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blem solving instruction

검색결과 301건 처리시간 0.024초

전공실내디자인의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novation of Course Contents and Instruction of Advanced Design in Interior Design Education)

  • 한영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1호
    • /
    • pp.11-19
    • /
    • 1997
  • This stduy aimed to suggest a possible way for a new setting of interior design education through analyzing educational situations of domestic interior design societies. The study showed that interior design education should not follow expressive methods made from practical work which had been popular in the past and it should establish fundamental formation to make interior design education useful in industrial fields through active educationalindustrial complex. Interior design education is not possible without interrelationship with other professional fields and cooperative attitudes among them. The rapid development in the modern industrial world and the ever-growing information processing world regardless of ideology and regiional boundaries indicate that the future of interior design education will be no longer effective with traditional education systems. The idea suggested in this study may be understood as a bridge between the educational reality and its ideal in interior design teaching. The main points of the study are follows. First, the projects of advanced interior design should be focused on increasing the ability for problem solving rather than accumulating basic knowledge. Second, motivation is important for the maximization of the efficiency of educatiov. Therefore a few suggestions in establishing design conditions, as strategies of inducing 'attention', 'self-confidence', 'satisfaction', and 'relevance' are closely examined to propose practical application methods. Third, educational methods should be developed towards creativity in order to increase abilities of thinking and expressiov. Finally, it is necessary to explore various device which help internship participants to get experiences with a sense of practical situations in industrial fields. This could be possibly done by enforcing academic grades for the work done as an internship participation; by employing workmen in industrial fields as faculty members; and by bringing faculty members into actual industrial situations and providing workmen with lectures. A new approach for a better design education seems to be desirable for the future.

  • PDF

전문계 고등학생을 위한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및 e-Learning 콘텐츠 개발 연구 -대인관계능력을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of Job Basic Skill Program and e-Learning Contents f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 변숙영;이수경;이용순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42-61
    • /
    • 2009
  • 본 연구는 직업교육의 내실화를 위하여 교수 학습능력 신장에 기초가 되는 직업기초능력 향상 프로그램 및 콘텐츠 개발에 그 목적이 있다. 이는, 관련문헌 분석, 전문가 협의회 등을 통해 직업기초능력 영역 중 e-Learning 콘텐츠로 개발하였을 때 효과적일 것으로 관련전문가들이 합의한 대인관계 능력을 개발하였다. 대인관계능력은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접촉하는 사람들과 원만하게 지낼수 있는 능력으로 이 연구에서는 대인관계 개요, 협동능력, 리더십능력, 갈등관리, 협상능력, 고객서비스능력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실사례를 중심으로 한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초점을 두고, 동영상과 시뮬레이션, 게임 등의 멀티미디어적 전략을 활용하여 e-Learning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초등학교 온라인 영어 학습 콘텐츠 유형별 효과성 (The Effectiveness of online English Learning Program Conten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유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427-437
    • /
    • 2018
  •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이 학습하는 온라인 영어 학습 프로그램 콘텐츠의 효과성을 탐색하였다. 온라인 영어 학습 콘텐츠 연구를 위해 경기도교육청에 의해 학교로 사용권장된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K 시 소재 P 초등학교 107명의 학생들로 약 1년간의 학습 후에 온라인 학습 콘텐츠 효과성에 관한 설문에 응답하였다. 학생들의 응답은 Spearman 상관분석방법으로 재학학년, 온라인 학습시간 및 진단평가 성적과 온라인 영어 학습 프로그램 콘텐츠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학년이 높고 영어 학업수준이 높은 학생일수록 문제해결형, 과제수행형과 WBI(웹기반)형의 콘텐츠는 효과적이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에, 온라인 학습시간이 긴 저학년학생일수록 개인 지도형, 스토리활용형과 애니메이션유형의 온라인 학습 콘텐츠가 효과적이라고 답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온라인 영어 학습 콘텐츠의 개발에 있어서, 학생의 학년과 학습시간, 학업수준 등과 같은 학생의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는 바이다.

핵심역량에 기초한 중학교 수학 수업 방안 탐색 -수학 영재 수업을 중심으로- (Schemes to incorporate key competencies for the gifted in the middle school math teaching)

  • 최승현;박지현;남금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7권2호
    • /
    • pp.99-119
    • /
    • 2013
  • 본 연구는 기존에 교육과정 총론 수준에서 논의되고 있던 핵심역량을 수학 교과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창의성이나 문제해결력과 관련된 수학적 능력은 뛰어나지만 대인관계 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이 부족할 수 있는 수학 영재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역량이 신장되어가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그래프를 내용 목표로 선정하고, 대인관계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을 역량 목표로 설정하여 이 두 가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핵심역량 기반 수업을 설계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다. 수업 참여 관찰을 통해 수학 영재 학생들의 학습 과정에서 대인관계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이 신장되는 것을 확인 수 있었으며, 그 이외의 역량들이 복합적으로 함께 신장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역량 목표가 수학 수업에서도 달성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앞으로 이에 대한 좀 더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모의 수업 실행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 예비 교사의 과학 탐구 수업에 대한 인식 (Examining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Views on Science Inquiry Teaching during Peer Teaching Practice)

  • 윤혜경;정용재;김미정;박영신;김병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1권3호
    • /
    • pp.334-346
    • /
    • 2012
  • For teachers' conceptions and understandings are critical to their decision making and classroom practice,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views and practices of science inquiry during peer teaching practice. Fifteen 4th year university students in teacher education program participated in peer teaching practice. Their teaching and reflective discussion were video and audio recorded and written lesson plans were collected for data analysis. Five science teacher educators individually looked into the data and shared their comments and interpretations on pre-service teachers' views and practice.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pre-service teacher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roviding students with motivating resources in the beginning of lesson, employing certain inquiry teaching models, the process of predicting and dis/proving via experiment, and teachers' minimal intervention as the important features of inquiry teaching. Science teacher educators emphasized that it is critical to help children understand inquiry questions in the beginning of inquiry process, to be mindful of children's problem solving and critical thinking rather than following instruction models or simply going through prediction and test process. They also commented that teachers' guidance could lead a good inquiry process in classroom practice, not always interfering students' inquiry.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science teacher educators need to understand what and how pre-service teachers view and practice science inquiry teaching and consider these as useful resources where they can start effective teaching for pre-service teachers at the university level.

