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mary teeth

검색결과 551건 처리시간 0.023초

Characterization of phenotypes and predominant skeletodental patterns in pre-adolescent patients with Pierre-Robin sequence

  • Yang, Il-Hyung;Chung, Jee Hyeok;Lee, Hyeok Joon;Cho, Il-Sik;Choi, Jin-Young;Lee, Jong-Ho;Kim, Sukwha;Baek, Seung-Hak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337-345
    • /
    • 2021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phenotypes and predominant skeletodental pattern in pre-adolescent patients with Pierre-Robin sequence (PRS). Methods: The samples consisted of 26 Korean pre-adolescent PRS patients (11 boys and 15 girls; mean age at the investigation, 9.20 years)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Orthodont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between 1998 and 2019. Dental phenotypes, oral manifestation, cephalometric variables, and associated anomalies were investiga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Congenitally missing teeth (CMT) were found in 34.6% of the patients (n = 9/26, 20 teeth, 2.22 teeth per patient) with 55.5% (n = 5/9) exhibiting bilaterally symmetric missing pattern. The mandibular incisors were the most common CMT (n = 11/20). Predominant skeletodental patterns included Class II relationship (57.7%), posteriorly positioned maxilla (76.9%) and mandible (92.3%), hyper-divergent pattern (92.3%), high gonial angle (65.4%), small mandibular body length to anterior cranial base ratio (65.4%), linguoversion of the maxillary incisors (76.9%), and linguoversion of the mandibular incisors (80.8%). Incomplete cleft palate (CP) of hard palate with complete CP of soft palate (61.5%) was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followed by complete CP of hard and soft palate (19.2%) and CP of soft palate (19.2%) (p < 0.05). However, CP severity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ny cephalometric variables except incisor mandibular plane angle (p < 0.05). Five craniofacial and 15 extra-craniofacial anomalies were observed (53.8% patients); this implicated the need of routine screening. Conclusions: The results might provide primary data for individualized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for pre-adolescent PRS patients despite a single institution-based data.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련성 : 구강건강수준의 조절 효과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A focus on moderating effects of oral health)

  • 이수향;신보미;신선정;배수명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715-729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the moderating effect of oral healt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and to use this information as primary data to suggest oral health policies for the aged society. Methods: This study included 3,707 subjects aged over 65 years who answered all the variables used in the study model and completed the health questionnaire and screening survey based on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Baron & Kenny's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2.0 and SPSS Macro Version 3.1 program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number of remaining natural teeth, chewing difficul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Results: The number of remaining natural teeth, chewing difficulties, and cardiovascular diseases affected the perceived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As the number of remaining natural teeth increased, the effect of perceived health status on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was buffered. The effect of perceived health status on the quality of life increased with chewing difficulties and the number of cardiovascular diseases.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chewing difficulties, rather than the number of cardiovascular diseases. had a greater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Conclusions: Oral health policies and projects are required to ensure oral rehabilitation with dentures and implants and restore chewing func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Korea.

Anesthetic efficacy of supplemental intraligamentary injection in human mandibular teeth with irreversible pulpit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Gupta, Alpa;Wadhwa, Jitesh;Aggarwal, Vivek;Mehta, Namrata;Abraham, Dax;Aneja, Kritika;Singh, Arundeep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2권1호
    • /
    • pp.1-10
    • /
    • 2022
  • Background: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IANB) is known to have a lower success rate for anesthesia in patients with irreversible pulpitis. This calls for supplementary techniques to effectively anesthetize such patients. This systematic review aimed to evaluate the published literature for determining the success rate of anesthesia induction using post-IANB intraligamentary (IL) injection in the mandibular teeth of patients with symptomatic irreversible pulpitis. The review question was, "What is the success rate of IL injection in the mandibular teeth of patients with irreversible pulpitis as a supplementary technique for endodontic treatment?" Methods: A thorough search of electronic databases and manual searches were performed. The protocol of the review was framed following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PRISMA) checklist and was registered in the International Prospective Register of Ongoing Systematic Reviews (PROSPERO) with a proper criterion for inclusion and exclusion of studies. The included studies were analyzed using the Cochrane Collaboration "Risk of Bias" tool. A meta-analysis that included a comparison of primary nerve block and supplemental IL injection was performed. The success rate was evaluated using the combined risk ratio (RR) with a random risk model. A funnel plot was created to measure publication bias. Results: After all analyses, four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forest plot representation, RRs were 3.56 (95% CI: 2.86, 4.44), which were in favor of the supplemental IL injections. Statistical heterogeneity was found to be 0%. These values suggest that supplemental IL injections provide better success rates for anesthesia. Conclusion: According to the pool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es, supplemental IL injections increased anesthetic efficacy.

