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int to point (P2P)

검색결과 3,505건 처리시간 0.038초

마늘의 경정배양에서 기내인경구 대량생산을 위한 2단계 배양의 도입 (Introduction of two-step culture method for multiple seed bulb development from shoot tip culture of garlic (Allium sativium L.))

  • 황혜연;이영복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5권1호
    • /
    • pp.75-80
    • /
    • 2008
  • 마늘의 경정을 기내배양하여 대량의 기내종구를 생산하기 위한 다신초의 유기 및 기내구의 비대조건을 찾고자 배지의 당의 농도를 다르게 하고 또한 생장조절물질을 첨가하여 신초의 대량발생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대형배양용기를 이용하여 대량생산을 하기 위한 tank배양에서 신초의 분화와 기내구의 발달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경정배양에서의 shoot 발생이나 기내구 형성 모두 3% sucrose 첨가 MS고체배지에서 8% 보다 양호하였으며, 생장조절물질의 효과는 2 mg/L 2iP와 0.2 mg/L IAA의 혼합처리에서 shoot 발생과 bulb의 형성수가 양호하였다. 이 처리구에서 발생한 shoot와bulb의 수는 각각 3.3 및 2.7개로 나타났다. 다신초를 유도할 수 있는 조건의 배지에서 경정을 2개월 동안 배양하여 다신초를 분화시킨 후, 20 L water tank를 이용하여 sucrose 농도를 3%와 8%로 설정한 MS액체배지에 옮겨 45일간 배양한 후에 bulb형성을 조사하였을 때 유식물체의 생육에 있어서는 3% sucrose 첨가조건에서 8% 첨가배지보다 양호하였다. 그러나 기내구의 형성이나 생장에 있어서는 sucrose의 농도가 8%일 때 보다 효과적이었다. 경정배양에서의 다신초의 초기생산에는 3% sucrose조건에서 양호한 효과를 보이고 있으므로 마늘의 인경구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다신초의 생산과 구비대 과정을 구분하는 2단계 배양법을 도입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Tank배양시 배지에 0.2 mg/L BA, 0.02 mg/L NAA를 첨가한 처리에서 양호하였으며 NAA 농도가 높을 수록 유식물체의 생육이나 구비대의 효과는 현저하게 저하되었다.

Study on the Quality of Market Dahi Compared to Laboratory Made Dahi

  • Shekh, A.L.;Wadud, A.;Islam, M.A.;Rahman, S.M.E.;Sarkar, M.M.;Ding, Tian;Choi, Jae-Ho;Oh, Deog-Hwan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18-323
    • /
    • 2009
  • 다히(dahi)는 원유를 이용하여 방글라데시 전통 방법으로 발효시킨 요구르트와 비슷한 발효 유제품으로 본 연구는 실험실에서 만든 다히(dahi)와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다히(dahi)의 품질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험실에서 준비한 다히(dahi)는 (A), Kishoregonj 지역에서 수집한 다히(dahi)는 (B), Gazipur 지역의 다히(dahi)는 (C), Bogra 지역의 다히(dahi)는 (D), Dhaka 지역의 다히(dahi)는 (E, F)로 각각 구분하였다. 소비자 만족 품질은 심사위원들에 의해 100점 만점으로 판단되었으며 화학적 미생물학적 품질 시험은 확립된 방법에 의해 수행되었다. 'A' 타입의 다히(dahi)가 소비자 만족 품질에 있어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E, D, F, B, C 순으로 나타났다. 화학적 시험 결과, 'B'타입의 다히(dahi)가 가장 낮은 pH ($3.75\;{\pm}\;0.05$)를 나타냈으며 'C'타입의 다히(dahi)가 가장 높은 pH ($4.46\;{\pm}\;0.15$)를 나타내었다. 'F' 타입의 다히(dahi)의 총 고형물, 지방, 단백질, 회분이 각 각 $318.40\;{\pm}\;4.44\;g/kg$, $52.00\;{\pm}\;2.00\;g/kg$, $44.33\;{\pm}\;2.00\;g/kg$, $10.76\;{\pm}\;0.31\;g/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B'타입의 다히(dahi)에서 total viable count (TVC)는 $94.00\;{\pm}\;4.58\;cfu/ml$, 효모가 $183.33\;{\pm}\;15.28\;cfu/ml$, 곰팡이가 $53.33\;{\pm}\;15.28\;cfu/ml$로 미생물학적 품질 측면에서 가장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A' 타입의 다히(dahi)는 TVC, 효모와 곰팡이가 각 각 $39.67\;{\pm}\;4.51\;cfu/ml$, $50.00\;{\pm}\;10.00\;cfu/ml$, $20.00\;{\pm}\;10.00\;cfu/ml$로 나타났다. 3가지 주요 품질을 고려하였을 때 'A'타입의 다히(dahi)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F, D, E, C, B 순으로 나타났다.

