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retiree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6초

은퇴 결정과 은퇴 전·후 소비의 상호작용 (Empirical Evidence of the Interdependence of Retirement and Pre- and Post-retirement Consumption)

  • 안종범;전승훈
    • 노동경제논집
    • /
    • 제27권3호
    • /
    • pp.1-23
    • /
    • 2004
  • "한국노동패널"을 이용하여 조기은퇴 행위와 지연은퇴 행위가 은퇴 전 후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2단계 전환회귀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추정 과정에서 본 논문에서는 조기은퇴 결정이 은퇴 전 후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하였다. 첫 번째는 조기은퇴 결정이 존재하는 경우와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비교하는 것으로서 추정결과 선택편의(selection bias)가 존재하는지를 통해 살펴보았다. 두 번째는 조기은퇴 결정 후 조기은퇴자의 소비를 지연은퇴자의 소비와 비교하는 것으로서, 소비의 소득탄력성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추정 결과 조기은퇴를 결정했을 경우 조기은퇴 결정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했을 때 은퇴 전 소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기은퇴자와 지연은퇴자의 소비의 소득탄력성을 비교해 본 결과 소득이 증가하였을 때 조기은퇴자의 소비 증가폭이 지연은퇴자보다 작았다. 이상의 결과는 조기은퇴 결정 이후 상대적으로 길어진 은퇴 기간이 은퇴 전 소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 PDF

예비은퇴기 및 노년기 자가소유 가구의 주택자산이 소비지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 Empirical Analysis on Housing Wealth and Household Consumption of Home-owning Pre-retirees and Older Adults)

  • 이현정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8권1호
    • /
    • pp.83-93
    • /
    • 2017
  • This research intends to find out the impact of housing wealth of home-owning pre-retirees and older adults consisting of young-old, middle-old and old-old groups on their household consumption. In doing so, this research analyzes 2,350 home-owning households by utilizing the 17th Korean Labou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The results show that housing wealth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non-durable consumption of the pre-retirees, and young-old and middle-old groups of older adults, and housing wealth has a much stronger effect on household expenditure than does financial wealth or real estate. It's found that the consumption elasticity is particularly greater for female-headed households living in SMA, residing in apartments, holding a lower debt-to-asset ratio and being a pensioner. The empirical findings imply that the old-old group of older adults is unlikely to actively tap into their housing windfalls since housing asset becomes the last to dispose in the course of an individual's life. As housing wealth effects are especially strong when liquidity constraints faced by older adults are removed, it's of significance to substantially reduce household debt before retirement in order to constantly maintain an adequate level of household consumption or to promptly prepare for future contingencies.

순위프로빗모형을 이용한 예비은퇴자의 주택소비 조정 의향 결정요인 분석 - 주택규모의 변화를 중심으로 - (Exploring housing consumption adjustment of pre-retirees after retirement using ordered probit model in terms of different housing size)

  • 이소영;김지현;최윤영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8권1호
    • /
    • pp.35-5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예비 은퇴자의 은퇴 후 주택소비 조정 의향에 대한 결정요인을 탐색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전국의 A은행에서 수집된 1,351명의 은퇴 후 주택소비 조정 의향에 대한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택소비 조정의 범주는 다운사이징, 유지, 업사이징으로 구분하였고 이를 설명하기 위한 요인으로 성별, 교육수준, 주택규모, 주택유형, 자산규모, 은퇴 후 근로의지 등을 고려하여 순위프로빗 모형으로 추정하였다. 연구결과, 은퇴 후 주택소비 조정은 주로 주택 규모, 자산 규모, 은퇴 후 근로의지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구체적으로 첫째, 현재 주택 규모가 상대적으로 크면 은퇴 후 주택 소비를 하향 조정(다운사이징)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산 규모가 10억원을 초과하는 응답자는 3억원 초과~5억원 이하의 자산을 보유한 응답자에 비해 주택 소비를 상향 조정(업사이징)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셋째, 은퇴 후 근로의지가 전혀 없는 경우가 아니라면 주택소비를 하향 조정하기보다 상향 조정하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고령화에 따른 향후 주택시장의 정책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은퇴 베이비부머의 소비패턴과 우울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Baby-boomer Retirees' Consumption Patterns on Depression in Later Life)

