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overty reduction effect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6초

사회보장급여의 빈곤완화효과 분석 (An Analysis of the Poverty Reduction Effect of Social Security Benefits in Korea)

  • 김환준
    • 사회복지연구
    • /
    • 제48권3호
    • /
    • pp.5-28
    • /
    • 2017
  • 이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2006~2015년 자료를 이용하여 사회보장급여의 빈곤완화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보장급여는 빈곤갭을 상당한 정도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기초생활보장, 공적연금, 기초연금 등의 제도가 비교적 큰 빈곤완화효과를 거두고 있는 반면 장애수당, 산재 고용보험, 보육 등의 빈곤완화효과는 이에 비해 훨씬 작은 편이다. 사회보장급여액과 빈곤완화효율성이라는 두 요소가 빈곤완화효과의 크기를 결정한다. 최근 사회보장제도의 확대에 따라 빈곤완화효율성은 대체로 감소하였으나 사회보장급여액이 더 크게 증가했기 때문에 빈곤완화효과는 점차 커졌다. 사회보장제도의 빈곤완화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선별주의적 제도의 단점을 극복하면서도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e Effect of Economic Growth and Urbanization on Poverty Reduction in Vietnam

  • NGUYEN, Huyen Thi Thanh;NGUYEN, Chau Van;NGUYEN, Cong Va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7호
    • /
    • pp.229-239
    • /
    • 2020
  • This article aims to measure the impact of economic growth and urbanization on poverty reduction in Vietnam, and verify whether economic growth and urbanization will help reduce poverty rates. Data for this study are tabular data related to growth, urbanization and poverty at the provincial level for the period of nine years, from 2006 to 2014 provided by the Vietnam General Statistics Office and the Vietnam General Department of Customs. The level of economic growth and urbanization mentioned in the study is reflected in such indicators as GDP value, exports value, imports value, urbanization rate and employment rate. The authors used logistic regression models with fixed-effects and logistic regression models with random effects. With 5% confidence level tested by the Chi-Square test of Hausman trial with the fixed-effect model, research results show that: (1) factors with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 poverty rate include imports value, urbanization rate and, employment rate; (2) factors that do not affect the poverty rate include exports value and GDP valu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proposes a number of policy recommendations to help promote economic growth, to sustain the urbanization process, and to contribute directly and positively to poverty reduction in Vietnam.

Impact of Education on Multidimensional Poverty Reduction at the Post-Poverty Alleviation Era in Xinjiang

  • Jian Qiu;Hongsen Wang;Ailida Aikerbayr
    • East Asian Economic Review
    • /
    • 제27권3호
    • /
    • pp.243-269
    • /
    • 2023
  • The multidimensional poverty index is an indicator system established for defining and evaluating poverty, to understand poverty in dimensions beyond just monetary scarcity. Based on income, education, health, living standards, and social dimensions, this article measures and analyzes the level of multidimensional poverty in Xinjiang using the AlkireFoster method, with cross-sectional data obtained from a 2022 survey. Probit model is constructed for regression analysis, further considering the impact of education on enhancing feasible capabilities and alleviating multidimensional poverty at the post-poverty alleviation era. The data shows that many people still face significant challenges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dimensional poverty; the decomposition results of each dimension show that education contributes more to the multidimensional poverty;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the lower the multidimensional poverty; heterogeneity analysis revealed that the inhibitory effect of education on multidimensional poverty is greater for females than males, and the poverty reduction effect of education mainly concentrates on middle-aged and older individuals. This article is meaningful for exploring strategies to alleviate multidimensional poverty in ethnic minority regions in frontier areas in the new era, accelerating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and achieving shared prosperity.

Cameroon : The Effect of Developmental AID on Poverty Reduction and Agro-Rural Development in Sub-Saharan Africa

  • Ntongwe, Edwin Ngome
    • Agribusiness and Information Management
    • /
    • 제4권1호
    • /
    • pp.1-12
    • /
    • 2012
  • Cameroon, with her numerous resources, still depends on foreign aid while the rate of poverty remains high. Thus, even though historical evidence gives impetus to the impasse over role of developmental aid, from the top down approach through to development as a springboard raising states from the doldrums of poverty, it is still very difficult to draw a substantial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al aid and poverty reduction. Against this backdrop of controversy, I find it apt to put Cameroon on a balance scal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ritically assess the implications of developmental aid on poverty reduction and agro-rural development in Cameroon, using the RUMPI Area Development Project in the South West region of Cameroon as a case study. The study will situate and contextualize the top-down and bottom-up approaches to development within the basis of a Cameroonian perspective, using the Sachs-Easterly debate. The RUMPI Project was introduced with the objective of improving agriculture and empowering the rural woman; thereby fighting poverty within the South West region of Cameroon. Despite its criticism of the barriers to development created by corruption, political pressure and limited use of local and grass-root partnerships, the study, in assessing these failures also tries to outline vital ways in which the project can be improved upon.