백서의 가역성 뇌허혈 모형에서 저체온의 효과와 적용시기 (The Time and Effect of Hypothermia in Early Stage of the Reversible Cerebral Focal Ischemic Model of Rat)

  • 최병연;정병우;송광철;박진한;김성호;배장호;김오룡;조수호;김승래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2호
    • /
    • pp.167-179
    • /
    • 2000
  • Objective : We studied to clarify the effective time zone of mild hypothermic neural protection during ischemia and/or reperfusion after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ethods : In a reversible cerebral infarct model which maintained reperfusion of blood flow after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for two hours, the size of cerebral infarction, cerebral edema and the extent of neurological deficit were observed and analyzed for comparison between the control and the experimental groups under hypothermia($33.5^{\circ}C$). The temporalis muscle temperature was reduced to $33.5^{\circ}C$ by surface cooling for two hours during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for study group I. The following groups applied hypothermia for two-hour periods after reperfusion : group II(0-2 hours), group III(2-4 hours), and group IV(4-6 hours). They were rewarmed to $36.5^{\circ}C$ until sacrified at 2, 4, 6, 12, and 24 hours after reperfusion. Control group was maintained at normothermia without hypothermia. Results : In the experimental groups with hypothermia, the average value of the size of cerebral infarction($mean{\pm}SD$) was $1.97{\pm}1.65%$, which was a remarkable reduction over that of the control, $4.93{\pm}3.79%$. In the control, a progressive increase was shown in the size of infarction from point of reperfusion to 6 hours after reperfusion without further changes in size afterward. Intra-ischemic hypothermia(group I) prevented ischemic injury but did not prevent reperfusion injury. Group II examplified the most neural protective effect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and group IV(p<0.05). The cortex was more vulnerable to reperfusion injury than the subcortex. Mild hypothermia showed more neural protective effects on the cortex than subcortex. Conclusion : The most appropriate time zone for application of mild hypothermia was defined to be within four hours following reperfusion.

  • PDF

전신 뼈검사에서의 영상 평가 연구 (Study on Image Quality Assessment in Whole Body Bone Scan)

  • 권오준;허재;이한울;김주연;박민수;노동욱;강천구;김재삼
    • 핵의학기술
    • /
    • 제19권1호
    • /
    • pp.30-36
    • /
    • 2015
  • 전신 뼈검사는 골수염과 골절 및 원발성 암의 조기 발견 등골 병변에 대해 높은 민감도와 해상도를 가진 검사이며, 핵의학 검사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최저 계수치를 제외한 평가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전신 뼈검사에서 정량적인 평가 지표를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을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4년 4월부터 2014년 9월까지 본원을 내원한 특이 골병변소견이 없는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GE INFINIA 장비에서 진행하였다. 환자의 전신계수와 허리뼈를 관심영역으로 하여, 계수치를 측정하였으며, 허리뼈 각각의 신호평균 값과 표준편차를 구하여, 대조도 대 잡음비(Contrast to Noise Ratio, CNR),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를 산출하였고, 팬텀 실험을 통해 검사 속도 변화에 따른 각각의 수치와 조직등가물질을 이용하여 복부 두께에 따른 수치를 비교 하였다. 그리고, 판독의 2명과 5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숙련된 방사선사 5명이 각각 10점 척도로 하여, Blind test로 육안적인 분석치와 정량적인 산출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환자의 전신 계수치와 관심영역의 계수치는 Blind test를 통한 육안적인 분석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P>0.05). 대조도 대 잡음비와 신호 대 잡음비는 육안적인 분석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팬텀 실험에서는 검사 속도가 느릴수록, 조직등가물질의 두께가 얇을수록 각 수치는 향상되는 것을 보였으며, 지연검사에서 영상의 질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현재 전신 뼈검사에서 최저 계수치를 제외한 평가 기준이 마련되어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조도 대 잡음비 및 신호 대 잡음비를 이용하여 Blind test와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검사 속도가 영상의 질을 좌우하는 인자라는 것을 수치를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주입량, 동일한 검사 속도 등 동등한 조건에서의 평가를 진행하였지만, 환자의 생리적 기능과 수분 섭취량 등에 따라 모든 특성을 고려하는 것에 한계가 존재한다. 그러나 객관적으로 정량적 수치를 제시하여, 유의한 평가 지표를 입증하였다는 데에 학술적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설사증 이환견(犬)으로 부터 분리(分離)한 canine coronavirus의 성상(性狀)에 관한 연구(硏究) (Characterization of canine coronaviruses isolated from the dogs with diarrhea in Korea)