  • 박서영;홍송이
    • 한국노년학
    • /
    • 제37권2호
    • /
    • pp.349-368
    • /
    • 2017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은퇴 베이비부머의 소비패턴을 실증적으로 탐색하고, 소비패턴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국민노후보장패널 5차 자료를 활용하여 은퇴 베이비부머 420명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은퇴 베이비부머의 소비패턴을 분석한 결과, 기초생활중심형(26.9%), 균형소비생활형(29.3%), 사회생활중심형(18.3%), 여가생활중심형(18.5%), 교육비중심형(7.0%)의 5가지 유형이 실증적으로 구조화되었다. 그리고 우울과 관련된 인구사회적 요인, 건강상태, 가족관계, 사회관계, 경제상태를 통제한 상태에서 소비패턴과 우울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소비패턴과 우울 사이의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증명되었다. 구체적으로 교육비중심형 소비패턴보다 기초생활중심형 소비패턴의 우울수준이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배우자가 없는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신체기능에 제한이 있는 경우, 장애진단을 받은 경우, 자녀의 수가 적을수록, 여가활동에 만족하지 않을수록, 주관적 경제상태가 부정적일수록 우울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베이비부머를 표적집단으로 한 사회복지정책과 서비스 기획 실효성을 제고함과 동시에 은퇴 후 바람직한 소비패턴을 유지할 수 있는 은퇴 전 소비교육의 필요성 및 사례관리 현장에서의 노후 소비관리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베이비붐세대 은퇴예정자의 정보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f the Everyday Life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the Baby-boomers as Pre-retirees)

  • 박미향;이지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95-208
    • /
    • 2011
  • 본 연구는 50대 공직자 500명의 일상에서의 정보탐색행태와 패턴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설문자료분석은 은퇴예정집단으로서 베이비붐세대의 개인정보환경, 개인정보추구태도, 온라인정보태도, 정보추구의 장애, 은퇴기대와 도서관기대라는 6개의 변수간의 상호 연관관계 모형을 보여주고 있다. 그 중 개인정보환경과 정보추구태도는 은퇴기대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노령사회를 대비하여 새롭게 부상하게 될 도서관이용자집단에 대한 도서관정책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중·노년기 은퇴자의 은퇴 전후의 사회적 관계망 변화 (Social Network Changes of pre- and post- Retirement)

  • 박현춘;홍진혁;최민재;권영대;김진석;노진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753-763
    • /
    • 2014
  • 은퇴 후 사회적 관계망은 삶의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사회적 관계망은 개인을 중심으로 여러 사람들과 관계를 맺는 것으로 구조적/기능적 특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특징에 의해 체계적으로 은퇴 후 사회적 관계망의 변화와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 2008년도, 2010년도, 2012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45세 이상의 은퇴자 1,569명을 최종분석대상으로 추출하였다. STATA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은퇴자의 개인적 특성과 은퇴여부가 사회적관계망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Panel logit model과 fixed effects regression model방식을 이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은퇴 여부와 사회적 관계망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Multiple panel logit model과 fixed effects model의 within추정 방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구조적 특성에서는 친한 사람 접촉빈도와 사회활동 참여 정도가 더 줄어들었다. 기능적 특성인 자녀로부터의 지원 유무는 은퇴자가 비은퇴자에 비해 지원이 더 적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은퇴 이후 사회적 관계망을 변화를 확인 하였으며 은퇴 후 노년기의 삶의 시작과 맞물린 현실에서 사회적 관계망이 축소되는 은퇴자들을 위한 제도적 지원 필요성을 시사한다.

