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len size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2초

Atractylis속(국화과)의 화분형태 (Pollen Morphology of the Genus Atractylis L. (Compositae))

  • 정규영;정형진;김미숙;윤창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9-98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Atractylodes속과 혼용되는 Atractylis속 6분류군의 화분을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본 속의 화분은 단립(monad)으로, 극축의 길이는 46.5-66.7$\mu\textrm{m}$, 적도면의 나비는 43.6-60.47$\mu\textrm{m}$이 었다. 발아구는 3공구형 (tri-colporate)으로서 , 구구(colpus)의 길이는 19.6-29.1 $\mu\textrm{m}$, 나비는 7.3-11.0$\mu\textrm{m}$이 었고, 공구의 직경 은 6.4-10.6$\mu\textrm{m}$ 이었다. 화분벽은 외표벽 (ektexine)은 기저층(foot layer)과 원주층(columellae), 피복층(tectum)으로 구성되고, 두에는 5.2-8.3$\mu\textrm{m}$이었다. 화분의 표면 돌기는 자상(echinate)으로서 길이가 1.4-5.8$\mu\textrm{m}$이었으며, 단위면적당(No./20$\mu\textrm{m}$$^2$) 분포는 6-33개 이었다 본 연구에서 취급된 분류군들의 화분, 특히 Atractylis arabica, A. aristata, A. carduus, A. microcephala의 화분형 태는 Atractylodes속의 화분과 매우 유사하였으며, 따라서 화분에 관련된 형질은 두 속을 구분하는 식별형질로 적용할 수 없었다. 그러나 화분에 관련된 형질이 Atractylodes속에서는 화분의 크기만이 속내 분류군간의 식별형질로서 기여도가 적은 반면, Atractylis속에서는 화분의 크기뿐만 아니라 형태 및 표면무늬와 자상돌기의 크기 등에 있어서 분류군간 의 식별형질로서 적용되어 분류학적 기여도가 다소 큰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취급된 분류군 중 A. cancellata와 A. prolifera는 나머지 분류군들과 달리 자상돌기가 작고 적도면상이 긴 특징은 본속의 화분의 진화경 향성을 파악하는데 매우 유용하였다.

Varietal Responses of Pollen Development to Salt Stress in Barley

  • Rehman Safiq;Kook Hee-Sun;Lim Jeong-Hyun;Park Myoung-Ryoul;Ko Jong-Chul;Park Kwang-Geun;Choi Jae-Seong;Park Tae-Il;Kim Jung Gon;Lee Kyu-Sung;Seo Yong Won;Kim Jin-Key;Choi Kyeong-Gu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407-409
    • /
    • 2004
  • Thirty-nine out of eighty-five barley varieties/strains survived until heading stage in the saline experimental field $(0.03-0.05\%\;salt)$ and they were used for pollen study.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s revealed two distinctive types of barley pollens: one transparent and small in size and the other dark and larger. In addition, both types of pollens were stained with Alexander's stain and it was found that the smaller and transparent pollen was cytoplasm-devoid (CD) while the larger pollen was cytoplasm-rich (CR). Sixteen out of 39 barley varieties/lines grown in the saline soil had CR pollens, which were rarely observed in the barley plants grown in the non-saline soil. Moreover, it was observed that salt stress severely reduced seed setting in the varieties having degenerated polle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alt stress affects the fertility of barley pollen. The sterile pollen was undersized and lack of cytoplasm probably due to abortion. Furthermore, a varietal difference existed in the response of pollen development to salt stress.

인삼의 화분벽 발달에 관한 미세구조적 연구 (Fine Structural Study of Pollen Wall Development at Late Stage of Microsporogenesis in Panax ginseng)

  • 정병갑
    • Applied Microscopy
    • /
    • 제35권4호
    • /
    • pp.74-83
    • /
    • 2005
  • 인삼의 소포자 발달에 따라 화분벽의 형성과정을 밝히고자 소포자 4분자 시기부터 화분이 성숙되기까지의 전 과정을 투과 및 주사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화분벽의 발달은 감수분열이 끝나고 소포자 4분자가 callose에 둘러싸여 있을 때 시작된다. 화분벽 발달 초기에는 원형질막이 두터워지고 구불구불해지며 원형질막 바깥쪽에 섬유성 구조물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이 섬유성 구조물은 점점 뚜렷하게 나타나고 premexine으로 발달한다. 원형질막의 함입으로 형성된 돌출부와 premexine이 연결되어 단간이 발달하고 성숙화분에서는 endexine에 일시적으로 흰색의 선이 관찰되었다. 표벽발달이 완료되면 hypertrophic Golgi에서 형성되는골지소낭에 의하여 내벽이 발달하고 발아구 부위에서는 내벽이 비후되어 나타났다. 성숙한 인삼화분은 3구형 화분으로서 약 $20{\mu}m$ 크기이며 표벽무늬는 세망상형을 나타내었다.

