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icy of the regional industry

검색결과 412건 처리시간 0.035초

대학 산학협력 역량의 공간적 패턴 및 군집분석 (Spatial Pattern and Cluster Analysis of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Competency of Korean Universities)

  • 허선영;장후은;이종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59-71
    • /
    • 2022
  • 본 연구는 한국 대학들의 산학협력 역량의 공간적 패턴을 분석하고, 산학협력 연계성이 높은 공간 범위를 파악하기 위한 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대학 설립유형별로는 거점국립대학의 산학협력 역량이 전반적으로 우세하며, 특히 기술이전·사업화 부문과 인프라 부문에서 사립대학이나 일반 국립대학보다 우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학협력 역량의 공간적 패턴은 시·도별 차이가 비교적 명확히 나타났다. 부문별 산학협력 역량에서, 인재양성 부문과 인프라 부문에 있어서는 지역 간 격차가 크지 않으나, 기술이전·사업화 부문과 창업 부문에 있어서는 지역 간 격차가 비교적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산학협력 패턴의 유사성과 공간적 근접성 측면에서 연계성이 높은 공간 범위를 파악하기 위해서 군집분석을 한 결과 15개 군집으로 나누어졌으며, 산학협력 전 부문이 강하게 나타나는 군집에서 거점국립대학이 속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산학협력의 효과성 제고를 통해 지역혁신성장을 달성하기 위한 정책 방안으로 거점국립대학이 허브(hub) 역할을 하고 인근의 지역대학들이 스포크(spoke) 역할을 하는 허브 & 스포크(hub & spoke) 네트워크형 협업 체계의 구축을 제안한다.

광양시 항만물류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 외생화 산업연관모형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Regional Economic Ripple Effects of Port Logistics Industry in Gwangyang City - Focusing on Exogenous Specified Input-Output Model -)

  • 김민성;나주몽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77-95
    • /
    • 2023
  • 본 연구 대상지인 광양시의 지역기반산업은 광양항과 광양제철소이다. 따라서 광양시 항만물류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분석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는 2015년과 2019년의 전국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RW접근법과 LQ기법을 활용한 다단계접근법으로 광양시 지역산업연관표를 작성하고, 항만물류산업을 재분류한 외생화 수요유도형 모형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광양시 항만물류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계량적으로 파악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광양시 항만물류산업의 생산유발효과 및 전·후방연계효과가 높은 산업은 제조업, 운송,육상 및 항공물류 부문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부가가치유발효과 및 취업유발효과가 크게 나타난 산업은 서비스업 관련 산업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이 산업들을 촉진시켜 광양시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는 방안으로 항만물류산업을 육성하는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광양항 해양산업클러스터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및 제도 개선과 광양시 항만물류산업 부문의 제반 정책적 지원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중소도시의 항만물류산업을 외생화하여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광양시 지역경제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하지만, 향후 이와 관련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테크노파크 역할에 대한 탐색적 연구: 충남 TP성과분석을 중심으로 (Exploratory Analysis Of Performance On ChungNam TechnoPark)

  • 이상백;김현구;한정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14권1호
    • /
    • pp.15-25
    • /
    • 2016
  • A technopark is an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complex where personal, material and technological resources, scattered to businesses, academic institutions, research facilities and governments are gathered into a single place. Technopark's role is facet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offer new policy services for firms by utilizing the exploratory methodology for Chungnam Technopark's performance for three year (2011 ~2013). Through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policy support for firm's growth in Chung Nam Region have been effective and fruitful in terms of total sale and increase of employees. But, technological performance measured by patents has not enough to catch the innovation. Chungnam Technopark should be more focused on technological policy supports including R&D as well as commercialization. Ultimately in order to have sustainabilities for own firm's growth, firms should keep going on ceaseless create the new technological performance. In that sense, for regional specific industry Technopark's role has been critical for not only firm's current growth but firm's innovation competency.

  • PDF

산학연 협력의 새로운 방향: 산학연 협력연구실 구축을 중심으로 (The new approach to the collaboration among academia, industry, and public research sector: Focussing on Building a collaboration research center)

  • 정선양;김기동
    • 기술혁신연구
    • /
    • 제16권2호
    • /
    • pp.17-40
    • /
    • 2008
  • The collaboration among academia, industry, and public research sector gains importance in these days. This is essential for implement competent regional and national innovation systems. There have been many governmental programs for activating collaboration among innovation actors. Most policy programs for collaboration have aimed at increasing S&T and innovation potential and constructing S&T infrastructure. However, Korea has not produced a sufficient level of collaboration, especially on regional level. Most policy programs could not reach regions and many regions have no enough innovation actors. In order to activate R&D collaboration, therefore, we suggest that Korean S&T community should build and implement "collaborative research centers" all over the regions. This concept is very new approach, especially because it focuses on collaboration among regional innovation actors. In this paper, we discuss a concept, type, and execution strategy of collaboration research centers. We expect that these centers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implementing successful regional innovation systems, as they will link regional innovation actors very closely.