중소기업의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위한 퇴직전문인력 활용에 관한 연구: 스마트 마이스터 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Retired Professionals for SME's Smart Factory Constru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mart Meister Competence)

  • 구일섭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83-92
    • /
    • 2021
  • The construction of smart factories for government SMEs is not easy due to the lack of professional manpower. The use of retired professionals is a way to solve the problem to some extent and to solve the job problem of seniors by effectively utilizing social asset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using Meister based on a survey of 195 companies participating in the Smart Meister Support Program. As a result, the better pre-participation readiness and the better management and coordination of change during the participation, the more significant influence was on Meister's ability development and corporate performance.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Meister's competence plays a role in both 'pre-participation readiness and business performance' and 'between change management during particip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smart meister busines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roactively promote the purpose and purpose of the business targeting companies that wish to participate in the busines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change management in order to minimize the resistance to innovation during the project. It will be possible to enhance social competitiveness by resolving senior jobs and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SMEs by discovering and utilizing Meister, who is an expert among retirees.

효용 최적화를 통한 종신연금 계획의 가치 추정 : Money's Worth 비율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Evaluation of Life Annuity Plans Based on Utility Maximization : Focused on Comparison with Money's Worth Ratio)

  • 양재환;여윤경
    • 경영과학
    • /
    • 제27권1호
    • /
    • pp.45-60
    • /
    • 2010
  • This study evaluates life annuity plans based on two different types of measures : financial benefit and utility on consumption. The financial benefit is measured by Money's Worth (MW) ratio and return on annuity. For the measure of utility, an optimization problem is formulated with the objective of maximizing utility on consumption. To solve the optimization model, we use Dynamic Programming (DP) technique. The both types of measures are applied to cases of Korean pre-retirees at age 40 with different accumulation years of annuity (i.e. level of annuity asset at the age of retirement) and different timings of annuitization. Our results generally indicate that the utility based optimization model is superior to the financial measures in terms of providing a better evaluation of an annuity plan due to its capability to consider an individual's financial situation during his/her retirement period. Also, they suggest that the level of annuity asset is an important factor when an individual determines the optimal annuitization timing.

예비 은퇴자의 주거환경 의식에 관한 연구 - 대구시민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Pre-Retirees' Perception on Housing Environment - The Case of Daegu -)

  • 김한수;박혜지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73-80
    • /
    • 2014
  • Korea is quickly transforming into an aging society. As a reaction to the accelerated aging society in recent years, there is a growing need to introduce sustainable housing policies and strategies for aging societ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ere people want to live after retirement. Especially, this study focuses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uch as housing types, residential location, and living environment.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eople preferred living in a sububan-style housing in the suburban or rural areas to living in a city-style housing in the urban areas. Second, people have a strong preference for the importance of convenience in using natural environment, medical service, and cultural facilities. Third, the family life style has been changed from children-oriented life style to couple-oriented life style by showing that people like to stay with a spouse rather than with their children after retirement.

중소기업 근로자의 은퇴준비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Retirement Preparation of the Small and Medium-sized Company Workers)

  • 이형종;이한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449-465
    • /
    • 2017
  • 중소기업 근로자들은 낮은 임금수준과 열악한 근로조건으로 인해 은퇴준비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은퇴 후에는 노후빈곤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례연구 방법을 통해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재무적 비재무적 은퇴준비 실태를 살펴보는데 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소기업 근로자들은 은퇴에 대해 크게 불안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중소기업 근로자들은 충분한 노후소득을 확보하지 못했고, 매우 적은 국민연금 수령액으로 노후를 보내야 하는 현실을 걱정했다. 둘째, 중소기업 근로자들은 가족, 재무, 건강, 일자리, 사회참여와 같은 다양한 삶의 영역에서 길어지는 노후생활을 대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소기업 근로자들은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은퇴준비를 하였다. 그들은 소비지출 감소, 자녀교육비 축소, 낮은 임금의 일자리 선택, 현금 확보 등 은퇴에 대비하여 안전성과 현실성을 우선 고려하였다. 결론적으로 중소기업 근로자들은 은퇴에 대비해 다양한 해결책을 추구하고 있다. 그들이 퇴직 후 삶의 재구성에 초점을 둔 통합적이고 실용적인 교육을 통해 은퇴설계 니즈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