초등학생을 위한 비주얼베이식 교육 시스템 개발 (A Courseware for the Learning of Visual Basic on the Web)

  • 진현식;박판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299-308
    • /
    • 2003
  • 프로그래밍 교육은 문제 분석 능력, 논리적 사고력, 절차적 문제 해결 방식을 습득하는데 매우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하지만 초등학생의 지적 성장 발달 단계에 맞도록 설계된 프로그래밍 학습용 웹 코스 웨어에 관한 연구는 드물며, 개발되었다고 하더라도 초등학생에게는 맞지 않은 높은 이론적 내용을 다루고 있어서 이해하기가 어렵고, 웹 상에서 직접 실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지 못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 기반 학습 설계 이론을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지적 성장 발달에 맞는 비주얼베이식 교육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에서는 학습자에게 웹 환경에서 비주얼베이식 프로그래밍의 기초와 기본 문법을 익힐 수 있도록 하며, 프로그램을 코딩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한다.

  • PDF

뉴질랜드 초등학교에서의 수지도에서 나타나는 몇 가지 특징에 관한 고찰 (A Note on Some Characteristics of Number Teaching in the Primary School of New Zealand)

  • 최창우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843-863
    • /
    • 2010
  • 본 연구는 2007개정 초등수학과 교육과정의 5개 내용영역 중, 수와 연산영역의 수(number)와 관련하여 각 나라마다 지도하는 소재나 방법적인 측면에서 조금씩은 차이가 있기 마련이다. 따라서 외국 특히 뉴질랜드의 초등학교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지도나 수업설계 등에서 어떤 점에 주안점을 두고 있으며 우리와는 다른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를 뉴질랜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텍스트와 실제 초등학교에서의 포트폴리오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서 이를 통한 몇 가지 시사점을 얻는데 있다.

  • PDF

초등수학교육 연구동향: 최근 7년간 게재된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Research Trends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Focused on the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During the Resent Seven Years)

  • 김유경;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0권1호
    • /
    • pp.19-36
    • /
    • 2017
  • 본 연구는 초등수학교육 관련 연구들의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8개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초등수학교육 관련 연구 596편을 대상으로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 수학내용영역, 교과역량별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주제 측면에서 학습자의 인지적 정의적 특성 및 능력,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수업 및 지도방안과 관련한 연구가 비중 있게 다뤄졌고, 평가, 교육공학 및 교구 관련 연구는 그 수가 매우 적었다.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질적연구의 비중이 높았고 연구대상 측면에서는 학생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수학내용영역 측면에서는 수와 연산 관련 연구가 월등히 많았고 교과역량 측면에서는 비교적 고르게 나타났으나 문제 해결과 관련된 연구가 많이 행해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활성화될 필요가 있는 연구 분야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알고리즘 이론과목에서 실기수업을 적용한 플립러닝 활용방안 (Application Plan of Flip Learning Using Practical Instruction in Algorithm Theory)

  • 장성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62-665
    • /
    • 2017
  • 최근 산업 환경의 빠른 진화와 발전으로 기업이 필요한 인재상이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대학 교육은 기업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 강의식 교육방법(기존의 지식 전달 방식)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자기 주도적이고 창의적 문제 해결력 향상을 위한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공학과의 전공필수교과목인 알고리즘 수업에서 플립러닝을 적용하여 이론과 실습수업을 병행한 그룹과 플립러닝을 적용하여 이론수업을 진행한 그룹 그리고 전통적인 강의식 기법을 적용한 그룹으로 분류하여 수업을 진행한다. 학습자의 학습 동기부여 및 학업 성취도 향상을 위해 알고리즘 교과목에 적합하도록 플립러닝 교수학습법을 제안하고 수업에 직접 적용한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를 비교분석하고 문제점 및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컴퓨터 비전공 대학생의 프로그래밍 지식에 대한 필요성 재조명 (Revisiting to the necessity of programming Knowledge for Non-Computer Major Undergraduates)

  • 정혜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185-190
    • /
    • 2020
  • 컴퓨터 비전공 대학생의 프로그래밍 교육은 학습자들의 문제해결 및 코딩 능력을 키워 전공분야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하고, 지속적으로 컴퓨터 또는 프로그래밍과 연관된 학습을 할 수 있게 동기를 부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컴퓨터 비전공 학습자들은 본인이 전공하고 있는 분야에서 프로그래밍 지식의 필요성과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어려워한다. 따라서 교수자는 실제 컴퓨터 비전공자가 할 수 있는 역할에 대한 설명을 학생들에게 충분히 해줄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문 사회 예체능 분야와 ICT 기술의 융합 사례를 살펴보고 개발자와의 원활한 협업을 위한 도메인 전문가의 역할을 분석함으로써 컴퓨터 비전공자의 프로그래밍 지식에 대한 필요성을 재조명하고, 컴퓨터 비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래밍 학습지도 방향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