  • 이병형;전무형;박종현;황의경;허원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517-527
    • /
    • 1994
  • An attempt was made to isolate a causative viral agents from the fecal specimens of the diseased dogs with the gastroenteritis symptoms. Two coronavirus-like agents were isolated by serial dilution end point method and plaque assay. The isolates were characterized in terms of cytopathology, antigenicity, replication, physicochemical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experiment were as follows; 1. Among 7 fecal specimens collected from the dogs with enteric disease, 2(28.6%)coronavirus-like agents showing typical cytopathic effects of canine coronavirus were isolated, and designated as CCV D1 and CCV D2, respectively. 2. By the cross-neutralization test and indirect immunofluoresence antibody test, the isolates were antigenically indentified as the standard CCV. The viruses were replicated only in the cytoplasm of A-72 cells. 3. The isolates showed no haemagglutinating activity against the erythrocytes from 11 kinds of animals. 4. The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for the isolates showed spherical and pleomorphic features, covered with club-shaped projections on the surface. The size of particles was ranged from 70 to 150nm. 5. In one-step growth curve for the isolates in A-72 cells, maximum titers of intracellular vius was $10^{4.6}$ $TCID_{50}/0.1ml$ at 46 hrs postinoculation(pi) of CCV Dl and $10^{4.4}$ $TCID_{50}/0.1ml$ at 34 hrs pi of CCV D2. The maximum titers of extracellular virus was $10^{5.5}$ $TCID_{50}/0.1ml$ at 58 hrs pi of CCV D1 and $10^{5.8}$ $TCID_{50}/0.1ml$ at 46 hrs pi of CCV D2. 6. In physicochemical property test, the isolates were very sensitive to choroform and were found to be RNA virus. The viruses was stable at pH 3.0 for 1 hr and at $22{^{\circ}C}$ for 5 hrs. However, infectivity titers reduced remarkably by treatment with $56{^{\circ}C}$ for 10min.

  • PDF

NATM 공법에 의한 고속도로 터널 공사 중 라돈 노출 평가 (Evaluation of Radon Exposure During Highway Tunnel Construction by New Austrian Tunneling Method)

  • 유예지;김형렬;강모열;최상준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15-125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level of radon in the air at a highway tunnel construction site in a gneiss area using the New Austrian Tunneling Method (NATM) and to evaluate exposure levels by occupation. Methods: Radon concentrations in the air were measured using E-PERM at points 300 m, 600 m, and 900 m from the tunnel entrance during the excavation and waterproofing work inside the tunnel. In addition, radon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during external excavation to compare with the inside of the tunnel. Personal exposure levels for major occupations including tunnel workers, construction equipment operators, waterproofers, shotcrete workers, and safety and health managers who participated in the construction were estimated using radon concentration measured in the work process area and working hours by occupation. Results: As a result of a total of 77 radon measurements, the geometric mean (GM) concentration was 71.1 Bq/m3, and the maximum concentration was 127.3 Bq/m3, which was below the indoor air quality criteria. Radon concentration by process decreased in the order of the tunnel excavation process (GM= Bq/m3, GSD=1.2), waterproofing process (GM=73.35 Bq/m3, GSD=1.2), and outside excavating process (GM=45.28 Bq/m3, GSD=1.2). Processes inside the tunnel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outside excavating processes (p<0.05).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adon concentration measured inside by distance from the tunnel entrance, but the innermost point of the tunnel, 900 m (GM=79.24 Bq/m3, GSD=1.27), measured the highest. Conclusions: The occupation with the highest individual exposure to radon was tunnel worker (64.16 Bq/m3), followed by construction equipment driver (64.04 Bq/m3) and waterproofer (63.13 Bq/m3).