고려인삼과 미국삼의 종간 잡종식물체 불화합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Incompatibility in Interspecific Hybrid Between Panax ginseng C. A. Meyer and Panax quinquefolium L.)

  • 이성식;정열영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1권2호
    • /
    • pp.85-90
    • /
    • 199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cause of incompatibility in interspecific hybrid plant between Panax ginseng and p. quinquefolium. The floral structure of F,(p.g. x p.q.) hybrid was normal because the redundant anther was 0.2 mm longer than pistil in Fl hybrid and the size and structure of redundant carpel in F, hybrid were similar to P. ginseng and p. quiquefolium Pollens of $F_1$ hybrid did not germinate on stigma of P-quinquefolium but germinated well on stigma of P. ginseng. Pollen tube was able to penetrate styles completely and seed harvest rate was 16.8% in field. However on stigma of $F_1$ hybrid, Pollen did not germinate when P. ginseng was used as male Parent. In addition, the growth of pollen tube was halted on style and seed was not set when P qlfinquefoEi2a was used as male Parent. These suggest that the inhibitor of pollen germination present on stigma caused $F_1$ hybrid sterility. It took 5 hours for pollen grains to germinate, 12 hours to arrive at in trance of ovule, 16 hours to penetrate micropyles in Panax ginseng.

  • PDF

Microspore Division and Plant Regeneration from Shed Pollen Culture in Rice

  • Kim, Hyun-Soon;Kang, Hyeon-Jung;Lee, Young-Tae;Lee, Seung-Yeob;Nam, Jeong-Kwon;Kim, Tae-Soo;Rha, Eui-Shik;Jin, Il-Do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62-67
    • /
    • 2002
  • An efficient system of rice microspore culture could contribute to the production of genetically modified rice. The microspores were isolated by mechanical or shed methods. The number of microspores per 100 anthers isolated at uninucleate stage was higher than (or similar to) those at binucleate stage in isolation method with pestle or spatular, but microspore divisions were not easily observed on both stages. On the other hand, pollen division in shed pollen culture was observed more frequently at uninuclear than at binuclear stage. Cold pretreatment at 1$0^{\circ}C$ for 10 days resulted in the best multicellular division to produce microcalli at 12.5% efficiency in shed microspores. Heat shock at 33$^{\circ}C$ for one hour before or after pollen shedding enhanced cell division and callus formation. Out of twelve green regenerants, two were haploids and ten were diploids based on the chromosome analysis of root tips. The size of stoma was 12$^{m}$ m in haploids and 15 ${\mu}{\textrm}{m}$ in diploids determin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한국산 노루발과(Pyrolaceae)의 화분분류학적 연구 (Palynotaxonomic Study on the Korean Pyrolaceae)

  • 정규영;남기흠;박명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93-200
    • /
    • 2007
  • 국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노루발과 7분류군의 화분에 대하여 분류학적 가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성숙한 화분의 단위(pollen unit)는 Pyrola속의 호노루발[P. dahurica(Andres) Kom.], 분홍노루발[P. incarnata(DC.) Fisch. ex Kom.], 노루발(P. japonica Klenze ex Alefeld), 주걱노루발(P. minor L.), 콩팥노루발(P. renifolia Max.)에서 사립(tetrad), Orthilia속의 새끼노루발[P. secunda(L.) House]에서 단립(monad), Chimaphila속의 매화노루발(C. japonica Miq.)에서 사립들이 엉성하게 모여 다립(polyad)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노루발과의 성숙한 화분의 단위는 과내 속을 구분하는 중요한 형질로 판단되었으며, 이를 근거로 새끼노루발의 학명은 Pyrola secunda L.보다는 Orthilia secunda(L.) House가 적합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화분의 크기와 삼공구형(tricolporate)인 발아구의 크기, 표벽 무늬는 분류군 간에 다소 차이를 나타냈으며, 호노루발과 콩팥노루발, 분홍노루발, 주걱노루발의 표면무늬는 기존 보고와 다소 상이하였다. 본 연구에서 취급된 분류군들의 화분은 성숙한 화분의 구성단위가 각기 사립에서 단립과 다립으로, 발아구의 형태가 공구형에서 공형으로의 진화경향성을 추론할 수 있었다.