  • PDF

한국의 영상산업 클러스터 정책 -영화영상 관련기관 부산 이전과 관련한 논의- (Policy of the Korean Film Industry Cluster - Discuss of the Busan City Moving of the Film Related Public Organization -)

  • 김진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28-136
    • /
    • 2009
  • 한국의 영상산업은 주로 서울과 수도권에 편중되어 있다. 최근 지방자치단체들이 영상산업에 관심을 기울이면서 지역별로 영상 클러스터 구축 사업을 본격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특히 노무현 정부에서 시행된 지역 분권형 구조는 현 정부의 중앙 집중형 개발과는 차이를 가진다. 최근 일부에서는 한국의 영상 클러스터 구축이 서울을 중심으로 전개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부산 이전이 확정된 영상관련 공공기관 이전 역시 백지화하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한국영상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영상 클러스터 구축사업에 있어 부산을 집중 육성하고 공공기관 이전도 예정대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산학협력 매개 주체로서 산학협력중점교수 제도의 운영 실태와 제도 개선 방향 (Whither the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Faculty System? : Realities and Alternatives)

  • 허선영;장후은;이종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649-659
    • /
    • 2015
  • 2011년부터 시행된 교육과학기술부의 LINC 사업을 통해 산학협력중점교수 제도가 처음 도입된 이후, 산학협력중점교수의 수는 가파르게 증가하였고, 산학협력 활동의 매개 주체로서 산학협력중점교수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산학협력중점교수 제도 운영에 필요한 인건비의 70%를 LINC 사업비에 의존하고 있는 프로젝트 사업의 특성상 LINC 사업에서 중도 탈락하거나 LINC 사업이 종료된 후에도 산학협력중점교수 제도가 존속할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비롯해 산학협력중점교수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대학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및 전문가 심층면담조사 결과를 토대로 산학협력중점교수의 실태 및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제도 개선방안을 법 제도적, 재정적, 구조적인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 PDF

영상산업의 부가가치 제고를 위한 정책디자인 방향 (Policy Design for Value Added Enhancement of Visual Content Industry)

  • 정봉금;임정희;정진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697-708
    • /
    • 2013
  • 본 연구는 각 지방자치단체별 영상산업 진흥정책을 비교 분석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콘텐츠 개발을 목표로 한 '정책디자인'의 필요성을 제안하며, 나아가 지역 영상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지자체의 역할과 지원방안 수립의 정책적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범위는 국내 수도권과 5개 광역시를 조사대상으로 하여 2012년에 추진한 영상산업 지원정책을 비교 분석하고, 해외사례로서 영국, 미국, 프랑스 3개국의 정책사례를 벤치마킹하였다. 결론적으로 영상산업을 지역의 전략산업으로 인식하고, 영상산업 정책의 방향과 관련 조직 및 지원규모 등이 빠르게 변화하는 IT 융합기술 등 새로운 디지털 환경에 대응하여 지역별 특성을 살리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유도할 수 있도록 정책디자인이 이루어져야 한다.

지역산업클러스터 사례연구 : 클러스터 평가지표와 정책과제 (A Case Study of Regional Industry Clusters : Clusters Estimate Index and Policy)

  • 원구현
    • 산학경영연구
    • /
    • 제18권2호
    • /
    • pp.197-223
    • /
    • 2005
  • 21세기 산업 클러스터 정책이 지역경제 활성화의 핵심 수단으로 부상하면서 정책 대상으로서의 클러스터 도출(identification) 및 확인(mapping) 연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단위의 클러스터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클러스터 지향적 정책과제(focused cluster policy)의 도출하고, 지역산업 클러스터의 네트워크를 파악함에 있어서 타 클러스터와의 비교 및 시계열별 비교, 정책목표의 달성정도 평가를 위하여 클러스터 평가지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산업클러스터 사례분석은 클러스터 유형화분석과 네트워크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요약하면, 클러스터를 개발하려는 시도는 다른 지역에서 성공한 클러스터를 모방하기보다는 경쟁우위와 전문성을 토대로 추진되어야 하고, 산업정책과 다른 산업클러스터 정책을 개발해야하고, 시장지향적인 클러스터 생태계를 구축해야 하며, 각 지역 여건 및 산업특성에 적합한 혁신체제를 구축과 혁신창출의 인프라를 조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 PDF

기후변화정책 우선순위 연구 (Study on Priorities of Regional Climate Change Policy)

  • 황은주;최윤혁;김종대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89-601
    • /
    • 2016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iority of regional climate change policy utilizing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at the area of Metropolitan City of Incheon. It derives four factors at first hierarchical level, at which level the analysis of pair-wise comparison indicates that industrial sector, energy sector, climate change response, and green culture policy are considered important in that order. It also ends up with sixteen factors at second level. The result of comparison analysis between all factors reveals that investment promotion in green technology R&D is considered the most significant factor of all, followed by establishment of green enterprise support system, electricity-efficiency enhancement support project and build-up of green culture policy governance. The result implies that diverse promotional policies have to incorporate business, institutional, and cultural aspects for sustainable climate change policy of regions.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highlights the need to include regional characteristics in deciding priority among policy options for them to be effective.

일본의 수산정책개혁 중 양식업 정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quaculture Policy among Japan's Fisheries Policy Reform)

  • 송정헌
    • 수산경영론집
    • /
    • 제55권1호
    • /
    • pp.1-20
    • /
    • 2024
  • Among Japan's agriculture, forestry, fisheries and regional revitalization plans established in June 2018, the key matters related to aquaculture include ① a new perspective on the sponge use system for the development of aquaculture and coastal fisheries, ② a comprehensive strategy for growth and industrialization of aquaculture, and ③ expansion of suitable aquaculture areas. There are four countermeasures including ④ research and development trends. In accordance with these key points, the Japanese government established a comprehensive strategy for aquaculture growth and industrialization by strategically setting aquaculture items in consideration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demand,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strategy from production to sales and export, and then working in earnest to promote the aquaculture industry. This study analyzes environmental changes surrounding aquaculture in Japan and trends in fish farming and marine products, and summarizes the key points of the June 2018 Agriculture, Forestry, Fisheries and Regional Revitalization Plan to suggest measures that can be utilized in Korea's aquaculture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