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verty measures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5초

중국 농촌 지역의 소득 빈곤과 다차원적 빈곤의 구조 분석 (A Structural Analysis of Income Poverty and Multidimensional Poverty in China's Rural Areas)

  • 서성성;왕효봉;양리리;김중기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71-484
    • /
    • 2021
  • The characteristics of poverty can be comprehensively revealed from the two angles of income and multidimensional. This paper compares China's rural income poverty measure with multidimensional poverty index using data from China Family Panel Studies (CFPS) by focusing on the static and dynamic disparities, and analyzes the factors influencing poverty through the Logit model. The results show that there exists a substantial mismatch in who is deemed poor, 60 percent of multidimensional poverty households are not considered poor in terms of income poverty, and 70 percent of income poverty households are not considered poor in terms of multidimensional poverty; There is a high level of disparity between the dynamics of the two measures of poverty. Among those who rose in the income dimension, only about 7 percent also rose in the multidimensional measure from 2016 to 2018.

Impact of Education on Multidimensional Poverty Reduction at the Post-Poverty Alleviation Era in Xinjiang

  • Jian Qiu;Hongsen Wang;Ailida Aikerbayr
    • East Asian Economic Review
    • /
    • 제27권3호
    • /
    • pp.243-269
    • /
    • 2023
  • The multidimensional poverty index is an indicator system established for defining and evaluating poverty, to understand poverty in dimensions beyond just monetary scarcity. Based on income, education, health, living standards, and social dimensions, this article measures and analyzes the level of multidimensional poverty in Xinjiang using the AlkireFoster method, with cross-sectional data obtained from a 2022 survey. Probit model is constructed for regression analysis, further considering the impact of education on enhancing feasible capabilities and alleviating multidimensional poverty at the post-poverty alleviation era. The data shows that many people still face significant challenges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dimensional poverty; the decomposition results of each dimension show that education contributes more to the multidimensional poverty;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the lower the multidimensional poverty; heterogeneity analysis revealed that the inhibitory effect of education on multidimensional poverty is greater for females than males, and the poverty reduction effect of education mainly concentrates on middle-aged and older individuals. This article is meaningful for exploring strategies to alleviate multidimensional poverty in ethnic minority regions in frontier areas in the new era, accelerating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and achieving shared prosperity.

빈곤층의 물질적 궁핍, 실태와 영향요인 분석 (Material Hardship of the Poor Families in Korea: The Distributions and Determinants of Material Hardship)

  • 이상록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3호
    • /
    • pp.233-26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물질적 궁핍의 측정 및 분석이 빈곤에 대한 다각적 이해에 유용할 뿐 아니라 빈곤층의 경제적 어려움 해소를 위한 대책 마련에도 주요한 정책적 시사를 제공할 수 있음에 주목하여, 한국사회 물질적 궁핍의 전반적 실태와 더불어 빈곤층의 물질적 궁핍의 양상 및 관련 영향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에서 물질적 궁핍은 기본욕구 충족과 밀접히 관련된 음식(food), 주거(housing), 생활필수공공재(utilities), 의료서비스(medical care)에의 결핍 경험으로 정의, 측정하였으며, 분석자료로 한국복지패널조사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에서는, 물질적 궁핍을 경험한 가구의 비율은 전체의 17.0%로 나타나 최소수준의 기본욕구조차 충족치 못하는 가구들이 적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소득계층 및 빈곤지위별 분포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물질적 궁핍이 하위 소득계층(34.8%) 및 빈곤층(40.7%)에서 높게 경험되고 있지만, 중간 소득계층(18.0%) 및 비빈곤 차상위층(36.6%)에서도 적지 않게 경험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빈곤층을 대상으로 관련 요인들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가구소득(욕구대비소득)은 별다른 영향이 없는 반면 소비지출 관련 요인(주거형태, 가족형태, 건강상태) 및 여타 경제적 자원(재산, 기초보장수급), 가구주의 취업지위 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득빈곤의 분포와 물질적 궁핍의 분포가 일치하지 않음을 보여주어, 물질적 궁핍의 측면에 대한 분석이 한국사회 빈곤의 다면성을 파악함에 유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여 준다. 또한, 빈곤층의 물질적 궁핍 실태와 양상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 대한 적극적 개선 및 보완이 요청됨을 시사하여 준다.