서울, 경기, 경남 일부 지역의 중${\cdot}$고등학생의 식습관과 자가 섭취 상태 조사법을 통한 영양 섭취 평가 (Food Habits and Nutrient Intakes by Self-reported Food Consump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Gyeonggi, and Gyeongnam Area)

  • 이나영;이경은;곽동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73-480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ood habits and food attitudes, and to assess student's nutrient consumption.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review of literatur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ree sections (food habits, food attitudes, and food consumption).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4,050 students enrolled in 34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Gyeongnam provinces. A final response rate was 88.2% (3,570) excluding responses that had significant missing data. Data of the food habits and food attitudes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analysis, $x^2$-test, and t-test using SPSS WIN(ver.11.0). The student's self-reported food consumption data was converted into nutrient consumption using conversion factor. Man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kipped breakfast and/or dinner. Approximately 29% of the students did not eat vegetables and fruits. Score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attitudes(19.1) towards food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s(18.7)(p<.001). Student's nutrient intakes were estimated according to the student's self-reported food consumption data. The nutrient intakes were compared with DRIs(Dietary Reference Intakes: DRIs) for their age groups. The result of EAR(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EAR) cut-point method demonstrated 57.7% of middle school boys, 64.4% of middle school girls, 70.2% of high school boys, and 71.0% of high school girls did not meet EAR for Calcium. Additionally, it showed that 39.0% of middle school boys, 23.7% of middle school girls, 58.4% of high school boys, and 24.4% of high school girls did not consume EAR for Vitamin $B_1$. 25.7% of middle school boys did not meet EAR for Vitamin $B_2$, while 44.4% high school boys did not satisfy EAR for Vitamin $B_2$.

하수슬러지 케이크의 마이크로파 건조 후 재활용 연구 (A Study on the recycling of sewage sludge cake using microwave drying)

  • 하상안;염혜경;유미영
    • 유기물자원화
    • /
    • 제14권3호
    • /
    • pp.77-84
    • /
    • 2006
  • 본 연구는 마이크로파 최적 조건에서 하수슬러지 케이크를 마이크로파로 건조하여 재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에 사용된 하수슬러지 케이크는 P시 S, N하수처리장의 탈수슬러지 케이크를 사용하였으며, 마이크로파는 주파수 2450MHz에 1~4kW의 전력을 사용하였다. 마이크로파의 가열이 유전 가열방식이고, 내부수 용출 등으로 초기수분이 77%의 고함수율이라도 짧은 시간 안에 수분이 0.2%까지 감소하여 진다. 이런 결과로 마이크로파 처리한 하수 슬러지 케이크의 복토제로서의 활용은 흙과 혼합하여 매립할 경우 중간, 최종 복토제나 객토용으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중금속 흡착제로의 활용은 저 농도 중금속 흡착제로 사용되어지는 황토와의 비교 실험에서 Cu, Pb, Cd,의 농도가 30분 이내에 검출되지 않는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Cr은 약 $0.2mg/{\ell}$정도 검출되어 흡착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경제성이나 친환경적인 면에서 하수슬러지 케이크 건조에 마이크로파 처리를 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판단되어지고, 재활용 면에서도 고비용의 황토를 대체하는 물질로 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이라고 판단되어 진다.

