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or science achievement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6초

화학 교육에서 사용되는 비유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 및 비유 사용의 제한점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Analogies Used in Chemistry Education and the Limitations of Using Analogies)

  • 권혁순;최은규;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87-29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화학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비유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를 조사하고, 비유의 제한점으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오개념을 분석한 후, 개념 이해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물질의 세 가지 상태, 부피와 압력 사이의 관계, 분자 운동, 상태 변화와 에너지에 대한 비유와 개념 이해 검사, 장독립성 검사, 논리적 사고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절반의 학생들이 교과서의 의도와 다르게 비유를 이해하고 있었으며, 개념 이해도는 그 개념을 설명하는 비유에 대한 이해도 뿐 아니라, 장독립성, 논리적 사고력, 사전 과학 성취도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개념 이해도에 미치는 각 변인의 직 간접적인 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전 과학 성취도의 직접적 영향이 유의미하였으며, 장독립성과 논리적 사고력은 사전 과학 성취도와 비유 이해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과학교육에서 비유 사용의 제한점과 그 함의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고등학교 선행학습경험과 대학수학교과성적 및 대학학업성취도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or learning experience and mathematics achievement, GPA of college)

  • 이경희;이정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9권3호
    • /
    • pp.423-439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의 고등학교 재학 시 선행학습경험, 내신등급, 수능수리영역등급과 대학에서의 대학수학교과성적, 대학학업성취도(GPA) 간의 관계를 보았다. 이를 통해, 고등학교 재학 시의 수학교과 학업능력이 대학 신입생의 대학수학교과성적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A대학교 2014학년 1학기에 개설된 '기초미적분학'을 수강한 이과대학 및 공과대학 신입생 19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성적 등 관련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들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분석, 차이검정, 일원변량분석(ANOVA), 사후검정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 대상 대학생의 90% 이상이 고등학교 재학 시 수학교과 선행학습을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선행학습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은 필요성 인식보다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수학교과성적과 대학학업성취도 간에는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내신등급과 대학학업성취도 간 및 수능수리영역등급과 대학수학교과성적 간에는 미미한 수준의 상관관계만 있었다. 넷째, 고교성적(내신등급, 수능수리영역등급), 선행학습노력, 선행학습만족도, 선행학습필요성이 대학수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미미한 수준이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수학교과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자기 및 타의주도적 선행학습이 과학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elf-Directed and Unself-Directed Prior Learning on Student Attitude Towards Science Class)

  • 최정선;박종근;구인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9호
    • /
    • pp.765-777
    • /
    • 2007
  • 과학 선행학습의 실태 조사와 과학 선행학습이 학생 들의 과학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연구 분석 하였다. 선행학습의 실태 조사에서는 학생들의 선행학습 경험 유 무,선행학습의 형태 (자기 및 타의 주도적 선행학습),선행학습 시작 동기로서 본인 의사 여부, 선행학습에서 문제해결 방법 및 선행학습에서 중요한 요인 등을 조사하였다. 선행학습이 과학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흥미도, 자신감,학습의욕 및 가치 등 4가지 측면에서 연구하였다. 이들 4가지 측면에서 나타나는 효과를 학업 성취 수준,선행학습 형태,선행학습 시작 동기 및 선행학습에서 이해 정도 등의 관점에서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자신감,학습의욕 및 가치 측면에서는, '자기주도적 선행학습'에서 보다 높은 긍정적 값이 나왔으며,이것은 '자기주도적 선행학습'을 수행함으로서 스스로 할 수 있다는 가능성,성취감에 따른 내재적 동기 유발,학습에 필요한 내용들을 스스로 찾아가는 자발적 학습 등 긍정적 인식의 결과로 볼 수 있다. 반면,흥미도 측면에서는 수업을 이끌어주는 교사와 또래 친구들 사이에서 형성되는 교감 등으로 인해 '타의주도적 선행학습'이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학습자들에게 자신감. 학습의욕 및 가치 등이 필요할 시에는 자기주도적으로 선행학습을 권장하는 것이 바람 직하며,흥미도를 고취시키기 위해서는 타의주도적으로 선행 학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학 선행학습의 실태와 그 효과에 대한 연구 (Study for the Status and Effectiveness of Science Prior Learning)