  • PDF

공적 이전과 사적 이전의 빈곤 감소 효과 분석 : 기초생활보장제도 도입 이후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Anti-poverty Effectiveness of Public and Private Income Transfers; After the Enactment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 홍경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0권
    • /
    • pp.61-85
    • /
    • 2002
  • 이 연구의 목적은 기초생활보장제도의 도입으로 대표되는 최근의 국가복지제도 변화가 사회성원들의 복지욕구에 대한 공적 이전과 사적 이전의 효과를 어떤 식으로 변모시켰는지를 경험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이전 소득의 원천을 기준으로 공적 이전과 사적 이전을 구분하고, 각각의 빈곤 감소 효과를 분석하는 접근 방식을 택한다. 즉, 기초생활보장제도의 시행을 반영하고 있는 2001년도 도시가계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소득의 이전을 개인 간 혹은 가족 간에 이루어지는 사적 이전과 사회보장정책을 통해 이루어지는 공적 이전으로 구분하였으며, 각각의 빈곤 감소 효과를 효과성과 효율성 지표를 활용하여 비교했다. 그 결과, 두 가지의 흥미로운 사실이 발견되었다. 첫째, 선행연구들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사적 이전이 공적 이전보다 더 큰 빈곤 감소 효과를 가지지만, 그 격차는 상당히 완화되었다. 둘째, 사적 이전과 공적 이전의 빈곤 감소 효과는 가구 유형에 따라 달리 나타난다. 공적 이전의 확대 혹은 사적 이전의 축소가 이러한 분석결과를 가져왔겠지만, 이 연구에서는 기초생활보장제도의 도입으로 대표되는 공적 이전의 확대가 더 큰 영양을 미쳤을 것이라고 가정한다. 한편, 가구유형에 따라 공적 이전과 사적 이전의 빈곤 감소 효과가 상이하게 나타난다는 분석결과는 빈곤정책의 수립에 있어 빈곤계층의 다양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다시 한번 일깨우는 것일 뿐 아니라, 사적 이전으로 대표되는 연복지의 제공논리에 대한 보다 상세한 분석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 PDF

공적연금의 빈곤 완화 효과: OECD 34개 회원국의 비교연구 (The Effect of Poverty Reduction by Public Pension: A comparative study of 34 OECD Countries)

  • 김윤태;서재욱;박연진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4호
    • /
    • pp.301-321
    • /
    • 2018
  • 이 논문의 목적은 공적연금제도의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의 어떠한 결합형태가 노인빈곤감소율을 설명하는 원인조건이 되는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노인빈곤감소율을 결과조건변수로, 공적연금지출 비중, 재분배지수, 1층 공적연금비중, 2층 공적연금비중과 2층 강제적 사적연금비중을 원인조건변수로 하는 퍼지셋 질적비교분석을 수행했다. 분석결과, 높은 공적연금지출 비중, 낮은 2층 공적연금비중과 높은 2층 강제적 사적연금비중의 결합은 높은 노인빈곤감소율의 원인조건이 되고 있었다. 그리고 낮은 노인빈곤감소율의 원인조건으로는 보다 다양한 결합 형태가 발견되었다. 이 논문은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제언을 제시했다.

도시 근로자가구의 소득원 구성과 분배구조의 변화 : 1996-2002 (Changing Trends of Income Packaging and Income Distribution : 1996-2002)

  • 김교성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5권
    • /
    • pp.181-204
    • /
    • 2003
  • 본 연구는 국민의 정부 집권 기간동안 도시 근로자가구의 소득원 구성 가운데 공 사이전소득의 비중, 빈곤 가구의 규모, 그리고 소득분배의 불평등 수준의 변화 정도를 파악하고, 그 수치를 이전 시기의 그것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공적이전소득의 빈곤감소와 소득불평등 완화 효과를 분석하여, 국민의 정부에서 일어난 국가복지제도의 변화가 가지는 파급효과를 간접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1996년부터 2002년까지 도시가계연보의 원자료(매년, 2/4분기)를 분석의 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의 결과, 국민의 정부 들어 도시 근로자가구의 공적이전소득의 비중은 이전의 시기에 비해 조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빈곤 근로자가구의 공적이전소득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파급효과가 입증되었다. 국민의 정부 집권 기간동안 상대적 빈곤율과 소득불평등의 수준은 매우 악화되었지만, 공적이전소득의 빈곤감소 효과나 소득불평등 완화 효과는 이전의 시기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그 효과는 서구 선진국의 그것과 비교해 볼 때, 매우 낮은 수준이다. 결국 정부가 빈곤율을 감소시키고 소득분배 구조의 개선을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국가복지의 확대를 위해 노력하여야 할 것이며, 그것이 개별 사회성원의 소득원 구성 가운데 공적이전소득의 비중 확대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 PDF

