylparaben>ethylparaben>methylparaben>triciosan>phenoxyethanol 순으로 확인되어 phenoxyethanol이 다른 방부제에 비해 낮은 세포 독성을 나타낸 반면, 피부 일차자극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한 인체 첩포시험에서는 triclosan, methylparaben에 비해 높은 피부 자극을 나타내었다. 5 ${\~}$ 8 주령의 웅성 무모생쥐의 피부를 적출하여 in vitro Franz diffusion cell system을 이용한 방부제의 피부 투과도를 측정하여 본 결과, 피부 투과도는 phenoxyethanol > methylparaben > ethylparaben > propylparaben > butylparaben > triclosan 순으로 확인되어 세포 독성이 낮은 phenoxyethanol의 높은 피부 자극이 높은 피부 투과도와 연관성이 큰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독성이 낮은 phenoxyethanol의 피부 투과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으며, 연구 결과, 제형내 polarity가 낮은 oil을 사용할 경우 phenoxyethanol의 피부 투과가 현격히 감소하며, 피부 자극도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Oil polarity에 따른 Phenoxyethanol의 유/수 분배 측정 결과, Polarity가 낮은 oil에서는 $70\%$ 이상의 Phenoxyethanol이 수상에 존재한 반면, polarity가 높은 oil에서는 약 $70 {\~} 90\%$의 phenoxyethanol이 유상에 존재하였다. 또한,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도 phenoxyethanol이 수상에 많이 존재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제형 내 oil tomposition을 변화시킴으로써 phenoxyethanol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 투과를 감소시켜 보다 피부 자극이 적은 저자극 방부시스템 개발이 가능하리라 보여 진다.

방부제에 의해 유발되는 자극감에 대한 화장품에서의 영향 요인 연구 (A Study of Influencing Factors for Sensory Irritation Due to Preservatives of Cosmetics)

  • 이은영;최동원;안수선;문성준;장이섭;은희철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5-68
    • /
    • 2006
  • 화장품에서 홍반과 같은 피부 자극뿐만 아니라, 육안적으로 관찰되지는 않으나 소비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따가움, 화끈거림, 가려움 등의 자극감을 평가하는 것도 중요하다. 스스로 민감성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증가하는 추세에 자극감에 대한 연구는 더욱 중요해 지리라 여겨진다. 현재까지 자극감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는 알러지 있는 유발 화장품 원료는 lactic acid, glycolic acid, ethanol, 방부제류, 향료류, menthol 등이 있으며 pH가 증가할수록, 폐쇄 조건 등으로 흡수가 증가할수록 자극감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방부제 4종(methylparaben, propylparaben, phenoxye thanol, chlorophenecin)의 자극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팩 제형과 같은 흡수가 증가되는 제형에서와 그렇지 않은 제형에서의 방부제에 따른 자극감 결과에 차이를 보였다. 또한 서로 다른 방부제가 혼합된 경우에 상승 효과에 의하여 자극감이 높아지는 결과를 보인 경우도 있다. 무엇보다 phenoxyethanol과 chlorophenecin은 매우 미약한 자극감을 유발하였으나 혼합 사용한 경우에는 자극감이 상승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방부제에 의한 자극감은 제형에 의한 흡수 정도나 혼합되는 원료의 특성에 따라 자극감의 정도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새로운 화장품의 원료의 선택시 이러한 영향을 함께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Oestrogenic Activity of Parabens in Endocrine System

  • Lee, Seong-Hun;Kim, Sun-Jung;Park, Jung-Ran;Jo, Eun-Hye;Park, Joon-Suk;Hwang, Jae-Woong;Bo, Sun;Lee, Soo-Jin;Lee, Yong-Geon;Chung, Yun-Hyeok;Lee, Yong-Soon;Kang, Kyung-Sun
    • 한국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독성학회 2005년도 춘계 국제심포지엄 및 학술대회
    • /
    • pp.184-184
    • /
    • 2005
  • PDF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파라벤의 In Vitro 검색시험 연구에서의 내분비독성 (Oestrogenic Activity of Parabens In Vitro Estrogen Assays)

