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strogenic Activity of Parabens In Vitro Estrogen Assays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파라벤의 In Vitro 검색시험 연구에서의 내분비독성

  • Lee Sung-Hoon (Department of Veterinary Public Health,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Sun-Jung (Department of Veterinary Public Health,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Park Jung-Ran (Department of Veterinary Public Health,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Jo Eun-Hye (Department of Veterinary Public Health,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Ahn Nam-Shik (Department of Veterinary Public Health,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Park Joon-Suk (Department of Veterinary Public Health,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Hwang Jae-Woong (Department of Veterinary Public Health,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Jung Ji-Youn (Department of Companion and Laboratory Animal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Lee Yong-Soon (Department of Veterinary Public Health,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ang Kyung-Sun (Department of Veterinary Public Health,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성훈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공중보건학교실) ;
  • 김선중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공중보건학교실) ;
  • 박정란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공중보건학교실) ;
  • 조은혜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공중보건학교실) ;
  • 안남식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공중보건학교실) ;
  • 박준석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공중보건학교실) ;
  • 황재웅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공중보건학교실) ;
  • 정지윤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특수동물학과) ;
  • 이영순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공중보건학교실) ;
  • 강경선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공중보건학교실)
  • Published : 2006.06.01

Abstract

The use of underarm and body care cosmetics with oestrogenic chemical excipients (particularly the parabens) and the hypothesized association with breast cancer incidence, particularly in women. It is noted that the type of cosmetic product is irrelevant (e.g. antiperspirant/deodorant versus body lotion, moisturizers or sprays versus creams) and attention must focus on issues of actual exposure to chemicals through continued dermal application of body care products and the endocrine/hormonal activity and toxicity of the chemicals in the formulations. To evaluate the estrogenic activities of parabens such as ethylparaben, butylparaben, propylparaben, isobutylparaben and isopropylparaben, we used recombinant yeasts containing the human estrogen receptor [Saccharomyces cerevisiae ER+LYS 8127], human breast cancer MCF-7 cell lines and human estrogen receptor ${\alpha}\;and\;{\beta}$. In E-screen assays, isopropylparaben is the most estrogenic paraben, and in ER competition assay, isobutylparaben is the most estrogenic paraben. We evaluated isopropylparaben was most active in the recombinant yeast assay, followed by propylparaben, ethylparaben, isobutylparaben and butylparaben. Results from this study demonstrate that parabens are observed in human endocrine system. Therefore, we have shown that the parabens is induced the estrogenic activities similar to $17{\beta}$-estradiol and Bisphenol-A.