Does Natural Disasters Have an Impact on Poverty in East Java, Indonesia?

  • SANTOSO, Dwi Budi;AULIA, Dynda Fadhlillah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10권1호
    • /
    • pp.57-66
    • /
    • 2023
  • There is a strong association between poverty levels and the probability of natural disasters. East Java, however, exhibits a distinct pattern. While the rate of poverty is declining, natural disasters are becoming more severe. Considering that East Java is an area with a high risk of natural disasters and a high poverty rate,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effect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the magnitude of the impact of disasters as measured by the Disaster Risk Index (IRBI) on poverty. The 3SLS model is used on secondary data from 38 districts/cities from 2015 to 2021 as an analytical database. Based on the estimation results, there are 3 findings in this study: (i) the role of government, population development, and economic activity have a strong influence on nature conservation; (ii) nature conservation has a strong influence on disaster risk; and (iii) the disaster risk index has a strong effect on poverty. As a result, areas with a high level of disaster risk have a slower rate of poverty reduction. The role of this research is to show the need for the government's rol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natural disaster mitigation anticipation, economic activity, and the role of the population in a sustainable manner.

사회보장급여의 빈곤완화 효과성 및 효율성 (Poverty Reduction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Social Security Benefits)

  • 노혜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237-24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보장급여가 빈곤완화 효과성과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9 가계금융복지조사를 활용하여 공적연금, 기초연금, 양육수당, 장애수당, 기초생활보장지원금, 근로장려금, 기타 정부보조금 등 7개 급여의 빈곤완화 효과성과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빈곤율 감소측면에서 사회보장급여는 전체가구의 빈곤율을 6.8%p 낮추었고, 빈곤율 감소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급여는 공적연금으로써 이는 특히 남성노인에게서 명확하다. 둘째, 빈곤강도 감소 측면에서 노인세대 남성가구에게는 공적연금이, 노인세대 여성가구주에게는 기초연금이, 근로세대 여성가구주에게는 기초보장이 가장 크게 기여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빈곤완화 효율성 측면에서, 사회보장급여 중에서 약 33% 정도가 빈곤격차를 줄이는데 기여하는데, 여성가구주의 빈곤완화 효율성은 57.6%, 남성가구주는 24.3%로써, 사회보장급여가 여성가구주에게는 빈곤격차 완화 기능을, 남성가구주에게는 가구소득 보충 기능을 주로 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사회보장 급여 효과성의 다각적 검토, 빈곤완화 효과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높이는 전략으로써 다양한 빈곤상태 발굴,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한 기초보장 확대, 사회보장급여의 목적과 핵심 대상과의 연결 등을 제안하였다.

기초연금의 노인가구 유형별 빈곤감소 효과 분석 (Poverty Reduction in Elderly Household Types: The Impact of Basic Pension)

  • 김안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267-274
    • /
    • 2021
  • 본 연구는 기초연금제도의 도입과 확대가 노인가구의 빈곤감소와 소득분배개선에 얼마나 영향을 주었는가를 노인가구유형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기초연금 도입 이전인 2013년과 도입 이후인 2016년 및 2019년도의 가계 동향조사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가구주 가구의 소득은 비교년도 동안 증가세를 보였으며 공적이전소득 또한 증가하였다. 둘째, 노인가구유형별 빈곤율 비교에서는 노인단독가구의 높은 빈곤율을 볼 수 있다. 정부의 빈곤완화 정책 효과분석은 모든 노인가구에서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노인부부가구의 경우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셋째, 소득분배개선은 모든 노인가구유형에서 개선 추이를 보였으며 특히 노인 단독가구의 경우 개선의 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넷째, 기초연금도입의 효과를 분석한 이중차이 다중로짓분석은 기초연금의 도입이 중위소득의 40%를 기준으로 하는 빈곤 위험을 감소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