성인지적 관점에서의 주관적 빈곤감에 대한 지역사회 보건학적 접근 -사회연결망의 매개효과 중심- (An Analysis of Community Health by a Gender Specific Subjective Sense of Poverty -Ba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Networks-)

  • 손태용;정현정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43-255
    • /
    • 2014
  • We examined the minimization effects of a subjective sense of poverty by social networks for urban workers and the mediating effect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raw up measures and provide implications in community health care by gender.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a subjective sense of poverty have been generated by demographic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gender. Second,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the subjective sense of poverty have been generated by types of social networks according to the gender. Third, differences in types of social networks have been generated by gender. Fourth, differences in mediating effects of the types of social networks influencing a subjective sense of poverty have been generated by gender. We provide effective methods in community health care by analyzing these examinations.

Tax Incidence of Philippine Tax Reform: Poverty and Distributional Effect

  • DIZON, Ricardo Laurio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2호
    • /
    • pp.281-288
    • /
    • 2021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termine the poverty and distributional effects of the implementation of Tax Reform for Acceleration and Inclusion Law. The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Top Down Behavioral Microsimulation was used to obtain the effects of the tax reform on macroeconomic and microeconomic levels. Moreover, the Poverty Gap Index, Squared Poverty Gap Index, Foster, Greer, and Thorbecke Measures of Poverty, and Sen-Shorrocks-Thon Index were used to measure the poverty effect of the tax reform. Meanwhile, the Gini Coefficient and SST Gini Coefficient Index were used to measure the distributional effect of the tax reform. The results show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tax reform has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household income and disposable income. Region IV has the highest estimated increase in household income. Meanwhile, Region IV remained to have the lowest household income. Furth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tax reform resulted in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magnitude of poor and the number of poor in the Philippines. However, the result of the study also suggests that the effect of tax reform manifests no differences in terms of the poverty gap measured through the Foster, Greer, and Thorbecke poverty index due.

취학 전 빈곤아동에 대한 부모, 가정환경 자극, 사회적 지원의 영향력 탐색 (The Effect of the Parent Variables, Home Environment Stimulation and Social Support on Poverty in Early Childhood)

  • 김정미;곽금주
    • 아동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05-317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maternal interactive styles, parenting stress, home environment stimulation and social support on poverty in early childhood. Participants consisted of 145 mothers and their children living in Seoul and Kyounggi Province. Data included videotaped observations of parent-child play and standardized measures of social support, parenting stress, home environment, and child development. Results of the t-test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father's age and education, mother's age and education, and income over the variable of poverty.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home environment stimulation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variance in children's development. Results from the regression analyse were supportive of the hypothesis that home environment moderates the impact of poverty on children's development.

  • PDF

근로빈곤층 장애인가구의 빈곤탈출 분석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Poverty-Exit of the Working Poor with Disabilities)

  • 심진예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4호
    • /
    • pp.31-50
    • /
    • 2015
  • 본 연구는 근로빈곤층 장애인가구의 빈곤의 양상과 빈곤탈출 요인을 동태적 관점에서 분석하였으며, 장애인고용패널조사(1~6차년도)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가구의 근로빈곤율은 전체 근로빈곤율의 약 3배 정도 높은 수준이며, 장애인 근로빈곤층의 규모는 전체 장애인 빈곤층의 평균 21.4%를 차지해 근로빈곤은 장애인 빈곤의 주요한 형태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체 인구의 단기간의 빈곤탈출확률은 60%를 넘어서는데 비해 근로빈곤층 장애인가구는 54.6%에 그쳐 빈곤탈피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활동요인은 장애인가구의 근로빈곤의 탈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나, 취업은 반드시 빈곤의 탈출로 귀결되지 않으며, 근로시간, 종사상 지위 등의 취업의 질이 빈곤탈출에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장애인 근로빈곤의 해소를 위해 장애인의 고용지속성 확보와 더 나은 일자리로의 상향이동 촉진, 장애친화적인 근무환경 조성 그리고 사회안전망 내실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 PDF

쪽방거주 중고령 남성의 빈곤 사례연구 (Study on Poverty of the Middle Aged Men Living in Chokbang Area)