  • 조창원;구민주;박종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483-492
    • /
    • 2020
  • 많은 학생 및 학부모가 선행학습에 쏟는 시간과 경제력이 적지 않다는 점과 인터넷 기반 사회의 환경이 빠르게 변화되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선행학습의 실태와 그 효과를 연구해 볼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창원지역 A고등학교 1학년 학생 186명을 대상으로 과학 선행학습의 기본적인 실태를 조사하였다. 실태 조사결과, 과학선행학습의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학생은 조사대상자 중 39.8% (74명)이였다. 또한 경험대상자 중 중학교 3학년 겨울방학 시작 이후에 과학 선행학습을 시작한 학생 56명을 대상으로, 과학 선행학습에 따른 과학성취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선행학습의 형태는 타의적 선행학습이 50.0%로 가장 높았으며, 선행학습의 시작동기는 시험점수 향상이 33.9%로 가장 높았다. 반타의적 형태로 선행학습을 하는 경우 자신감과 학습의향이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주도적 형태로 선행학습을 하는 경우 흥미도와 가치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과학 선행학습을 받은 학생 중 71.4%의 학생이 과학성취도에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수학과 과학을 통합 지도한 초등학교 '물체의 속력' 수업에서 학생의 학습 성취 분석 (An Analysis on the Students' Achievement in the 'Speed of Objects' Chapter based on the Integrated Science and Mathematics Class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정하나;전영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4권4호
    • /
    • pp.372-381
    • /
    • 2015
  • Mathematics and science are very closely related. Among the science areas, physic is strongly linked with mathematics. As the related mathematics skills were alloted later than the science contents in the national curriculum, students often suffer from science classes. Accordingly, an opinion have been claimed to teach the related mathematics skills prior to the science classes. However, it would be hard to arrange all science and mathematics contents in order. Instead of that, in this research, we taught students mathematics contents that are crucial for learning speed through science classes. We called that teaching strategy an integrated science and mathematics class. Then, we examined students' achievement in science as well as skills of mathematics to know the effectiveness of the strategy. We found that the average mathematics score of the whole class went up meaningfully. We also found that their science achievement was above than basic level. Moreover, the homeroom teacher of the students observed 3 aspects which showed the students were better than previous students. Finally, we divided the students into 4 groups by their science and mathematics achievement score and interviewed each group. As a result, we knew that interesting and confidence in science and mathematics quite exerted influence on their achievement.

구조화된 논쟁 전략이 공통과학 환경 단원 학습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tructured Controversy Strategy on the Learning of Environmental Unit in General Science)

  • 한재영;노태희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3권1호
    • /
    • pp.44-52
    • /
    • 2000
  •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structured controversy strategy, individual learning, and traditional learning on the learning of environmental unit in ‘General Science’ were compared. One hundred and forty-three 10th-graders had been taught about environmental issues-self purification, biological concentration, acid rain, greenhouse effect, noise, and radioactivity-for 6 class hours. Prior to the instructions, environmental attitudes test and self-esteem test were administered. After the instructions, their achievements, critical thinking, environmental attitudes. self-esteem, and views on Science-Technology-Society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2-way ANCOVA and/or Kruskal-Wallis test reveal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main effects in the scores of the achievement test and the critical thinking test. The environmental attitudes test scores tended to be highest in the structured controversy group, and lowest in the traditional learning group. Self-esteem scores of the structured controversy group and the individual learning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traditional learning group. Significant differences by students' prior achievement level in students' critical thinking, environmental attitudes, and views on Science-Technology-Society were also found.

  • PDF

다중지능에 기초한 프로젝트 활동이 초등학교 아동의 과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ject Activities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s to Elementary School Children's Science Achievement)

  • 임채성;왕경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3-21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다중지능에 기초한 프로젝트 활동이 초등학교 아동의 과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먼저, 전통적 지능과 다중지능이 과학 학업성취도를 설명하는 변량을 조사하기 위해 과학 학업성취도에 따라 2개 학급의 아동을 과학 상위 중위 하위 성취자 집단으로 분류하였고, 아동 개인의 전통적 지능과 다중지능을 측정하고 이를 과학 학업성취도를 설명하는 정도를 다중회귀분석과 변량분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다중지능에 기초한 프로젝트 활동이 과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연구 대상을 비교집단과 실험집단으로 나눈 다음 비교집단은 전통적인 학습법으로, 실험집단은 다중지능을 활용한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같은 주제를 학습한 다음 과학 학업성취도를 변량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 전통적 지능(24%)보다 다중지능(42%)이 과학 학업성취도 변량을 더 많이 설명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도 수준별로 분석한 결과, 과학하위성취자의 경우는 다중지능을 활용한 프로젝트 활동이 과학 학습 성취도률 높여 주는 데 큰 기여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통적 학습보다 프로젝트 학습이 과학 상위와 중위 성취자의 과학 학업성취도률 향상에 더 많이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불안감소와 수학성취도 향상을 위한 인지/행동 훈련의 효과