화분표면형질의 기능적 의의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Functioanl Significance of Pollen Surface Characters)

  • 이상태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2권1_2호
    • /
    • pp.45-51
    • /
    • 1979
  • From 32 angiosperm species, pollen surface characters such as sculpture pattern, roughness, oil abundance and stickiness were subjectively scored, and compared with size and weight of the grains, and pollination mechanisms. There was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size and weight of the grains. Animal-pollinated grain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oughness, oil abundance and stickiness than wind-pollinated grains. In the former, the grain size was highly correlated with roughness and oil abundance. No such relationship was found in the latter. It was suggested, therefore, that the large the animal-pollinated grains, the greater is the stickiness required, where the stickiness depends on the surface soil abundance and roughness. No functional significance of the sculpture pattern could not be detected in this study.

  • PDF

기내 화분배양을 이용한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발현분석 (Analysis of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Expression using Pollen Culture in vitro)

  • 박인혜;박희성
    • KSBB Journal
    • /
    • 제17권6호
    • /
    • pp.582-585
    • /
    • 2002
  • 백합(Lilium longiflorum)으로부터 수집한 화분에 대하여 기내배양, Agrobacterium 및 vacuum infiltration과정을 이용한 형질전환 그리고 kanamycin배지에서의 선별배양을 통하여 PCR에 의하여 증폭된 1.7 kb의 human tissue plasminogen activator(tPA) cDNA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16시간 정도 배양한 신장화분관의 western blotting결과, human standard와 유사한 크기로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백합화분은 신속한 단백질발현의 분석을 위한 일회성 생산숙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산 나리속(Lilium) 식물의 화분분류학적 연구 (A Palynotaxonomic Study on the Genus Lilium in Korea)

  • 이웅빈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3호
    • /
    • pp.205-210
    • /
    • 1992
  • 한국산 나리속 7종 2변종에 대하여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화분의 크기와 형태를 조사하였으며 이들의 진화경향성 및 계통을 고찰하였다. 이상의 조사 결과 한국산 나리속 식물은 2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즉, 소망상형은 화분립의 크기와 망강의 크가가 비교적 작은 유형으로 하늘나리와 땅나리에서만 관찰되었고, 대망상형은 화분립의 크기와 망강의 크기가 비교적 큰 유형으로 그 밖의 모든 분류군에서 관찰되었는네, 소망상형이 대망상형보다 원시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화분형질에서 소망상형으로 관찰된 하늘나리와 땅나리는 개화방향은 다르지만 린편, 화피편의 형태가 유사하므로, 이들을 개화방향에 따라 다른 절로 취급한 Wilson(1925)의 체계보다는 종자, 린편의 형태 등의 형질에 의해 같은 절로 취급한 Comber(1949)의 체계가 보다 타당한 것으로 생각되며, 이들을 같은 아절로서 취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 PDF

한국산 참나무아속 화분형태의 유사관계 및 종내변이에 관한 연구 (Similarty Relationship and Intraspecific Variation in Pollen Morphology of Korean Subgenus Lepidobalanus E$_{NDL}$.(Genus Quercus L.))

  • 김계환;김상용
    • 임산에너지
    • /
    • 제19권1호
    • /
    • pp.38-48
    • /
    • 2000
  • 한국산 참나무아속 화분형태의 유사관계 및 종내변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화분립의 국축길이, 적도면 폭, 구의 길이, 구의 폭을 측정하고 화분립의 국축길이에 대한 적도면 폭의 비율을 계산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하여 군집분석을 수행한 결과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의 화분형태가 가장 유사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된 수종 중 화분립의 크기에 있어서 폭 넓은 변이를 나타내는 떡갈나무의 경우에는 polypoid와 (또는) aneuploid의 형태가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참나무아속 수종들의 ploidy levels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