  • PDF

임플란트 수술환자의 치과의료기관 선택요인: 청장년층 20~64세를 대상으로 (Dental institution selection factors for implant surgery among young adults aged 20-64 years)

  • 박보영;오유빈;김정민;김채린;어소령;장유진;최주현;윤미숙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5-33
    • /
    • 2022
  • Background: This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factors influencing the selection of dental institutions for implant surgery among young adults (age: 20-64 years) and identifying differences in these factor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Methods: We conducted an internet survey for approximately 2 months, from April to July 2022, and analyzed data from a total of 128 people. Dental institution selection factors included three items of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five items of physical environment, three items of image of institution, five items of image of dental staff, five items of dental service, and four items of basic dental elements. The importance score for each item was investigated on a five-point scale. Results: The importance score for each dental institution selection factor was the highest for dental service (4.42 points), followed by basic dental element (4.00 points), physical environment (3.89 points), image of institution (3.81 points),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3.76 points), and image of dental staff (2.78 points). The importance score for each item was the highest for dentists' technique, followed by cleanliness, reliability, and dentists' attitude. Women had higher average scores for all factors compared to me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scores for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physical environment, image of institution, dental service, and basic dental elements (p< 0.05). Conclusion: To attract patients seeking implants to a dental institution,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patients' institution selection factors. In addition, the environment of a dental institution should be created in such a way that it favors patients' selection factors.

국내 육성 신품종 딸기 '대왕'의 육묘기 적정 배양액 농도 (Optimum Nutrient Solution Strength for Korean Strawberry Cultivar 'Daewang' during Seedling Period)

  • 전하준;전의환;강수인;배근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6호
    • /
    • pp.812-818
    • /
    • 2014
  • 과채류는 육묘의 중요성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딸기는 육묘가 80%라고 할 정도로 육묘의 비중이 큰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딸기의 수경재배 육묘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 모두 많지 않다. 딸기는 품종에 따라 생육 특성의 차이가 확연하게 다르므로 품종마다 적합한 비료 조성, 비료 농도와 pH 관리, 고형배지 종류별 적절한 급액량 구명 등이 필요한데, 딸기 수경재배 육묘에서 우선적으로 구명할 사항은 배양액의 농도관리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대왕(大王)' 딸기 모주를 2012년 3월 28일에 코코피트를 충진한 수경재배 육묘 벤치에 정식하였다. 육묘기간 동안의 배양액 처리구는 각각 EC $0.6dS{\cdot}m^{-1}$의 배양액을 30일간 공급한 후 20일간 물만 공급한 구[0.6(30) + 20], EC $1.2dS{\cdot}m^{-1}$의 배양액을 30일간 공급한 후 20일간 물만 공급한 구[1.2(30) + 20], 그리고 EC $1.2dS{\cdot}m^{-1}$의 배양액을 50일간 공급한[1.2(50)] 3가지 처리구로 하였다. 9월 20일에 코코피트를 충진한 수경재배 벤치에 정식하고, 야마자키 조성 딸기배양액을 이용 하여 EC $0.6-0.8dS{\cdot}m^{-1}$로 관리하였다. 정식 후 지상부 생육, 개화율 그리고 정화방의 과실 품질을 조사하였다. 엽병장, 엽장, 엽폭 그리고 크라운 직경 모두 [1.2(50)], [1.2(30) + 20], [0.6(30) + 20] 처리구 순으로 육묘기의 배양액 농도가 높을수록 생육이 양호하였다. 그러나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처리구 간의 생육차이는 점차 사라졌고 특히, 크라운의 직경은 처리구 간에 거의 차이가 없을 정도가 되었다. 개화는 [0.6(30) + 20], [1.2(30) + 20], [1.2(50)] 처리구 순으로 빨랐는데, 특히 [0.6(30) + 20] 처리구는 다른 처리구보다 월등하게 빠른 개화율을 나타내어 육묘기의 저농도의 배양액 관리가 '대왕' 딸기의 개화에는 유리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과장, 과경 및 과실의 경도는 처리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과중은 [1.2(50)]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과실의 고형물 함량은 [1.2(50)]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고 다른 두 처리구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본 실험의 결과에서, 딸기의 수경재배 육묘기 동안 적정한 배양액의 농도 관리는 EC $0.6dS{\cdot}m^{-1}$로 30일간 공급한 후에 20일간 수분만 공급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되었다.