  • 이성훈;김선중;박정란;조은혜;안남식;박준석;황재웅;정지윤;이영순;강경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00-106
    • /
    • 2006
  • ER와 리포터 유전자인 $\beta$-galactosidase가 도입된 효모재조합검색시험법을 이용하여 파라벤류의 내분비계 장애작용을 검색하였다. 양성대조 시험물질로 앞의 시험법들과 동일하게 E2와 BPA를 설정하여 파라벤류의 에스트로젠성을 비교분석 하였다. E2의 경우 $10^{-9}M$에서 가장 활성이 높게 관찰되었고, BPA의 경우 $10^{-7}M$에서 에스트로젠성이 가장 높았다. 파라벤의 경우 이소프로필파라벤이 $10^{-9}M$에서 $10^{-3}M$까지 시험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에스트로젠성이 증가하였으며, $10^{-9}M$의 경우 가장 강력한 에스트로젠성을 보였다. 또한 양성대조군인 E2와 비교하였을 때, $10^{-7}M$에서 $10^{-3}M$까지의 이소프로필파라벤은 오히려 E2보다 높은 내분비계 장애작용이 검색되었다. 이소프로필파라벤을 제외한 나머지 파라벤류의 경우 $10^{-4}M$$10^{-5}M$의 프로필파라벤과 $10^{-3}M$$10^{-4}M$의 에틸파라벤에서 에스트로젠성이 관찰되었다. 또한 MCF-7세포주는 사람의 유방암 세포이면서 $ER{\alpha}$가 존재하여 에스트로젠 또는 에스트로젠 유사물질이 ER와 반응하여 세포의 성장을 유도하게 된다. 이번 연구에서 파라벤의 시험 이전에 이미 내분비계 장애물질로 널리 알려진 BPA와 체내에 존재하는 강력한 에스트로젠이면서 BPA보다 활성이 1000배정도 높다고 알려진 E2를 양성대조군으로 설정하여 MCF-7세포의 성장을 관찰하였다. 72시간동안 BPA와 E2를 다양한 농도로 MCF-7세포에 노출한 후 DNA 양을 측정하였더니, E2의 경우 $10^{-9}M$에서 대조군보다 약 2.5배의 세포성장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BPA의 경우 $10^{-8}M$에서 대조군 보다 약 2.2배의 세포성장을 관찰할 수 있었다. 에틸파라벤의 경우 $10^{-7}M$에서 $10^{-4}M$까지 농도 의존적으로 MCF-7세포의 성장을 증가시켰고, $10^{-4}M$이 대조군에 비해 세포성장이 약 2.2배에 달하여 양성대조군과 비슷하면서 높은 에스트로젠 유사반응을 보였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이소부틸파라벤과 이소프로필파라벤의 경우 $10^{-5}M$의 농도에서 2배 이상의 세포성장이 유도되었고, 이소프로필파라벤의 경우 RPE값이 약 104%에 이르는 등, 내분비계 장애작용이 검색되었다. 한편, 본 연구팀은 ER에 대한 파라벤의 시험관 내 상경적 결합력을 측정하기 위해 $ER{\alpha}$$ER{\beta}$ competition binding assay kit를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이 시험법은 E2와 비교하여 파라벤류의 $ER{\alpha}$$ER{\beta}$에 반응하는 시험물질의 RBA(relative binding affinities) 값을 측정하였다. 파라벤의 $ER{\alpha}$ 상경적 결합시험의 경우. E2의 $IC_{50}$의 값이 $4.29{\times}10^{-9}$이었고, 이소부틸파라벤의 경우 $4.5{\times}10^{-7}$에 달하여 RBA값이 0.952가 계산되었다. 이전 연구에 의해 밝혀진 BPA의 경우 RBA값이 0.333인데 반하여, 이소부틸파라벤은 약 3배가 높은 내분비계 장애작용이 검색되었다. 파라벤의 $ER{\beta}$ 상경적 결합시험의 경우. $ER{\alpha}$와 마찬가지로 이소부틸파라벤이 $1.94{\times}10^{-7}M$$IC_{50}$값을 가지면서 RBA값이 0.471이 계산되었다. 이것은 파라벤이 $ER{\alpha}$$\beta$모두와 결합을 할 수 있고 E2와 경쟁적으로 결합을 할 수 있으며 이는 내분비계를 방해할 수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뒷받침 해주고 있다. 덧붙여 본 연구팀의 결과는 이소부틸파라벤의 경우 경쟁적으로 결합하는 능력 또한 내분비계교란물질로 잘 알려진 BPA만큼의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in vitro적 방법으로 파라벤류들의 에스트로젠성을 측정한 결과 이미 보고된 연구와 비슷하게 화학 구조적으로 더 길거나 분지된 알킬기를 가지는 파라벤일수록 에스트로젠성이 더 강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식품이나 화장품 등의 보존제로 사용되는 이 화학물질의 과다한 노출은 정상적인 내분비계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Endocrine Disrupting Activities of Parabens: An Overview of Current Databases on Their Estrogenicity