경북지역 장수노인의 저작능력과 건강상태 (The Relationship Between Chewing Ability and Health Status in the Long-lived Elderly of Kyungpook Area)

  • 이희경;이영권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200-207
    • /
    • 1999
  • 본 연구는 구강보건측면에서의 장수를 위한 노인생활지침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85세 이상 노인들의 구강검진을 통하여 구강내 실태조사와 저작능력의 상태를 파악하고 구강상태에 따른 건강상태 및 신체계측치를 비교함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체 97명 중 남자가 27.8%, 여자가 72.2%이었고, 평균연령은 $88.14{\pm}3.20$세 이었다. 조사대상자의 노인들이 53.6%가 건강하다고 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평균키는 $148.8{\pm}11.2cm$, 평균몸무게는 $46.9{\pm}10.5kg$, 평균BMI는 $21.2{\pm}3.5kg/m^2$, 평균체지방율은 $26.7{\pm}6.9%$, 평균제지방율은 $73.0{\pm}7.1%$, 평균체수분율은 $53.4{\pm}5.2%$로 나타났다. 2. 잔존치아수는 $3.50{\pm}5.71$개로 상악이 $1.08{\pm}2.88$개, 하악이 $2.41{\pm}3.76$개로 나타났고 최대 잔존치아 수는 22개이었고, 치아가 없는 노인이 전체의 76.3%나 되었다. 저작양상은 상,하 의치를 사용하는 노인이 전체의 52.6%, 자기치아만으로 저작(자연치 교합)하는 노인이 23.7%, 치아도 없으며 의치도 사용하지 않는 노인이 23.7%로 나타났다. 3. 저작양상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와 소화상태, 저작능력을 보면 의치 교합군에서 47.1%, 치아도 없이 의치도 사용 안하는 군에서는 56.5%, 자연치교합군에서는 65.2%가 건강하다고 했고, 소화상태도 의치군이 82.4%, 치아도 없이 의치도 사용 안하는 군이 65.2%, 자연치 교합군이 73.9%로 좋다고 했고, 저작능력도 의치군이 90.2%, 치아도 없이 의치도 사용 안하는 군이 60.9%, 자연치 교합군이 65.2%로 좋다고 하였다. 4. 저작영상에 따른 키, 몸무게, 체지방율, 제지방율, 총수분량을 비교하면 의치교협군에서 $150.0{\pm}10.7cm$, $49.0{\pm}10.9kg$, $26.9{\pm}6.6%$, $72.7{\pm}7.0%$, $53.2{\pm}5.1%$이며 치아도 없이 의치도 사용 안하는 군에서는 $142.7{\pm}6.0cm$, $43.2{\pm}5.5kg$, $29.5{\pm}7.2%$, $70.8{\pm}6.9%$, $51.8{\pm}5.0%$이고 자연치교합군에서는 $152.3{\pm}14.1cm$, $45.9{\pm}12.6kg$, $23.4{\pm}6.0%$, $75.9{\pm}6.9%$, $55.6{\pm}5.1%$로 나타났다. 저작양상 대한 신체계측치는 키, 체지방율, 제지방율, 총수분율에서 의치를 사용하는 군, 자연치교합군, 치아도 없이 의치도 사용 안하는 군의 순으로 유의하게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어린이 음료수에 의한 유치 법랑질 침식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PRIMARY TOOTH ENAMEL EROSION CAUSED BY CHILDREN BEVERAGE)