ER와 리포터 유전자인 $\beta$-galactosidase가 도입된 효모재조합검색시험법을 이용하여 파라벤류의 내분비계 장애작용을 검색하였다. 양성대조 시험물질로 앞의 시험법들과 동일하게 E2와 BPA를 설정하여 파라벤류의 에스트로젠성을 비교분석 하였다. E2의 경우 $10^{-9}M$에서 가장 활성이 높게 관찰되었고, BPA의 경우 $10^{-7}M$에서 에스트로젠성이 가장 높았다. 파라벤의 경우 이소프로필파라벤이 $10^{-9}M$에서 $10^{-3}M$까지 시험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에스트로젠성이 증가하였으며, $10^{-9}M$의 경우 가장 강력한 에스트로젠성을 보였다. 또한 양성대조군인 E2와 비교하였을 때, $10^{-7}M$에서 $10^{-3}M$까지의 이소프로필파라벤은 오히려 E2보다 높은 내분비계 장애작용이 검색되었다. 이소프로필파라벤을 제외한 나머지 파라벤류의 경우 $10^{-4}M$$10^{-5}M$의 프로필파라벤과 $10^{-3}M$$10^{-4}M$의 에틸파라벤에서 에스트로젠성이 관찰되었다. 또한 MCF-7세포주는 사람의 유방암 세포이면서 $ER{\alpha}$가 존재하여 에스트로젠 또는 에스트로젠 유사물질이 ER와 반응하여 세포의 성장을 유도하게 된다. 이번 연구에서 파라벤의 시험 이전에 이미 내분비계 장애물질로 널리 알려진 BPA와 체내에 존재하는 강력한 에스트로젠이면서 BPA보다 활성이 1000배정도 높다고 알려진 E2를 양성대조군으로 설정하여 MCF-7세포의 성장을 관찰하였다. 72시간동안 BPA와 E2를 다양한 농도로 MCF-7세포에 노출한 후 DNA 양을 측정하였더니, E2의 경우 $10^{-9}M$에서 대조군보다 약 2.5배의 세포성장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BPA의 경우 $10^{-8}M$에서 대조군 보다 약 2.2배의 세포성장을 관찰할 수 있었다. 에틸파라벤의 경우 $10^{-7}M$에서 $10^{-4}M$까지 농도 의존적으로 MCF-7세포의 성장을 증가시켰고, $10^{-4}M$이 대조군에 비해 세포성장이 약 2.2배에 달하여 양성대조군과 비슷하면서 높은 에스트로젠 유사반응을 보였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이소부틸파라벤과 이소프로필파라벤의 경우 $10^{-5}M$의 농도에서 2배 이상의 세포성장이 유도되었고, 이소프로필파라벤의 경우 RPE값이 약 104%에 이르는 등, 내분비계 장애작용이 검색되었다. 한편, 본 연구팀은 ER에 대한 파라벤의 시험관 내 상경적 결합력을 측정하기 위해 $ER{\alpha}$$ER{\beta}$ competition binding assay kit를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이 시험법은 E2와 비교하여 파라벤류의 $ER{\alpha}$$ER{\beta}$에 반응하는 시험물질의 RBA(relative binding affinities) 값을 측정하였다. 파라벤의 $ER{\alpha}$ 상경적 결합시험의 경우. E2의 $IC_{50}$의 값이 $4.29{\times}10^{-9}$이었고, 이소부틸파라벤의 경우 $4.5{\times}10^{-7}$에 달하여 RBA값이 0.952가 계산되었다. 이전 연구에 의해 밝혀진 BPA의 경우 RBA값이 0.333인데 반하여, 이소부틸파라벤은 약 3배가 높은 내분비계 장애작용이 검색되었다. 파라벤의 $ER{\beta}$ 상경적 결합시험의 경우. $ER{\alpha}$와 마찬가지로 이소부틸파라벤이 $1.94{\times}10^{-7}M$$IC_{50}$값을 가지면서 RBA값이 0.471이 계산되었다. 이것은 파라벤이 $ER{\alpha}$$\beta$모두와 결합을 할 수 있고 E2와 경쟁적으로 결합을 할 수 있으며 이는 내분비계를 방해할 수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뒷받침 해주고 있다. 덧붙여 본 연구팀의 결과는 이소부틸파라벤의 경우 경쟁적으로 결합하는 능력 또한 내분비계교란물질로 잘 알려진 BPA만큼의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in vitro적 방법으로 파라벤류들의 에스트로젠성을 측정한 결과 이미 보고된 연구와 비슷하게 화학 구조적으로 더 길거나 분지된 알킬기를 가지는 파라벤일수록 에스트로젠성이 더 강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식품이나 화장품 등의 보존제로 사용되는 이 화학물질의 과다한 노출은 정상적인 내분비계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Rastogi S.C., Schouten A., de Kruijf N. and Weijland J.W. : Contents of methyl-, ethyl-, propyl-, butyl- and benzylparaben in cosmetic products. Contact Dermatitis 32(1), 28-30 (1995) https://doi.org/10.1111/j.1600-0536.1995.tb00836.x
  2. T. Okubo., Y. Yokoyama., K. Kano. and I. Kano : ERdependent estrogenic activity of parabens assessed by proliferation of human breast cancer MCF-7 cells and expression of ER$\alpha$ and ER$\beta$ and PR.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39, 1225-1232 (2001) https://doi.org/10.1016/S0278-6915(01)00073-4
  3. Darbre P.D., Aljarrah A., Miller W.R., Coldham N.G., Sauer M.J. and Pope G.S. : Concentrations of parabens in human breast tumours. J. Appl. Toxicol. 24(1), 5-13 (2004) https://doi.org/10.1002/jat.958
  4. Routledge., J. Parker., J. Odum., J. Ashby. and J. P. Sumpter. Some alkyl hydroxy benzoate preservatives (Parabens) are estrogenic. Toxicology and Applied Pharmacology 153, 12-19 (1998) https://doi.org/10.1006/taap.1998.8544
