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iveness of online English Learning Program Conten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학교 온라인 영어 학습 콘텐츠 유형별 효과성

  • 김유정 (고려대학교 영어교육과)
  • Received : 2017.11.20
  • Accepted : 2017.12.18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iveness of the online English learning program conten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tudy used the online English learning program served by Gyeonggi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107 students attending P elementary school in K city volunteered for the program. After studying English via the website for almost one year, they were asked to respond the questionnaires related to the contents of the online English program. Since the research investigated that the relations of students' grades, the time for the study, their diagnostic test score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contents, the survey responses were analyzed with Spearman correlation. As a result, older students thought that the type of problem-solving, the type of performing a task, WBI (Web Based Instruction) were not efficacious. Also, these types of online English program were chosen as ineffective from the students at the higher level. Whereas the type of private lesson, the lessons based on a story, and the type of animation were preferred to the students who spent longer time on the website. This highlights the need to consider the students' characteristics such as students' grades, the time for the study, and their English level when developing the contents of the online English learning program.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이 학습하는 온라인 영어 학습 프로그램 콘텐츠의 효과성을 탐색하였다. 온라인 영어 학습 콘텐츠 연구를 위해 경기도교육청에 의해 학교로 사용권장된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K 시 소재 P 초등학교 107명의 학생들로 약 1년간의 학습 후에 온라인 학습 콘텐츠 효과성에 관한 설문에 응답하였다. 학생들의 응답은 Spearman 상관분석방법으로 재학학년, 온라인 학습시간 및 진단평가 성적과 온라인 영어 학습 프로그램 콘텐츠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학년이 높고 영어 학업수준이 높은 학생일수록 문제해결형, 과제수행형과 WBI(웹기반)형의 콘텐츠는 효과적이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에, 온라인 학습시간이 긴 저학년학생일수록 개인 지도형, 스토리활용형과 애니메이션유형의 온라인 학습 콘텐츠가 효과적이라고 답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온라인 영어 학습 콘텐츠의 개발에 있어서, 학생의 학년과 학습시간, 학업수준 등과 같은 학생의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는 바이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kosis.kr/ups/ups_01List.jsp
  2. 양미란, 김경혜, "사이버가정학습 콘텐츠의 분석 및 초등 영어교사의 활용도와 요구분석," Foreign Languages Education, 제18권, 제2호, pp.257-281, 2011.
  3. 김도헌, 김영천, 이근호, 이현철, "사이버가정학습 우수운영사례 질적 연구: 운영유형별 핵심성공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지, 제13권, 제2호, pp.107-137, 2007.
  4.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사이버가정학습 학습주제별 콘텐츠 유형 적용 방안 연구, 2006.
  5. M. Levy and G. Stockwell, CALL dimensions: Options and issues in computer assisted language learning, Routledge, 2006.
  6. 박경자, 강혜순, 조인정, e-언어학습: 이론과 실제, 박영사, 2001.
  7. C. Chapelle, "Theory and research: Investigation of "authentic" language learning tasks," CALL environments: Research, practice, and critical issues, pp.101-115, 1999.
  8. 백일우, 박명희, "세계 사교육시장과 정책 동향분석," 비교교육연구, 제23권, 제6호, pp.1-34, 2013.
  9. 유병민, 박성열, 임정훈, "학습 스타일에 따른 이러닝 콘텐츠 개발 유형에 대한 선호도 연구-K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1권, 제3호, pp.115-134, 2005.
  10.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3년도 교육용 콘텐츠확보, 2003.
  11. 김정렬, 영어과에서의 ICT활용 교육 방법 연구, 2001.
  12. 최수영, "효과적인 영어교육을 위한 컴퓨터의 활용I: 어휘.독해.청해 학습을 중심으로," 영어교육, 제46권, pp.31-65, 1993.
  13. 이혜정, 김태현, "e-Learning 콘텐츠 제시 유형이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추계종합학술대회, pp.727-732, 2007.
  14. 김혜영, 이희수, "e-Learning 콘텐츠유형에 따른 학습자 만족도," e-비즈니스연구, 제10권, 제4호, pp.299-316, 2009.
  15. 이충현, "온라인 멀티미디어 영어교육 수업을 위한 효율적인 콘텐츠 유형과 교수 학습 방안," 외국어교육연구, 제23권, 제1호, pp.103-134, 2009.
  16. 남상조, "인터넷원격강의 콘텐츠에 관한 학생선호 조사,"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제2권, 제1호, pp.48-55, 2004.
  17. 이윤주, 이충현, "사이버대학 온라인 영어 교수학습 콘텐츠에 대한 학습자의 선호도 및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제7권, 제3호, pp.151-185, 2006.
  18. D. A. Kolb, Learning style inventory, McBer, 1985.
  19. S. G. West, J. F. Finch, and P. J. Curran,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 Hoy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pp. 56-75), Sage publication,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