  • 신윤혜;김영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27-236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시중 어린이 음료의 산성도를 조사하고, 수 종 어린이 음료에 의한 유치 법랑질 침식정도를 실험적으로 평가하는 것이었다. 서울 시내 및 경기도 지역에서 판매순위가 비교적 높은 수 종의 어린이 음료를 표집하여 pH를 측정하고, 그 중에서도 pH 3.5 이하의 어린이 음료 7개를 선별하였다. 탈락기의 건전한 법랑질 표면을 가진 유치를, 어린이 음료에 1분, 5 분, 10 분, 15 분, 30 분 동안 노출시켜 인공적으로 법랑질 침식을 유도하였을 때 나타나는 양상을 표면미세경도측정법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본 연구에서 조사한 시중 어린이 음료의 대부분은 치아 침식을 유발할 수 있는 산성도인 pH 5.5 이하의 산성도를 갖고 있었다. 2. 어린이 음료에 대한 노출 후의 법랑질 표면미세경도는 대조군에 비해 모든 시료에서 낮아졌다(p<0.05). 노출 후 1 분이 경과되었을 때부터 표면미세경도의 유의한 감소 양상을 보였으며. 30 분이 경과되었을 때까지 표면미세경도의 감소가 계속 관찰되었다(p<0.05). 3. 음료의 산성도가 높을수록, 시편을 30 분간 노출시켰을 때의 표면미세경도가 유의하게 감소했다(p<0.05). 그러나 음료의 산성도와 표면미세경도의 감소정도 사이에 유의한 비례관계는 찾을 수 없었다(p>0.05).

  • PDF

취학전 어린이의 상악 유전치 우식증과 관련 요인 (FACTORS AFFECTING MAXILLARY ANTERIOR TEETH CARIES IN PRESCHOOL CHILDREN)

  • 정승열;이광희;라지영;이동진;안소연;김지영;송지현;김윤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635-641
    • /
    • 2008
  • 연구 목적은 상악 유전치 우식증의 발생 요인을 규명하기 위함이었다. 연구대상은 익산시 어린이집 중에서 무작위로 추출한 7개 어린이집의 36개월 이상 71개월 미만의 남아 214명, 여아 187명, 모두 401명이었다. 연구방법은 상악 유전치 우식증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성별, 연령, 모유 수유 또는 인공 수유, 수유 기간, 감미 간식 섭취 빈도, 칫솔질 시작 시기, 1일 칫솔질 횟수 등을 조사하여 상악 유전치 우식증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상악 유전치 우식증의 유병률은 남아에서 43.0%, 여아에서 26.7%로서 남아가 여아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1), 수유 기간 2년 이하 군에서 31.0%, 2-3년 군에서 43.2%, 3년 이상 군에서 63.2%로서 수유 기간이 길어질수록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P<0.01), 감미 간식을 매일 섭취하는 군에서 44.2%, 2-3일에 한 번 섭취하는 군에서 31.47%, 자주 섭취하지 않는 군에서 32.4%로서, 매일 섭취하는 경우에 상악 유전치 우식증과의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P<0.05). 연령, 모유 수유 또는 인공 수유, 칫솔질 시작 시기, 1일 칫솔질 횟수에서는 상악 유전치 우식증과 유의한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P>0.05).

  • PDF

자일리톨 함유 식품이 합성 수산화인회석에 대한 Streptococcus mutans의 부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FFECT OF XYLITOL ON THE ADHESIVENESS OF STREPTOCOCCUS MUTANS TO SYNTHETIC HYDROXYAPATITE; AN IN VITRO STUDY)

  • 이재춘;이광희;김대업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2-99
    • /
    • 2002
  • 현재 치과계에서 가장 효과를 인정받는 대체 감미료로 자일리톨이 있으며, 최근 관련상품이 증가 하고 있다. 하지만 많은 관련 상품은 제품에서 자당이 차지하는 부분 모두를 자일리톨로 대체하지 못하고 부분대치하고 있기 때문에 자당 존재하의 조건에서 자일리톨의 항우식 작용이 임상적으로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당과 자일리톨의 다양한 농도비의 조건에서 자일리톨의 항우식 작용의 정도를 규명하고자 함이며 자당과 자일리톨의 농도비를 달리한 각 실험용액에서 S. mutans의 합성수산화인회석에 대한 부착능과 치아미세경도 변화량을 측정하였으며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자당과 자일리톨의 혼합시 배지에 자당만을 추가한 대조군에 비해 S. mutans의 합성수산화인회석 입자 표면에 대한 부착을 유의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자일리톨의 최소 부착억제 농도비는 자당과 자일리톨이 25:75 이었다(P<0.05). 2. 법랑질 미세경도 측정 결과 자당만 첨가한 1군에 비해 자당과 자일리톨이 50:50인 4군부터 미세경도 감소치가 유의하게 줄어들었다(P<0.01).

