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of education

검색결과 288건 처리시간 0.026초

PARTIAL FRACTION DECOMPOSITION FROM A LINEAR-ALGEBRAIC VIEWPOINT

  • Lee, Jeong Keun;Choa, Jun Soo;Cho, Min Shik;Han, Dong Hwan
    • 충청수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17-725
    • /
    • 2009
  • We show that to every real polynomial of degree n, there corresponds a certain basis for the space of polynomials of degree less than or equal to (n-1). As an application, we give a new proof for the existence and uniqueness of the partial fraction decomposition of a rational function.

  • PDF

ASYMPTOTIC BEHAVIOUR FOR SEMILINEAR DIFFERENTIAL SYSTEMS

  • Song, Se-Mok;Im, Dong-Man;Lee, Gi-Soo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15권1_2호
    • /
    • pp.527-537
    • /
    • 2004
  • This paper deals with the asymptotic behaviour for the semi-linear differential systems x' (t) = A(t)χ + f(t, x). We give a detailed proof of known generalization of Coppel's result about the above mentioned system.

논증 연구의 동향 분석: 국외의 수학교육 학술지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rends in argumentation research: A focus on international mathematics education journals)

  • 황지남;이유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3권1호
    • /
    • pp.105-122
    • /
    • 2024
  • 본 연구는 논증 학습을 강조한 NCTM의 권고안이 발표된 2000년을 시점으로 2023년 9월까지 약 24년간 국외 주요 수학교육 학술지에 등재된 101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먼저 논증 연구의 전반적인 추이를 살펴보았으며, 다음으로 대표적인 연구주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주 연구 대상은 학생이지만 교사에 초점을 둔 연구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초등학교보다는 중등학교를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수업 상황에서의 논증을 살펴본 연구가 많았다. 더불어 논증 연구가 국외에서 점점 주목받는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논증 연구의 대표적인 연구주제로는 '교수 활동', '논증 구조', '증명', '학생 이해', '학생 추론'이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논증에 대한 관점을 형식적 측면, 맥락적 측면, 목적적 측면의 세 가지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나아가 국내 수학교육에 적합한 논증의 의미와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수학교실에서 수용 가능한 증명의 상호 교섭 과정 (THE PROCESS OF NEGOTIATION OF PROOFS ACCEPTABLE TO MATHEMATICS CLASSROOM)

  • 김동원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455-467
    • /
    • 2008
  • 우리는 '중학교 수학에서의 증명과 논증'의 의미와 수준의 설정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중학생 수준에서의 증명과 논증은 모두 학습 집단 속에서의 의사소통을 통한 인간 활동으로 보아야 하며, 이에 부합하도록 수업의 방향을 잡아야 한다. 이런 노력의 일환으로, 우리는 중학교 기하수업 개선을 목적으로 중학교 2학년학생들을 대상으로 2년 동안 기하탐구교실 수업을 진행해 왔다. 우리는 이 수업 중 벌어진 상황 중하나를 선택하여, 최초 발현된 학생들의 증명 도식이 상호교섭의 과정을 통해 어떻게 교실에서 수용되는 증명 도식으로 형성되어 가는지 그 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네 단계에 걸친 활동을 통해 기하탐구교실에서의 증명은 학생들에 의해 발현된 초기 증명 도식에서 출발하여 상호교섭의 과정을 통한 결과물로서의 기하탐구교실만의 증명 도식의 생성으로 이어진다. 우리가 이 과정에 주목하는 이유는 교섭의 산출물이 갖는 수학적 완결성 때문이 아니라, 그것이 갖는 의사소통과 상호 이해, 상호참조라는 가치에 있으며, 이것이야말로 수학교실에서 수용될 수 있는 적법한 증명이라는 것을 말하기 위해서다. 이상과 같이 우리는 기하탐구교실이라는 학생들의 참여를 통해 공동체 내에서 수용되는 증명의 수준이 어디까지이며, 그것이 어떤 협상 과정을 거쳐 수립되는지 살펴보았다. 이 과정은 동시에 학생들 스스로 증명을 학습해 가는 과정이기도 하다.

  • PDF

대학수학에서 바람직한 선다형문제 만들기 (Making Good Multiple Choice Problems at College Mathematics Classes)

  • 김병무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489-503
    • /
    • 2008
  • 대학수학에서 배우는 여러 가지 수학적 개념을 이해하는데 좋은 문제를 통해 도움을 주고 평가에서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문제풀이에서 개념을 이용하는 능력과 개념에 대한 이해를 조사하는 문제의 예를 미분적분학 문제로 세 가지 유형을 다루었다. 잘못 만들어진 단답형문제와 선다형문제의 예를 제시하고 또 증명문제의 경우를 포함하여 선다형문제를 잘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최선의 문제가 되도록 노력을 하고 개념의 이해를 도와주며 최선의 문제가 될 수 있도록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학생들에 대한 조사를 시도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고 더 정선된 문제를 얻도록 노력을 한다.

  • PDF

SOME RESULTS RELATED TO DENSELY HOMOGENEOUS SPACES

  • Cho, Sung-Ki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1061-1066
    • /
    • 1996
  • We will give an example which is a normal Hausdorff countable dense homogeneous space but not a densely homogeneous space. Next, we will give a proof for the fact that every nondegenerate component of densely homogenous spaces is open and densely homogeneous.

  • PDF

LINEARLY INVARIANT FUNCTIONS

  • Song, Tai-Sung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867-874
    • /
    • 1995
  • Linear invariance is closely related to the concept of uniform local univalence. We give a geometric proof that a holomorphic locally univalent function defined on the open unit disk is linearly invariant if and only if it is uniformly locally univalent.

  • PDF

An application of least area surfaces to 3-manifolds

  • Moon, Myoung-Ho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797-805
    • /
    • 1996
  • We provide a new proof of the following fact using least area surfaces : If the fundamental group of a $P^2$-irreducible closed 3-manifold M contains a finitely generated nontrivial normal subgroup of infinite index, then M has a finite cover which is a closed surface bundle over $S^1$ , unless N is fre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