  5. Nishihara., J. Nishikawa., T. Kanayama., F. Dakeyama., K. Saito., M. Imagawa., S. Takatori., Y. Kitagawa., S. Hori and H. Utsumi : Estrogenic activities of 517 chemicals by yeast twohybrid assay. Journal of Health Science 46, 282-298 (2000) https://doi.org/10.1248/jhs.46.282
  6. Andersen : Final report on the safety assessment of isobutylparaben and isopropylparaben.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Toxicology 14, 364?372 (1995)
  7. S. Oishi : Effects of propyl paraben on the male reproductive system.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40, 1807-1813 (2002) https://doi.org/10.1016/S0278-6915(02)00204-1
  8. Song B.L., Li H.Y. and Peng D.R. : in vitro spermicidal activity of parabens against human spermatozoa. Contraception 39(3), 331-5 (1989) https://doi.org/10.1016/0010-7824(89)90065-6
  9. Harvey P.W. and Darbre P. : Endocrine disrupters and human health: could oestrogenic chemicals in body care cosmetics adversely affect breast cancer incidence in women? J. Appl. Toxicol. 24(3), 167-76 (2004) https://doi.org/10.1002/jat.978
  10. Soni M.G. and Taylor S.L. : Greenberg N.A., Burdock G.A. Evaluation of the health aspects of methyl paraben: a review of the published literature.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40(10), 1335-73 (2002) https://doi.org/10.1016/S0278-6915(02)00107-2
  11. Elder R.L. : Final Report on the safety assessment of methylparaben, ethyl -paraben, propylparaben, and butyl - proben. J. Am. Coll. Toxicol. 3, 147-209 (1984) https://doi.org/10.3109/10915818409021274
  12. Kang K.S., CHE J.H., oung RYU D.Y.,, Kim T.W., LI G.X. and LEE Y.S. Decreased Sperm Number and Motile Activity on the F1 Offspring Maternally Exposed to Butyl p- Hydroxybenzoic Acid (Butyl Paraben). J. Vet Med Sci 64, 227-35 (2002) https://doi.org/10.1292/jvms.64.227
  13. Park, J.S., Lee, B.J., Kang, K.S., Tai, J.H., Cho, J.J., Cho, M.H., Inoue T. and Lee, Y.S. : Hormonal effects of several chemicals in recombinant yeast, MCF-7 cells and uterotrophic assays in mice. J. Microbiol. Biotechnol 10, 293-299 (2000)
  14. Bolger R., Wiese T.E., Ervin K., Nestich S. and Checovich W. : Rapid screening of environmental chemicals for estrogen receptor binding capacity. Environ. Health Perspect 106(9), 551-557 (1998) https://doi.org/10.2307/3434229
  15. Edwin J. Routledge., J. Parker., J. Odum., J. Ashby., and J. P. Sumpter. : Some Alkyl Hydroxy Benzoate Preservatives (Parabens) Are Estrogenic. Toxicology And Applied Pharmacology 153, 12-19 (1998) https://doi.org/10.1006/taap.1998.8544
  16. Han D.H., Denison M.S., Tachibana H. and Yamada K. Relationship between estrogen receptor-binding and estrogenic activities of environmental estrogens and suppression by flavonoids. Biosci. Biotechnol. Biochem. 66(7), 1479-1487 (2002) https://doi.org/10.1271/bbb.66.1479
  17. Kang K.S., Cho S.D. and Lee Y.S. : Additive estrogenic activities of the binary mixtures of four estrogenic chemicals in recombinant yeast expressing human estrogen receptor. J.Vet. Sci. 3(1), 1-5 (2002)
  18. Routledge E. J. and Sumpter, J.p. : Structural features of alkylphenolic chemicals associated with estrogenic activity. J.Biol. Chem. 272, 3280-3288 (1997) https://doi.org/10.1074/jbc.272.6.3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