  • Dang, Vu Hoang;Jeung, Eui-Bae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29-237
    • /
    • 2008
  • Recently, parabens have been believed to act as xenoestrogens, an identified class of endocrine disruptors (EDs). These environmental compounds are the most well-known as preservatives in many commercial products, including food, cosmetics and pharmaceutical industries.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the human health risks of parabens result from a long-term exposure to skin in which this chemical group is rapidly absorbed through the skin. On the other hand, parabens are also completely absorbed from gastrointestinal tract. It has reported that these substances possess several biological effects in which inhibitory property involved in membrane transports and mitochondrial functions is considered to be important for their action. Testing of parabens has revealed that estrogen-like activities of these chemicals are much less potent than natural estrogen, $17{\beta}$ estradiol (E2). Additionally, the estrogenicity of individual paraben- compounds is distinct depending upon their biochemical structure. Recent findings of paraben-estrogenic activities have shown that these compounds may affect breast cancer incidence in women, suggesting adverse ecological outcomes of this environmental group on human and animal health. Although the biological and toxicological effects of parabens have been demonstrated in many previous studies, possible mechanism(s) of their action are required to be explored in order to bring the better understanding in the detrimental impacts of parabens in human and wildlife. There have several different types of parabens which are the most widely used as preservatives. These include methyl-paraben, ethylparaben, propylparaben, butylparaben and p-hydroxybenzoic acid, a major metabolite of parabens. In this review, we summarize current database based on in vitro and in vivo assays for estrogenic activities and health risk assessment of paraben- EDs which have been published previously.

감성 융합형 시트 마스크 화장품의 보존제 함유량 실태 (Trend on content of preservatives for emotion-fusioned sheet mask cosmetics in markets)

  • 강호정;강숙정;조근희;이재면;이계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159-165
    • /
    • 2017
  • 2016년 대전광역시에서 유통 중인 시트형 마스크 화장품(n=42)을 대상으로 보존제 함유량 실태 조사를 실시하였다. 모든 제품 중 보존제는 83.3%(n=35)에서 검출되었으며 30.95(n=14)와 2.39%(n=1)의 제품에서 2종류와 3종류의 보존제가 혼용되어 사용되어졌다. PE, MP, CP 및 BA는 76.19(n=32), 21.43(n=9), 16.67(n=7) 및 2.38%(n=1)의 순으로 검출되었으며 각각의 함유량은 0.06 ~ 0.71, 0.18 ~ 0.35, 0.06 ~ 0.71 및 0.32%로서 모두 기준치 이내이었다. 그러나 모든 제품에서 EP, PP 및 BP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유통 중인 시트형 마스크 화장품의 보존제와 같은 안전성 관련 품질검사 및 관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서 소비자의 감성과 융합시킨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알 권리를 찾아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