  • PDF

영구치 보존을 고려한 함치성 낭종의 외과적 처치 (Surgical Management of Dentigerous Cyst for Preserving Permanent Tooth Buds)

  • 박찬영;박기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85-92
    • /
    • 2014
  • 함치성 낭종은 미맹출치의 치관을 둘러싸는 퇴축법랑상피로부터 기원한다. 대부분의 함치성 낭은 적출술 또는 조대술로 치료된다. 조대술을 통해 낭 내부의 압력이 감소하고 골의 재생이 일어나면서 낭벽은 정상적인 점막으로 변하게 된다. 조대술은 적출술에 비해 인접 주요 구조물을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증례는 5세와 11세 남아의 상악 정중 과잉치와 치수 치료된 하악 유구치 부위에서 발견된 각각의 함치성 낭종을 치료한 증례로 모두 낭의 크기가 2개 이상의 인접 영구치의 변위를 발생시킬 정도로 크기가 매우 컸다. 환자의 나이가 어리고 낭의 크기가 커서 조대술을 이용하여 치료하였고 그 결과 변위된 인접 영구치의 맹출 방향이 개선되고 방사선투과상의 크기가 점점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증례와 같이 크기가 매우 큰 함치성 낭의 경우에서 조대술을 이용하여 치료할 경우 위치가 변이된 인접치아를 보존하고 영구치의 자연 맹출을 유도할 수 있는 양호한 결과가 예상되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영구치의 선천적 결손을 동반한 복합 치아종 (COMPOUND ODONTOMA WITH CONGENITAL MISSING OF THE PERMANENT TEETH: CASE REPORTS)

  • 김하나;김재곤;백병주;한지혜;양연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79-684
    • /
    • 2007
  • 치아종은 치아조직의 비정상적인 과성장으로 인해 형성되는 외배엽성 상피세포와 중배엽세포로 구성된 혼합종양이다. 양성 치성 종양 중에서 가장 흔하며 신생물이라기보다 과오종으로 보고 있다. 치아종은 악골내 모든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치아와 유사한 복합 치아종은 비교적 상악 전치부에 호발하고, 불규칙한 형태를 나타내는 복잡 치아종은 하악 구치부에 호발한다. 일반적인 증상이 없어 일상적인 방사선 검사에서 주로 발견되며 영구치의 맹출지연이나 매복, 유치의 만기잔존 등의 원인이 될 수 있지만 영구치의 선천적 결손을 동반한 증례는 매우 드물다. 치료는 외과적 제거가 추천되며 완전한 적출시 재발은 드물다. 본 증례는 영구치의 선천적 결손을 동반한 복합 치아종 환자에 대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 PDF

Partial pulpotomy를 이용한 미성숙 영구치의 치수 치료 : 증례 보고 (THE PULP TREATMENT OF IMMATURE PERMANENT TEETH USING PARTIAL PULPOTOMY)

  • 노승철;김용수;김정욱;장기택;한세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16-622
    • /
    • 1999
  • 치수치료의 주요한 목적은 구강조직의 본래의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며, 치수치료 시 가장 중요하고 어려운 점은 치수조직의 건강상태 또는 염증의 정도를 결정함으로써 최선의 치료방법을 결정하는 것이다. 미성숙 영구치는 풍부한 혈류 공급으로 다양한 손상에 성공적으로 반응하게끔 치수의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많은 치수치료 술식을 위한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다. 기저재(base) 또는 이장재(liner), 간접 치수복조술, 직접 치수복조술, 그리고 치경부 치수절단술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보존적인 치수치료가 미성숙 영구치를 위해 추천되어 왔다. 근래에는 외상으로 인하여 치수노출된 영구절치를 치료하는데 있어 주로 제시된 부분 치수절단술(partial pulpotomy)이 우식으로 인해 치수노출된 영구대구치를 치료하는 또 다른 술식으로 제안되고 있다. 부분 치수절단술 후 치아가 다음의 criteria를 만족시킬 때 치유가 되었다고 결론지었다. 1. 임상적 무증상 2. dentin bridge 형성의 방사선학적 증거 3. 방사선상에 치수내 또는 치근단 병소가 없다는 증거 4. 지속적인 치근 발육과 미성숙 치아의 치근첨 형성 5. 성숙된 치아에서 정상적인 상아질의 축적 6. 전기치수검사에서 양성 반응 이에 저자는 미성숙 영구치에서 우식 또는 외상으로 인한 치수노출시 부분 치수절단술을 행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