  • 김보경;조성희;이군현
    • 영재교육연구
    • /
    • 제7권1호
    • /
    • pp.31-50
    • /
    • 1997
  • 'I'his study investigated students' attitude toward mathematics. and how behavior/cognitive training affects level of math anxietv and level of math achievement. Subjects were all the freshmen attending Taejon Science High School, and they were given Mathematics Attitudes Scale and Attributional Style Questionnaire prior to and post training sessions. Twenty out of 84 freshmen voluntarily participated in nine sessions of training program. Participants were asked to do self-evaluation. Math achievement was measured prior to and post training. and was compared between two groups. Training program utilized behavior/cognitive approach. such as understanding one's feeling through muscle relaxation, breathing and meditation; modifying negative attributional style; imitating effective cognitive strategies for math problem solving, and so on. 'I'he result shows that students' math confidence in general was relatively low out of expectation, a nd they perceived teachers not supporting their math abilities :IS much as expected. On the other hand, students in general had strong math achievelment needs, and considered math utility very high. Sex difference was seen in the attitude toward female math abilities, to result that female students had more positive perception than male students. Female students of 'I'aejon Science High School seem free from conventional idea about female abilities including theirs. Participants' ~attitude change was compared with non-participants. and participa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their math confidence, and also in their math achievement. Participants had much higher math confidence and ~achievement than non-participants. And, they showed increased level of perceiving teachers' expectation. more realistic in needs, and more involvement in math. Math achievement was found positively related to math confidence, and participants' math achievement change was explained by their belief in math utility. Not only training program effect hut also participants' voluntary involvement and teacher\ulcorner' support of the program and participation seem to increase their math achievement. Based upon the result of study it was suggested that behavior-/cognitive training program be provided along with academic curricula for gifted students of Korea to help their emotional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 enhance the efficacy of their cognitive learning.

  • PDF

역할놀이 비유 활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와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Role-Playing Analogy Activity Class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and the Science Process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장진화;이형철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67-27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role-playing analogy activity-based clas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and the science process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e experimental group and one control group of 4th grade students were selected to perform a prior investigation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and the science process skill. Then the experimental group attended science lessons that were based on the role-playing analogy activity and the control group attended the traditional science lessons based on the text book and teacher's guide. After conducting lessons, a post investigation was performed for each group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o produce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role-playing analogy activity class was more effective to improv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than the traditional science class. And the role-playing analogy activity class was more effective to learners in the high-level group, which made a scores above the average in prior investigation on the academic achievement, whereas it was little effective to those in the low-level group. Second, the role-playing analogy activity class was effective to enhance students' science process skills than the traditional science class. And the role-playing analogy activity class was more effective to the learners' in the high-level group than those in the low-level group.

화학 결합에서 모바일 증강현실을 이용한 과정기반 안내탐구학습이 과학 학업 성취도, 과학 학습 동기, 학습 몰입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ocess Oriented Guided Inquiry Learning Using Mobile Augmented Reality on Science Achievement,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Flow in Chemical bond)

  • 전영은;지준용;홍훈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57-37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화학 결합 학습에 적합한 모바일 증강현실 학습도구를 개발하고 모바일 증강현실을 활용한 과정기반 안내탐구학습(POGIL-MAR)을 제안하여 이 교수학습 방법이 과학 학업 성취도, 과학 학습 동기 및 학습 몰입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소재의 남녀 공학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39명으로, 이를 통제집단(TL), 실험집단 1(POGIL), 실험집단 2(POGIL-MAR)로 무선 배치하였다. 학생들은 4차시에 걸쳐 화학 결합과 관련된 학습을 하였다. 이원 공변량 분석 결과, POGIL-MAR 집단은 과학 학업 성취도, 과학 학습 동기, 학습 몰입감 검사에서 사전성취 수준에 관계없이 다른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하위 집단의 경우, POGIL-MAR 집단이 TL과 POGIL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학업 성취도 향상이 있었다. 과학 학습 동기의 하위요인에 대한 이원 중다공변량 분석 결과, POGIL-MAR 집단이 학습 동기의 하위 요인인 내재 동기, 직업 동기, 자아 효능, 점수 동기, 자기 의지에서 유의미하게 높았다. 특히, 내재 동기에서 교수학습 방법과 사전 성취 수준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한편, 학습 몰입감의 하위 요인에 대한 이원 중다공변량 분석 결과, POGIL-MAR 집단이 분명한 목표, 분명한 피드백, 행위-인식 일체감, 학습 통제감, 자기만족적 경험에서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모바일 증강현실을 활용한 과정기반 안내탐구학습의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