  • 김동선;모선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222-235
    • /
    • 2020
  • 본 연구는 사례연구를 통해 현재 도시빈민으로 살아가는 중고령 남성들의 빈곤화 과정과 빈곤 요인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정규직이나 종업원을 둔 자영업자 출신이지만 현재 수급자 신분으로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였다. 이들의 빈곤화 과정은 1) 부도, 빚보증, 사기 등 경제적 위기가 되는 촉발과정, 2) 이를 극복하기 위한 주식투자, 고리의 사금융 이용 등으로 악화과정, 3) 이혼, 가족 및 사회적 지지망이 사라지는 해체과정으로 이루어지며, 4) 이후 알코올중독, 건강악화 등의 절망과정, 수급자로 선정됨으로써 빈곤계층에 편입되는 안정화단계가 뒤따르게 된다. 한편 사례들의 빈곤화 과정에서 나타난 빈곤요인들을 살펴보면 IMF, 사기, 빚보증 등 외적 요인과 개인의 행동 및 성격 특성 등 내적 요인으로 구분된다. 빈곤화 과정에서 외적 요인은 촉발요인이 되지만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의 잘못된 대처, 자발적 관계단절, 낙담, 무계획적 생활 등 내적 요인이 작용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가족 유대 강화, 알코올중독 개입 등 예방적 관점에서의 위기관리와 함께 사회구조적으로 고금리 사금융에 대한 적절한 제재, 사회관계망 회복, 빈곤탈출 기회 제공 등 적극적 대응을 제언하는 바이다.

우리나라 도시근로자 가구의 남녀 가구주 간 빈곤 격차 요인 분해 (A Decomposition of Gender Differences on the Poverty among the Urban Working Households in Korea)

  • 이은혜;이상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4호
    • /
    • pp.333-354
    • /
    • 2009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도시 근로자 가구 중 남녀 가구주 간 빈곤 격차의 원인을 설명하기 위해 격차분해를 시도하였다. 연구는 남녀 가구주 간 빈곤격차의 정도를 살펴보고, 옥사카 분해 방식을 사용하여 격차 요인을 분해를 실시하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분석을 위하여 1982년부터 2008년까지의 (도시)가계조사데이터를 사용하였고, 빈곤여부는 상대빈곤율(중위 소득 50%)로 측정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8년 여성가구주 가구와 남성가구주 가구의 빈곤 격차에서 계수 효과가 전체 격차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기별로 가구주 성별에 따른 빈곤 격차의 추세는 1980년대 증가하다 1990년대 감소, 다시 2000년대 들어서 빈곤격차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기별 빈곤격차 요인 분해 결과, 시간이 흐를수록 특성 효과의 비중이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시근로자 가구 중 남성가구주에 비해 여성가구주 가구의 특성이 점차 더 열악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동시에 계수효과가 여전히 크다는 것은 도시 근로자 가구들의 경우, 여성가구 주에 대한 차별 또는 사회적 지원의 부족 문제가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Nutrition Behaviour of Families with Low-Income

  • Jacqueline Koehler;Stephanie Lehmkuehler;Ingrid-Ute Leonhaeuser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5권1호
    • /
    • pp.117-130
    • /
    • 2004
  • Poverty is an important issue, not only in developing countries but also in industrialised societies. In 1999 15% of the European population have been in risk of poverty and the number of people living in poverty in Germany continues to increase. As poverty concerns all aspects of life, it influences health, well-being and the nutrition of the people living on low-income. Although this problem is obvious, only few surveys have been conducted to analyse it and therefore there is only limited information on the nutritional situation and nutrition behaviour of the poor. A qualitative study, which looked closely at the nutrition behaviour of 15 low-income families, was carried out in Giessen, German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tritional situation of poor families differs from that families with a higher income have, the reasons being that their scope for action is restricted by a shortage of money and that there is a lack of skills and knowledge to provide family members with adequate nutrition. Strategies to improve the nutrition situation of poor families should aim at encouraging them to acquire relevant information and appropriate skills to adopt a healthier diet within their financial, social and cultural constraints. Also there have to be socio-political arrangements, which improve existing financial and social provisions as well as preventive educational meas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